본 연구는 한국 고유의 전통주인 막걸리 제조시 생성되는 주박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을 총 85종 분리하여, 이들의 대장암 세포주에 대한 항성장 활성과 활성기전을 연구하였다. 이들 중 세포생존율 연구결과에 따라 3가지 종류의 분획물(KSD-E1-3, KSD-E2-3, KSD-E4-3)을 선별하였다. 이 중 가장 활성이 높은 KSD-E1-3 분획물에 의한 유전체 수준에서의 유전자 발현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oligo DNA microarray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2배이상 발현이 증가된 유전자들 가운데 항암 유전자인
NAG-1, ATF3, DDIT3
그리고
p21
을 선별하여 추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세포생존율 결과에 따라 선별된 3가지 종류의 분획물(KSD-E1-3, KSD-E2-3 그리고 KSD-E4-3)에 의한 4가지 종류의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KSD-E1-3에 의하여 모든 유전자의 발현이 높게 증가되었다. KSD-E1-3에 의한 유전자의 발현이 전사조절인자
p53
에 의존적인지 확인하고자
p53
null HCT116 세포주를 이용하여 RT-PCR한 결과,
NAG-1, ATF3
, 그리고
DDIT3
유전자
p53
에 비의존적이었으며, 반면
p21
유전자는
p53
에 의해서만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주박 추출물이 다양한 기작에 의해 항암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함으로써 암 세포에 대한 항성장 활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나타낸다.
서 론
막걸리는 찹쌀 등의 전분을 원료로 하고 있고, 발효제를 섞어 발효시킨 탁주를 혼탁하게 제성한 한국 고유의 전통주이다
[10]
. 막걸리는 다른 주류에서는 볼 수 없는 당화와 발효라는 두 가지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변화를 혼합적으로 가지고 있다
[14
,
15]
. 막걸리를 제조할 때 술을 걸러내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찌꺼기를 “주박” 혹은 “술지게미”라고 하며, 주박은 단백질과 전분질이 주성분이며
[6]
, 알코올, 당류, 효모, 유기산, 무기질 등을 함유하고 있다
[20]
. 주박에 대한 생리활성 연구는 면역촉진물질 활성
[4]
, 항산화 및 항균활성 등으로 보고되었다
[12]
. 또한 누룩은 술을 빚을 때 사용하는 발효제로서 효소를 지닌 곰팡이를 곡류에 번식시킨 것이다
[11]
. 누룩은 밀, 호밀, 조곡, 현미를 기본 원료로 제조되는데 이는 지방마다 다른 생산원료를 사용하기 때문이며
[2]
, 같은 원료라도 제조시 온도, 습도 등의 환경요인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5]
. 더욱이 누룩은 생전분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미발효성당과 올리고당, 식이성 섬유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웰빙(well being) 술의 양조가 가능하다
[24]
.
암은 비정상적인 세포가 통제되지 못하고 과다하게 증식을 통해 확산되는 질병이다
[16]
. 국내의 경우 보건복지부 중앙등록본부의 암 등록 통계에 의하면 2011년도 기준 암 발생 현황이 갑상선암(17.8%), 위암(14.9%)에 이어 대장암이 세 번째(12.8%)이며, 암으로 인한 사망율은 위암(19.6%), 대장암(15.2%), 폐암(14.2%), 간암(11.5%) 순으로 보고되고 있다
[22]
. 특히 대장암은 세계에서도 두 번째로 발병률이 높고
[3]
, 우리나라에서도 상당히 발병률이 높다.
대장암의 유발 요인은 현대화로 인한 서구형 식생활 변화에 따른 과다한 동물성 지방 섭취 및 섬유질, 칼슘 부족 등의 환경요인
[9]
과 염증질환 및 대장 용종 등의 유전적 요인이다
[1]
. 그러나 치료제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항암제는 암세포의 apoptosis
[8]
는 물론, 정상 세포도 사멸을 유발한다. 그렇기때문에 최근에는 식물로부터 추출한 천연재료를 활용한 면역향상과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항암제에 대한 연구
[17
,
19]
가 진행 중이며, 이와 더불어 가족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대장암 조기 발견을 위한 검사를 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7]
.
본 연구는 8종의 주박과 3종의 누룩을 유기용매로 분획한 총 85종에 의한 대장암 세포주의 성장 억제 활성 및 항 성장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즉, 인간 대장암 HCT116 세포주에서 주박 추출물이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oligo DNA microarray 실험을 수행하여 주박 추출물 처리에 의해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를 선별하였다. 그 중 4개의 유전자를 선별하여 전사조절인자 p53의 의존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주박 추출물 및 분획물에 의한 대장암 세포의 성장 억제활성과 그 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재료 및 방법
- 주박 및 누룩 추출물 제조
본 연구에서 사용된 8종의 주박과 3종의 누룩은 (주)국순당에서 제공받아 사용하였으며, 총 11종의 시료에서 총 85종의 분획물을 2회에 나누어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주박의 열수 추출물은 시료 1 kg에 물 1 l를 가하여 100℃에서 30분 동안 추출하였으며, 여과한 후(Whatman No. 2), 70℃에서 감압 농축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에탄올 추출물은 시료 1.5 kg에 95% 에탄올 6 l를 가하여 상온에서 3일간 2회 추출 하였고, 여과한 후 60℃에서 감압농축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또한 누룩의 에탄올 추출물은 시료 200 g에 95% 에탄올 1 l를 가하여 상온에서 7일 동안 2회 추출하였고, 여과한 후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각각 추출된 추출물 4 g을 물에 현탁하여 n-hexane, ethylacetate, butanol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고 물 잔류물을 회수하여 총 85종의 추출물 및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과 분획물은 Dimethyl sulfoxide (DMSO, sigma, USA)에 녹여 −20℃에서 저장하여 사용하였다. 총 분획물 85종 중 cell viability assay 결과에서 선별된 분획물 KSD-E1-3, KSD-E2-3, 그리고 KSD-E4-3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Table 1
에 나타내었다.
List of three different kinds of lees extracts and their solvent fractions
List of three different kinds of lees extracts and their solvent fractions
- 세포배양 및 재료
대장암 세포주 HCT116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Frederick, MD, USA)에서 구입하였고, p53 null HCT116 (HCT116 p53-/-) 세포주는 Johns Hopkins 의과대학의 Bert Vogelstein 박사로부터 분양 받았다. 두 종류의 세포주 배양은 10% FBS (Fetal Bovine Serum, Gibco, USA), 1% penicillin 및 streptomycin (WelGene, Korea)이 포함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Gibco, USA)을 사용하였다. 세포의 생육정도를 관찰하면서 계대배양을 실시하여 적정수의 세포를 유지하였다.
- 세포 성장율 측정(MTS assay)
대장암 세포주 HCT116에 주박 추출물 및 분획물을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cell viability assay를 수행하였다. 우선 96 well plate에 1×10
3
cells/well의 세포를 접종한 후, 24시간 후에 FBS를 첨가하지 않은 serum free medium으로 배지를 교환한 뒤 DMSO에 녹인 주박 추출물 및 분획물을 1 mg/ml 로 처리하였다. 주박 분획물의 대조물질로는 용매인 DMSO를 처리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cell viability assay를 수행하기 위해 MTS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용액(Promega, USA)을 각 well당 20 μl씩 첨가하여 37℃, 5% CO
2
incubator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NanoQuant Plate
TM
(Tecan Trading AG, Switzerland)를 사용하여 58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수치는 4개의 독립적인 well에서 수행한 값을 Microsoft EXCEL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한 후 mean ± SD 값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 Total RNA 추출
Total RNA 추출은 주박 및 추출물을 처리한 대장암 세포주로부터 RNeasy mini kit (Qiagen, 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메뉴얼에 따라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정제된 total RNA는 NanoQuant Plate
TM
를 이용하여 260 nm와 28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한 후, oligo DNA Microarray 실험과 RT-PCR에 사용되었다.
- Oligo DNA Microarray 실험
Oligo DNA microarray 실험과 데이터 분석은 지노믹트리사(Genomictree, Inc, Korea)에 위탁하여 수행하였다. 사용한 microarray는 Agilent사의 Agilent Human GE 4 X 44K (V2) arrays (Agilent Techonlogies, Palo Alto, USA)를 사용하였다
- Reverse transcription-PCR
수확한 세포주로부터 추출한 total RNA 2 μg을 주형으로 PrimeScript
TM
RT-PCR Kit (TaKaRa, Japan)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메뉴얼에 따라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를 주형으로 하여 유전자 특이적인 oligonucleotide primer (
Table 2
)를 이용하여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과정을 수행하였다. PCR 반응은 94℃에서 5분 denaturation시키고, 94℃에서 30초, 58℃에서 30초, 72℃에서 30초의 cycle을 총 30번 반복한 뒤, 마지막으로 72℃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최종적인 PCR product는 1.5% 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 하고 ethidium bromide (EtBr, Bioneer, Korea)로 염색하여 Gel Image Analysis System (CoreBio, Korea)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하였다.
Sequences of oligo-nucleotide primers used for RT-PCR
Sequences of oligo-nucleotide primers used for RT-PCR
- 통계 분석
모든 실험은 최소한 3회 이상 실험을 실시하였다.
p
<0.05 값에서 유의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Student’s t-test로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 85종의 주박 추출물 및 분획물이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주박 추출물 및 분획물이 대장암 세포주 HCT116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40종의 1차 추출물 및 분획물을 1 mg/ml의 농도로 처리한 다음 cell viability assay를 수행하였다. 주박 추출물 및 분획물의 대조물질로는 DMSO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추출물 및 분획물에 의해 cell viability 생성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KSDE3-2, KSD-E3-3, 그리고 KSD-E1-3등의 시료에 의해 생존율이 크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1A
).
Effects of eighty-five kinds of lees extracts and their solvent fractions on HCT116 cell viabilities. HCT116 cells were plated at 1×103 cells/well in a 96-well plate and treated with eighty-five kinds of solvent fractions of lees extracts (1 mg/ml (A) and 1 mg/ml (B)) for 24 hr. After treatment,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MTS proliferation assay kit. Bars are mean values ± SE from 4 independent experiments.
2차 주박 추출물 및 분획물 45종에 의한 세포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 1 mg/ml의 농도로 처리한 뒤 동일한 조건으로 cell viability assay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KSD-E4-3, KSD-E4-4 그리고 KSD-W7-5 등의 분획물에서 세포생존율의 큰 감소를 확인 할 수 있었다(
Fig. 1B
). 본 연구에서는 총 85종의 주박 추출물 및 분획물에 의한 cell viability assay에 결과와 마우스 대식 세포인 RAW264.7 세포주에 대한 세포 사멸결과(data not shown)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3종의 분획물(KSD-E1-3, KSD-E2-3, KSD-E4-3)을 선정하여 추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
Table 1
).
- 선별된 3종의 시료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세포생존율 측정
선별된 3종의 주박 추출물 및 분획물(KSD-E1-3, KSD-E2-3, KSD-E4-3)의 농도에 따른 처리가 HCT116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HCT116 세포주에 선별된 주박 추출물 및 분획물 3종을 0.25, 0.5, 1 mg/ml의 농도로 24시간 처리한 후, cell viability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3종의 시료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cell viability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이 중 KSD-E1-3에 의한 세포 생존율 감소가 가장 크게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Fig. 2
). KSD-E1-3에 의한 유전체수준에서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oligo DNA microarray 실험을 진행하였다.
Effects of three kinds of solvent fractions on human HCT116 cell viabilities. HCT116 cells were plated at 1×103 cells/well in a 96-well plate and treated with three kinds of solvent fractions (KSD-E1-3, KSD-E2-3 and KSD-E4-3) of different concentrations (0.25, 0.5, and 1 mg/ml) for 24 hr. After treatment,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MTS proliferation assay. Bars are mean values ± SE from 4 independent experiments.
- Oligo DNA microarray를 이용한 유전체 수준에서의 유전자 발현 분석
선별된 3종의 시료 중에서 가장 높은 항성장 활성을 보여준 KSD-E1-3 분획물을 1 mg/ml 농도로 HCT116 세포주에 처리한 후, oligo DNA microarray analysis를 수행하였다. DNA microarray 실험 결과, 2배 이상 발현이 증가되는 유전자중 항암 유전자 4개(Non-steroid Anti-inflammatory drug-activated gene-1 [
NAG-1
],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3 [
ATF3
], DNA-damage-inducible Transcript 3 [
DDIT3
],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1A [
CDKN1A, p21
])를 선별하였다(
Table 2
). 세포 생존율 실험 결과에 따라 선별된 3종의 분획물을 1 mg/ml의 농도로 처리한 후, 4가지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p21
유전자의 경우 KSD-E1-3에 의해서만 발현이 증가된 반면,
DDIT3
,
ATF3
그리고
NAG-1
유전자는 처리한 모든 분획물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었다(
Fig. 3
). 또한, 처리한 분획물 중 KSD-E1-3에 의해 모든 항암 유전자의 발현이 가장 높게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Up-regulation of NAG-1, ATF3, DDIT3 and p21 gene by three kinds of solvent fractions. HCT116 cells were treated with three kinds of solvent fractions of lees extracts (KSD-E1-3, KSD-E2-3 and KSD-E4-3) for 24 hr. And then, total RNAs were extracted from treated cells and used for RT-PCR with NAG-1, ATF3, DDIT3 and p21 gene specific primers.
NAG-1
유전자는 TGF-β (Transforming Growth Factor-β)superfamily의 한 종류로써, pro-apoptotic 및 anti-tumorigenic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파이토케미칼과 같은 천연물에 의해 다양한 기작을 통하여
NAG-1
유전자의 발현이 조절된다는 총설이 보고된 바 있다
[23]
.
ATF3
유전자는 전사조절인자로서 ATF/cAMP responsiv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 family에 속하며, 천연물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며 세포사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5
,
21]
.
DDIT3
유전자는 endoplasmic reticulum stress에 의해 활성화되며 세포사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8]
. p21WAF1/CIP1유전자는 대표적인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중 하나로서, 세포주기 진행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Selected up-regulated genes by KSD-E1-3 treatment in HCT116 cells
Selected up-regulated genes by KSD-E1-3 treatment in HCT116 cells
- KSD-E1-3에 의해 발현이 유도된 유전자의 p53 의존성검증
암 억제 유전자인
p53
은 DNA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있는 치명적인 영향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 이외에 세포주기의 정지, 노화, apoptosis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전사조절인자이다. 또한, 천연물의 처리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며, 암세포 사멸과 직접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
. 본 연구에서는 oligo DNA microarray 실험에 의해 선별된 4개의 유전자 발현이 전사조절인자
p53
에 의존적인지 확인하고자
p53
유전자가 null인 HCT116 세포주를 이용하였다.
p53
wild type HCT116 세포주는
p53
의 발현이 되는 것을 확인 하였고, KSD-E1-3의 처리 유무에 관계없이
p53
null 세포주에서는
p53
이 발현되지 않았다. 선별된 4개의 유전자 중
NAG-1, ATF3, DDIT3
유전자는
p53
발현 유무에 관계없이 KSD-E1-3에 의해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반면,
p21
유전자의 경우
p53
에 의해서만 KSD-E1-3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 4
).
Effect of p53 on gene expression by KSD-E1-3. HCT116 cells or p53 null HCT116 were treated with 1 mg/ml KSD-E1-3 for 24 hr and then RT-PCR was performed using p53, p21, ATF3, DDIT3 and NAG-1 gene specific primers.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주박 추출물 및 분획물이 여러 항암유전자 발현을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증가시킴으로써 암세포에 대한 항성장 활성을 나타냄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선별된 KSD-E1-3 분획물의 작용기전을 이해하고, 항성장 활성의 핵심물질을 찾기 위해서는 추가 분획물을 제조하고, 추가적인 기전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12년도 농림수산식품부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과제번호 112073-3)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Anand P.
,
Kunnumakkara A. B.
,
Sundaram C.
,
Harikumar K. B.
,
Tharakan S. T.
,
Lai O. S.
,
Sung B. K.
,
Aggarwal B. B.
2008
Cancer is a preventable disease that requires major lifestyle changes
Pharm Res
25
2097 -
2116
Bae S. M.
2012
Traditionalism manufacturing technology
Bae Brewery Res
Seoul, Korea
107 -
111
Bernard W. S.
,
Christopher P. W.
2014
World Cancer Report 2014
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Lyon, France
Cho C. W.
,
Han C. J.
,
Rhee Y. K.
,
Lee Y. C.
,
Shin K. S.
,
Hong H. D.
2014
Immuno stimulatory effects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makgeolli (Traditional Korean rice wine)
Molecules
19
5266 -
5277
Cho K. N.
,
Sukhthankar M.
,
Lee S. H.
,
Yoon J. H.
,
Baek S. J.
2007
Green tea catechin (−)-epicatechin gallate induces tumour suppressor protein ATF3 via EGR-1 activation
Eur J Cancer
43
2404 -
2412
Cho S. Y.
,
Park J. W.
,
Rhee C.
1998
Edible films from protein concentration of rice wine meal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097 -
1106
Fletcher R.
,
Lobb R.
,
Bauser M.
2007
Screening patients with a family history of colorectal cancer
J Gen Intern Med
22
508 -
513
Gary A. P.
,
Alanna L. K.
,
Mary K.
,
Gerhard S.
,
Nancy S.
,
Paul H. G.
,
Klaus B.
,
Randall W. B.
,
David S. A.
,
Rifat P.
,
Dennis J. A.
1995
Antineoplastic drugs sulinac sulifide and sulfone inhibit cell growth by inducing apoptosis
Cancer Res
55
3110 -
3116
Jagveer S.
,
Rachid H.
,
Bandaru S. R.
1997
Dietary Fat and Colon Cancer : Modulationg effect of types and amount of dietary fat on ras-p21 function during promotion and progression stages of colon cancer
Cancer Res
57
253 -
258
Jang J. H.
1989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Korean J Dietary Culture
4
271 -
274
Kim M. J.
2002
The study about traditional Nuruk
J Natural Sci
9
291 -
310
Kim T. Y.
,
Jeon T. W.
,
Yeo S. H.
,
Kim S. B.
,
Kim J. S.
,
Kwak J. S.
2010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SOD-like activity effect of Jubak extracts
Korean J Food Nutr
23
299 -
305
Lai C. Y.
,
Tsai A. C.
,
Chen M. C.
,
Chang L. H.
,
Sun H. L.
,
Chang Y. L.
,
Chen C. C.
,
Teng C. M.
,
Pan S. L.
2012
Aciculatin induces p53-dependent apoptosis via MDM2 depletion in human cancer cells in vitro and in vivo
PLoS One
7
e42192 -
Lee C. H.
1993
History of Korean liquor
Bioindustry News
6
4058 -
4061
Lee S. S.
,
Kim K. S.
,
Eom A. H.
,
Sung C. K.
,
Hong I. P.
2002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rice-wines made from culture of the single fungi isolate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Korean J Mycol
30
61 -
65
Lewis J. K.
,
Addison W.
2005
Principles of cancer biology
Benjamin Cummings
San Francisco, USA
11 -
30
Lukasz D.
,
Ewa M. P.
2014
Lifestyle modifications and colorectal cancer
Curr Colorectal Cancer Rep
10
45 -
54
Sano R.
,
Reed J. C.
2013
ER stress-induced cell death mechanisms
Biochim Biophys Acta
1833
3460 -
3470
Shimizu M.
,
Deguchi A.
,
Hara Y.
,
Moriwaki H.
,
Weinstein I. B.
2005
EGCG inhibits activation of the insulin- like growth factor-1 receptor in human colon cancer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34
947 -
953
Shon S. H.
,
Kim Y. H.
,
Bae S. M.
1990
Takju brewing of uncooked rice starch using Rhizopus koji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18
506 -
510
Whitlock N. C.
,
Bahn J. H.
,
Lee S. H.
,
Eling T. E.
,
Baek S. J.
2011
Resveratrol-induced apoptosis is mediated by early growth response-1, Krüppel-like factor 4, and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3
Cancer Prev Res (Phila)
4
116 -
127
Won W. J.
2013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Korea
19 -
39
Yang M. H.
,
Kim J.
,
Khan I. A.
,
Walker L. A.
,
Khan S. I.
2014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activated gene-1 (NAG-1) modulators from natural products as anti- cancer agents
Life Sci
100
75 -
84
Yu D. S.
,
Yu H. Y.
2011
Traditional Korean Fermenter, Nuruk of Original Form and Excellency
World Science
Seoul, Korea
17 -
27
Yu T. S.
,
Kim H. S.
,
Hong J.
,
Ha H. P.
,
Kim T. Y.
,
Yoon I. W.
1996
Bibliographical study on microorganism of Nuruk (Until 1945)
J Korean Soc Food Nutr
25
170 -
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