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silver blouse design by applying modularization. The precedent study of the researcher was used to analyze the design characteristics that were displayed in domestic and foreign silver blouses. This study was taken as the follow-up research as the module components and range of the silver blouse were set up and it was based on to suggest a silver blouse design with application of modularization. The intention was to base on the module system used in various fields to apply the modularization method on the module design research of silver blouse and as a result, it was derived into 6 types. The traditional design reflected on the characteristic of how the silver generation prioritizes practicality and in order to emphasize this,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apply the fastener and folding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The contemporary design reflected on the characteristic of how the silver generation prioritizes aesthetics and in order to emphasize this,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apply the module composition method where integration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desire of the wearer for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The trendy design reflected on how the characteristic of the silver generation wants to look younger and the derived modularization method can be applied freely for expression. Since the range, structure, and formation where modularization can be applied are general, it is implied that there is a need to take sustainable development has to be conducted as the tool that can create different types of design.
1. 서 론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의복에 대한 관심과 수준이 날로 높아지고, 소비 패턴에 있어 주관이 뚜렷한 소비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개인의 특성과 라이프 스타일 등에 맞춘 고객 맞춤형 제품 및 서비스를 선보이면서 고객의 주문에 맞춰 제품을 제조하는 커스텀 메이드가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고객 개개인의 니즈를 명확하게 반영한 커스텀 메이드가 뷰티, 패션 등 다양한 업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추세다(“Custom Made”, 2014). 소비자들이 찾는 커스텀 메이드는 소비자가 개별치수와 디자인에 대하여 모듈화 된 구성요소를 선택하여 자신의 요구에 맞는 제품으로 생산하는 방식이며
(Ko, 2008)
, 이러한 방식은 다양한 소비자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하여 생산자가 소비자에게 몇 가지 선택의 여지를 주어, 소비자가 원하는 개별화된 제품을 주문에 의해 다양하게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나
(Kim, 2009)
, 현재는 트렌드에 따른 디자인의 변형이 적은 남성정장을 취급하는 업체에서만 일부 부분적으로 도입하고 있을 뿐 여성복 마켓에서는 여전히 기성복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Kim, 2010)
. 패션에서 모듈 디자인을 다룬 여러 선행연구들
(Song, 2011
;
Yang & Yang, 2006
;
Yang, 2008
;
Yoon & Lee, 2014)
에서는 건축에서 나타난 모듈화를 패션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에 대하여 언급되어지기는 하나, 실질적으로 이러한 모듈화를 적용한 디자인 연구는 기능성에
(Kim, 2007
;
Kim & Lee, 2009
;
Son, 2012)
치우친 것으로 나타났다. 요즘의 소비자들은 다양하고 폭넓은 선택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정확하게 얻기를 바라고 있다. 의복관심도 또한 높아지고 있을 뿐 아니라 다른 연령대에 비하여 체형의 다양성이 많이 나타나는 시기에 있는 실버세대의 경우, 개인차가 커서 의복 치수적합성에 대한 문제점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으나 기존의 기성복에서는 이러한 체형의 다양성을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현상으로 실버 세대들은 자신의 사이즈 및 취향에 충족되는 의복을 찾기가 더욱 어려워지게 되고, 사실상 실버 세대들의 다양한 디자인 요구가 적용되지 않고 있다. 최근 실버세대 여성층이 주로 찾는 매장의 블라우스 매출이 2013년보다 2014년이 20%가량 증가하였는데, 이는 젊고 유행에 뒤떨어지지 않는 패션을 선호하는 실버세대 여성 고객의 니즈가 반영된 결과로 보여진다. 이러한 다운에이징 현상은 앞으로도 크게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고, 업계는 최신 트렌드와 해당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상품개발이 필요해지고 있는 실정이다(“Longer blouse”, 2014). 이에 실버 여성들이 다른 의상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편하게 입을 수 있는 블라우스로 아이템을 선정하였으며
(Kim, 2015)
, 모듈화를 적용하여 실버 블라우스 디자인을 제안한다면 착용자가 기능 및 취향을 선택하기 쉽고, 여러 가지 형태로 재구성이 가능하며 체계적인 디자인 개발의 기초가 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서 실버 세대가 요구하는 패션의 특성과 모듈화의 방법을 도출하고, 모듈 구성요소와 범위 및 표본을 설정하여 모듈화를 적용한 실버 블라우스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이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연구자의 선행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는 실버 세대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서 실버 세대의 요구속성과 니즈를 파악하여 이들이 선호하는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건축, 디자인, 패션 분야의 모듈에 관한 선행연구, 건축과 패션과의 관련성에 관한 선행연구 등을 바탕으로 자료를 분석하여 모듈의 개념을 알아보고, 선행연구에서 적용된 모듈화의 방법 중 실버 블라우스 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모듈화를 도출하였다. 연구자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Kim & Lee, 2015)
실버 블라우스의 디자인 특성을 도출한 바 있으며, 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버 블라우스의 모듈 구성요소와 범위를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모듈화를 적용한 실버 블라우스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 2.1. 선행연구에 나타난 모듈화
모듈(module)은 건물 각 부분의 치수, 비율, 구조 등을 조정하기 위한 임의의 단위 기계 또는 시스템의 구성단위를 말한다. 더 나아가 모듈화(modularization)는 디자인에 있어서 디자인 전체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 및 부분들을 황금분할 개념 및 다양한 컨셉과 결부하여 분해 및 해체할 수 있는 모듈로 구성하고, 전체로 조립 및 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Lim & Lee, 2012)
. 오늘날 모듈은 건축, 공학, 예술, 디자인, 교육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그들의 설계나 구성에서 어떤 일정한 비례에 기본을 둔 기준 단위를 결정하고 그 조합에 따라 전체 질서를 세우기 위한 척도의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디자인 영역에서 활발하게 사용되는 개념이다
(Kim, 2009)
. 디자인 관점에서 모듈은 형태의 가변성을 부여하고 기능적 활용을 다양화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며
(Kim, 2009)
, 모듈은 소비자의 다양성을 충족시키고 타인과 차별화 된 개인의 기호를 충족시키면서 디자이너의 일방적 메시지가 아닌 소비자와의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Lee, 2010)
. 이러한 모듈성은 디자인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여러 디자인 표현 수단으로 활용도에 따라서 이해 범위와 활용도가 확대되어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모듈화의 방법은 몇 가지 방식으로 어떻게 단정 지을 수 없으며, 모듈의 응용을 통한 디자인의 확대 작업이고 조형적 구성과 정해진 일정한 형식에 따라 무난히 다양한 표현 방법을 이끌어 낼 수 있다
(Park, 2008)
. 이와 같이 모듈 디자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블라우스 디자인의 각 구성 부분들, 즉 의복 패턴을 모듈이라고 하였으며 이러한 모듈들을 독립적으로 분할시켜 디자인하고 결합하여 의복 구성 상 부분 변형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새로운 형태와 기능을 창의적으로 조합 하는 과정을 모듈화라고 하였다. 현재 모듈 시스템에 대해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건축 및 제품 디자인 분야의 선행 연구에 나타난 모듈 시스템이 패션에 어떻게 적용되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모듈의 조합 방법을 추출하여 실버 블라우스 디자인에 적합한 모듈화 기준을 마련하였다. 서로 유사한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디자인 분야별, 연구자별로 사용하는 용어의 차이가 있었다. 용어 표현의 차이는 각 분야의 전문성이 내포되어 나타났지만,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사례 분석을 통해 나타난 구조 방식과 연관성이 있었으며, 그 결과는
Fig. 1
과 같다.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모듈화 방법은 모듈을 분해하고 재배열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됨을 알 수 있었으며, 다음으로 공기주입 또는 이질적인 조작에 의한 방법이 많이 나타났다. 조립이라는 조합 방법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유닛들 간의 결합을 전제로 이루어지는 구조는 모두 조립의 방법에 포함하였다. 다음으로 패스너를 사용한 방법, 폴딩, 레이어링에 의한 방법이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건축 및 제품 디자인 분야에서 나타나는 모듈 시스템이 패션에 어떻게 적용되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모듈의 조합 방법을 선별한 결과, 해체 및 재배열, 조작, 조립, 패스너, 폴딩, 레이어링의 여섯 가지로 나타났으며, 이들 모듈화를 적용하여 실버 블라우스의 모듈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Modular method on preceding research.
- 2.2. 선행연구에 나타난 실버 세대의 패션 특성
실버 세대들의 패션 스타일에 관한 선행연구는 의류제품 요구속성과, 선호하는 디자인 등을 분석하였다. 실버 세대를 대상으로 의류제품 요구속성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Kim(2005)
의 연구에서는 심미성, 실용성, 상징성 요인이 나타났으며 디자인, 품질, 스타일 등의 심미적 요인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2006)
의 연구에서는 실용적 측면, 경제적 측면, 사회·심리적 측면의 3차원으로 분류하였으며,
Kim(2011)
의 연구에서는 맞음새, 편안함, 미적인면, 기능성, 품질, 가격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노화로 인한 체형변화와 신체적 단점을 의복으로 보완하고 싶어 한다고 하였다.
Hong and Lee(2010)
의 연구에서는 개인적 적합성, 실용성, 동조성, 경제성의 4차원으로 분류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종합해볼 때, 소비자들의 평가기준이 되는 의류 제품의 공통적인 요구 속성은 실용성, 심미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버 세대를 대상으로 의복 선호도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You(2000)
의 연구에서는 실제 착용감은 편해야 하지만 편안해 보이는 것은 선호하지 않아 실버 세대 여성들은 심미성에 더 큰 관심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 and Kim(2004)
의 연구에서는 50~60대 연령층이 우아한, 고급스러운, 품위있는 이미지를 현재보다 높게 추구하여 고급스러움과 품위는 배제할 수 없는 실버패션이미지로 입증되었으며, 디자인 선택 기준으로 체형커버, 젊고 개성적 순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또한
Yeo and Kwon(2005)
,
Chang(2005)
의 연구에서는 여성 노년층은 체형을 커버하는 디자인을 중요시 한다고 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종합해 볼 때,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의복을 선택하는 기준은 체형커버, 젊음, 무난, 유행 순으로 나타나 체형의 결점을 보완해주는 동시에 젊어 보이는 디자인에 가장 역점을 두는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버 세대를 대상으로 의복 이미지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Kim(2014)
의 연구에서는 뉴 실버 여성의 패션이미지 유형을 정장은 우아한 이미지 선호집단, 세련된 이미지 선호집단, 단정한 이미지 선호집단, 활동적 이미지 선호집단의 4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캐주얼웨어는 우아하고 활동적인 이미지 선호집단, 세련된 이미지 선호집단, 단정한 이미지 선호집단의 3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Kim et al.(2014)
의 연구에서는 시니어 여성의 패션이미지 유형을 개성추구 모던, 합리지향 베이직, 편안함 추구 컨펨포러리, 보수지향 엘레강스 등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실버 세대를 위한 맞춤형 블라우스를 디자인하기 위해 이상의 선행연구들을 종합해보면, 실용성이 강조된 트레디셔널한 스타일, 심미성이 강조된 컨템포러리한 스타일, 유행성이 강조된 트렌디한 스타일로 분류하고, 이를 고려하여 디자인을 제안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실버 블라우스의 모듈 디자인 제안
- 3.1. 실버 블라우스의 모듈 구성 요소와 범위
연구자는 선행연구로서 실버 세대를 위한 국내·외 블라우스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 분석을 통해 디자인 분석 기준을 세운바 있으며
(Kim & Lee, 2015)
, 선행연구를 통해 실루엣, 피트성, 길이 등이 포함되는 바디스 보다 칼라 및 네크라인, 슬리브, 여밈 등이 디자인 변형이 쉽다는 것을 알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실버 블라우스의 모듈 구성 요소와 범위를 설정하였다. 실버 블라우스의 구성 요소와 범위는 형태적 디자인 특성과 장식적 디자인 특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각의 특성에 해당하는 디자인과 형태는
Table 1
과 같다.
Module component and scope of blouse for silver generation
Component of module | Scope |
|
Formative design | Collar & neckline | Collar | Shirt, Stand, Bow·Tie, Flat, Tailored, Shawl |
Neckline | Round, V, Square |
Sleeve | Type of Sleeve | Basic, Kimono, Puff, Raglan, Sleeveless, Bell |
Sleeve length | Sleeveless, Cap, Short, Elbow, Three-quarter, Long |
Type of cuffs | Shirt, Band, Knit |
Fastening | Position | Front, Back |
Types | Button, Zipper |
Decorative design | Detail & trimming | Types | Frill, Ruffle, Flounce, Piping, Top stitching, Binding, Pin-tuck, Shirring, Applique, Beads, Braid, Spangle |
Position | Overall, Collar&Neckline, Shoulder, Cuffs, Center, Hemline |
Size | Large, Medium, Small |
Direction | Width, Height, Slant |
Amount | Less than 30%, Less than 30~50%, Less than 50~70%, More than 70% |
의복의 형태적 디자인 특성은 평면상태의 옷감을 인체에 맞도록 입체화시키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구조상의 디자인으로, 칼라, 네크라인, 슬리브 등이 이에 해당한다. 장식적 디자인의 특성은 디자인의 미적 표현을 돕기 위하여 디테일 선을 특이하게 변화시키거나, 또는 장식품을 덧붙여 의복의 장식성을 높이는 것으로, 디테일 및 트리밍 등이 이에 해당한다.
- 3.2. 실버 블라우스 디자인의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표본
실버 블라우스의 모듈 구성 요소와 범위에 의해서 추출한 각 구성모듈의 표본들은 다음과 같다. 연구자의 선행연구를 통해 실버 블라우스를 구성하고 있는 각 구성요소에 대한 특성을 파악함으로서 합리적인 모듈 구성 요소를 선정하고, 이들 각 모듈의 형태 정보를 도식화 이미지로 제작하여 표준화함으로서, 쉽게 조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칼라 및 네크라인은 실버 블라우스의 목둘레에 적용되는 부분을 말한다. 연구자의 선행연구에서 많이 나타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칼라는 셔츠칼라, 스탠드 칼라, 보우·타이칼라, 플랫칼라, 테일러드 칼라, 숄칼라로 분류하였으며, 네크라인은 라운드 네크라인, V 네크라인, 스퀘어 네크라인으로 분류하였다. 칼라 및 네크라인의 변형의 정도에 따라 배열하면 다음과 같다(
Table 2
). 셔츠칼라는 끝 모양의 변화와 길이의 변화로 구분되며, 스탠드 칼라는 너비의 변화로 구분된다. 보우·타이 칼라는 매는 방법의 차이도 있지만 너비의 변화와 길이의 변화로 구분되며, 플랫칼라는 끝 모양의 변화와 너비의 변화로 구분된다. 테일러드 칼라와 숄 칼라는 너비의 변화와 길이의 변화로 구분된다. 라운드 네크라인과 V 네크라인, 스퀘어 네크라인은 깊이의 변화와 너비의 변화로 구분된다.
Collar & neckline modular figure of blouse for silver generation
Type | Basic | Variation |
|
Collar | Shirt collar |  |
Stand collar |  |
Bow·tie collar |  |
Flat collar |  |
Tailored collar |  |
Shawl collar |  |
Neckline | Round neckline |  |
V neckline |  |
Squared neckline |  |
슬리브는 슬리브 종류, 슬리브 길이, 커프스 유무로 나눌 수 있다. 연구자의 선행연구에서 많이 나타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슬리브 종류의 종류는 베이직, 기모노, 퍼프, 래글런, 슬리브리스, 벨 슬리브로 분류하였으며, 커프스 종류는 셔츠 커프스, 밴드 커프스, 니트 커프스, 커프스 없음으로 분류하였다. 슬리브 및 커프스 종류의 변형의 정도에 따라 배열하면 다음과 같다(
Table 3
). 기모노와 퍼프, 래글런 슬리브는 어깨의 변화와 소매부리의 변화로 구분된다. 셔츠 커프스는 끝 모양의 변화와 너비의 변화로 구분되며, 밴드 커프스와 니트 커프스는 너비의 변화로 구분된다.
Sleeve & cuffs type modular figure of blouse for silver generation
| Basic | Sleeve type | Variation |
|
Sleeve |  | Kimono sleeve |  |
Puff sleeve |  |
Raglan sleeve |  |
Sleeveless |  |
Bell sleeve |  |
Cuffs |  | Shirt cuffs |  |
Band cuffs |  |
Knit cuffs |  |
슬리브 길이는 슬리브리스, 캡, 쇼트, 엘보, 스리쿼터, 롱으로 분류하였으며(
Table 4
), 길이에 따라 배열하면 다음과 같다.
Sleeve length modular figure of blouse for silver generation
Sleeveless | Cap | Short | Elbow | Three-quarter | Long |
|
 |  |  |  |  |  |
여밈 위치는 앞여밈, 뒤여밈이 주로 나타났으며, 연구자의 선행연구 많이 나타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여밈 위치를 앞 부분 여밈, 앞 전체 여밈, 뒤 부분 여밈으로 분류하였다. 여밈 방법은 단추와 지퍼가 주로 나타났으며, 연구자의 선행연구에서 많이 나타난 것을 기준으로 하여 단추, 지퍼로 분류하였다(
Table 5
). 단추는 종류 및 위치, 사용된 개수로 구분되며, 지퍼는 콘솔 지퍼를 말한다.
Position of fastener & fastening modular figure of blouse for silver generation
Position of fastene | Part of front 1 | Part of front 2 | Front | Part of back | |
|
 |  |  |  | |
Fastening | Button 1 | Button 2 | Button 3 | Button 4 | Hidden zipper |
 |  |  |  |  |
디테일은 실버 블라우스에서 세부 장식 요소를 말하며, 다양한 부위에 적용할 수 있다. 연구자의 선행연구에서 많이 나타난 것을 기준으로 하여 디테일의 종류를 프릴, 러플, 플라운스, 셔링, 파이핑, 탑스티칭, 바인딩, 핀턱, 아플리케, 비즈, 브레이드, 스팽글로 분류하였다(
Table 6
). 디테일은 위치의 변화와 크기의 변화, 방향의 변화, 양의 변화로 구분된다.
Detail modular figure of blouse for silver generation
Frill | Ruffle | Flounce | Shirring |
|
 |
Piping | Top stitching | Binding | Pin-tuck |
 |
Applique | Beads | Braid | Spangle |
 |
- 3.3. 실버 블라우스의 모듈 디자인
- 1) 실버 블라우스의 모듈 디자인 목표
모듈화를 적용한 실버 세대를 위한 블라우스의 디자인을 제안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실버 블라우스에 적합한 모듈 조합 방법으로 해체 및 재배열, 조작, 조립, 패스너, 폴딩, 레이어링의 여섯 가지로 선정하였다. 또한 실버 세대의 패션 스타일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실버 세대는 체형을 커버하는 동시에 실용성과 심미성, 젊어 보이는 유행성을 반영한 의복을 요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실버 세대가 요구하는 세부적인 요소들과, 선정된 모듈의 조합방식을 적용하여 실버 세대의 다양한 개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스타일을 Traditional, Contemporary, Trendy와 같이 3가지로 분류하여 디자인을 제안하였으며, 그 과정은
Fig. 2
와 같다.
Development process of blouse design for silver generation.
- 2) 실버 블라우스의 모듈 디자인 전개 과정
앞에서의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모듈 전개 방식과 실버 세대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버 블라우스의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자의 선행연구를 통해 국내·외 실버 블라우스 종류중 셔츠 블라우스가 가장 많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셔츠 블라우스는 일정기간 변화없이 지속되는 클래식 아이템이면서 성별구분, 연령구분 없이 누구나 착용할 수 있는 품목이라는 점에서 소비자들에게 효용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포멀에서 캐쥬얼까지 확대·적용이 가능한 활용도가 높은 아이템이지만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기본형의 디자인에서 크게 벗어 나지 못하고 있다는
Seok and Choi(2012)
의 선행연구 결과를 전제로 하여 셔츠 블라우스를 기본형으로 설정하고 디자인을 전개해 보고자 한다. 이상으로 모듈화를 적용한 실버 블라우스의 디자인 전개과정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면
Fig. 3
과 같다.
Develop process of blouse module design for silver generation.
- 3) 실버 블라우스의 모듈 디자인 제안
모듈화를 적용한 실버 블라우스의 모듈 디자인을 제안하면
Table 7
과 같다.
Proposal blouse design for silver generation using modularization
Basic | Style | Design proposal |
|
Deconstruction & reconstruction | Operation | Assembling | Fastener | Folding | Layering |
|
 | Traditional |  |
Contemporary |  |
Trendy |  |
Traditional한 디자인은 외관보다 활동성을 중시하여 실용성이 강조된 스타일로, 유행을 타지 않는 베이직한 스타일과 보편적인 이미지를 추구한다. 유행을 타지 않는 기본적인 디자인을 선호하며, 활동적이고 합리적인 특성을 보이므로 실용성이 강조되는 스타일이다. 모듈을 해체하고 재배열하는 방법은 실버 블라우스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또는 장식적인 디자인을 각각의 독립적인 모듈로 보고 구성 요소들의 조립과 분해를 의도한 모듈화 방법으로, 기본 블라우스 형태에서 주머니를 분리하여 위치를 재배치함으로써 실용성이 강조되었다. 조작은 의복의 내·외부의 조작에 의해 의복의 실루엣, 길이 등이 변형되는 것으로 블라우스의 몸통부분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실루엣의 변화가 일어나는 동시에 보온성도 강조된다. 모듈의 조합은 블라우스를 구성하고 있는 각 모듈을 착용자가 선택하여 조합하는 방법으로, 연구자의 선행연구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구성요소들을 조합해 보았다. 패스너를 활용한 모듈의 조합은 탈, 부착을 위해서 주로 단추나 지퍼 등의 패스너가 많이 활용된 방식으로, 기본 블라우스 형태에서 여러 개의 단추를 제거하고 지퍼로 바꿔줌으로써 입고 벗기에 용이해졌다. 폴딩은 의복의 일부를 접어 내부에 숨겼다가 펼치는 과정에 의해 변형을 이루는 방법으로, 길이가 블라우스를 접었다 폈다 함으로써 길이의 변화가 일어난다. 레이어링은 구성요소들을 불규칙하게 겹쳐 쌓아 배치하거나 디테일만을 강조하여 중첩시키는 방법으로, 블라우스의 앞부분을 한 겹 덧댐으로서 체형 커버에 효과적인 실버 블라우스의 디자인이다.
Contemporary한 디자인은 현대적인 스타일을 선호하며 체형이 드러나지 않고 편안한 스타일을 연출하면서 소매, 여밈, 밑단 등 작은 디테일에 변화를 주는 스타일로서, 편안한 스타일과 컨템포러리한 디자인이 강조된다. 모듈을 해체하고 재배열하는 방법을 적용한 디자인은 주머니를 아래쪽에 더 추가하고 안으로 숨김으로써 실용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단정한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으며, 조작을 적용한 디자인은 뒷 부분을 바지나 스커트 속에 넣어 입으면 사각형의 실루엣이 빼내어 입으면 A라인으로 변하는 형태로 실루엣의 변화가 일어난다. 모듈의 조합을 적용한 디자인은 블라우스를 구성하고 있는 각 모듈을 착용자가 선택하여 조합하는 방법으로, 연구자의 선행연구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구성요들을 조합해 보았다. 패스너를 활용한 디자인은 단추의 위치를 앞판에서 어깨와 팔 부분으로 옮김으로 써 팔 부분의 움직임이 불편한 실버 세대들이 입고 벗기에 더욱 쉬워졌다. 폴딩을 적용한 디자인은 앞부분을 접어서 디테일을 표현함으로써 접은 디테일을 착용자가 체형에 따라 하나씩 풀거나 접어서 피트성을 조절할 수 있다. 레이어링을 적용한 디자인은 블라우스의 한쪽 앞 부분만 한 겹 덧대어 줌으로써 체형 커버와 동시에 미적인 면을 강조한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Trendy한 디자인은 젊은 감각을 가지고 패션에 관심이 높은 세련되고 도회적인 스타일을과 젊어 보이고 세련된 패션 스타일이 강조되는 스타일이다. 모듈을 분해하고 재배열하는 방법을 적용한 디자인은 주머니를 반대쪽에 하나 더 배치하고 디테일을 추가해 줌으로써 젊은 감각이 한층 더해졌다. 조작을 적용한 디자인은 의한 모듈의 조합에서 앞판을 한 장 더 추가함으로써 디테일이 추가되고 동시에 체형의 결점도 가릴 수 있게 되었다. 모듈의 조합을 적용한 디자인은 블라우스를 구성하고 있는 각 모듈을 착용자가 선택하여 조합하는 방법으로, 연구자의 선행연구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구성요들을 조합해 보았다. 패스너를 활용한 디자인은 단추를 모두 제거하고 어깨와 팔 부분 전체에 지퍼를 달아줌으로서 팔 부분의 움직임이 불편한 실버 세대들이 입고 벗기에 더욱 쉬워졌다. 폴딩을 적용한 디자인은 앞부분을 접으면 몸에 피트되고 접었던 부분을 풀면 박시해지는 실루엣의 변화가 일어나는 디자인이다. 레이어링을 적용한 디자인은 블라우스 속에 원피스를 덧대어줌으로써 체형커버와 동시에 젊은 감각을 강조한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4. 결 론
이 연구는 국내·외 실버 블라우스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을 분석한 연구자의 선행연구의 후속연구로서 실버 블라우스의 모듈 구성 요소와 범위를 설정하고 선행연구에 나타난 모듈화를 분석하고 적용하여 실버 블라우스의 모듈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건축, 제품, 패션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듈 시스템을 기초로 실버 블라우스의 모듈 디자인 연구에 모듈화 방법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실버 블라우스의 모듈 디자인을 위한 모듈화의 방법은 해체 및 재배열, 조작, 조립, 패스너, 폴딩, 레이어링의 6가지로 도출되었다. 해체 및 재배열을 적용한 모듈화의 방법은 모듈들이 어떻게 재배열되느냐에 따라 실버 블라우스는 새로운 형상을 갖추었는데, 이는 정형화되고 딱딱한 아이템들을 자유로운 실루엣으로 재해석할 수도 있는 방법으로, 기존의 정형화된 디자인에서 창의적인 디자인을 도출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며, 모듈을 조립하는 방법을 적용하면 실버 세대들이 요구하는 개인적인 적합성 및 심미성을 강조한 디자인을 제안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패스너를 적용한 모듈화의 방법은 실버 블라우스의 부분이나 전체를 탈, 부착 할 수 있거나 다른 형태로 변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실버 블라우스 구성의 일부가 아닌 전체를 분리시키는 경우는 새로운 조합이 된다. 패스너와 폴딩을 적용한 모듈화의 방법은 실버 세대들이 요구하는 실용성을 강조한 디자인을 제안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며, 조작을 적용한 모듈화의 방법은 기능성을 강조한 디자인을 제안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실버 블라우스의 모듈 구성요소와 범위 및 표본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실버 블라우스 디자인에서는 칼라 및 네크라인 및 디테일에서 많은 표본이 도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의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정립된 모듈화 및 실버 세대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버 블라우스의 모듈 디자인을 제안하는데 Traditional, Contemporary, Trendy한 디자인 같이 3가지의 라인을 설정하여 제안하였으며, Traditional한 디자인은 실용성을 중요시여기는 실버 세대의 특성을 반영하였으며 실용성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패스너와 폴딩의 모듈화 방법을 적용하여 실버블라우스의 모듈 디자인을 전개한다면 더 효과적일 것이다. Contemporary한 디자인은 심미성을 중요시여기는 실버 세대의 특성을 반영하였으며, 심미성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착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합이 가능한 모듈의 조합방법을 적용하여 실버 블라우스의 모듈 디자인을 전개한다면 더 효과적일 것이다. Trendy한 디자인은 젊어 보이기를 원하는 실버 세대의 특성을 반영하였으며 도출된 모듈화의 방법을 자유롭게 적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모듈화를 적용할 수 있는 범위나 구조와 변형 방식의 범위가 넓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을 창출하는 도구로 지속적인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실버 세대가 증가하고 이들의 경제력에 따른 구매력 측면에서 볼 때, 젊은 감각의 트렌드가 가미된 다양한 디자인이 필요한 국내 환경에서 모듈화를 적용한 실버 블라우스 디자인 연구는 적합한 심미성을 가지는 실버 블라우스의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모듈 디자인을 제안하는데 있어서 도식화로만 한정하여 디자인이 제시되었으나, 차후 다음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실버 블라우스 디자인을 이용하여 실제품으로 제작하여 실버 세대 여성들의 직접적인 의견 및 전문가들의 의견을 병행하여 좀 더 정확하고 세부적인 요구사항을 모듈 디자인 도출에 반영하여 연구한다면 더욱 깊이 있고 다양한 모듈 디자인과 분석이 이루어 질 것이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 BK21 플러스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관리번호 22B20130011027/부산대학교 의류학과 실버세대를 위한 건강의류 디자인 사업팀).
Chang A. H.
(2005)
A study on fashion design of silver age: Focused on elderly women’s clothing design preference: An application of delphi method.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7
(6)
577 -
584
Hong K. H.
,
Lee Y. J.
(2010)
Clothing selection criteria and the use of fashion information sources based on the perceived age of elderly female consumers in their 60s~7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
(2)
200 -
211
DOI : 10.5850/JKSCT.2010.34.2.200
Kang D. W.
2014
The number of customers looking for their own thing is increasing. Custom made is popular.
Money Week
from
Kim C. H.
(2014)
New elderly women’s pursued-images according to the clothing types: Focusing on formal and casual wear.
Journal of Digital Design
14
(4)
569 -
580
Kim D. E.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5)
The characteristics of blouse design for the silver generation and development of module desig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im D. E.
,
Lee K. H.
(2015)
Analysis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blouse for silver generation in domestic and foreig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
(1)
32 -
44
DOI : 10.7741/rjcc.2015.23.1.032
Kim H.
(2009)
Research on introduction of module system of product: Based on analysis of types and shapes elements of module systems.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22
415 -
426
Kim J. H.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011)
Comparison of clothes behaviors with clothes preference of senior females according to their ages.
Kyunsung University
Pusa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im J. S.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006)
A study on the spending behaviors, related to the cognitive age of the consumers in the elderly gener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im M. Y.
,
Kim Y. D.
(2004)
A study on clothing preference images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
(6)
746 -
757
Kim S. A.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010)
A study of automated custom-made pattern development system for elderly women for mass-customiz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im S. K.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5)
A study on the clothes purchasing behavior depending on the self-perceived and leisure-activity of new oldgeneration wome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im Y. K.
(200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totype in jacket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3
(2)
46 -
54
Kim Y. K.
,
Lee H. Y.
(2009)
Development of a design prototype for winter outdoor smart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5
(3)
339 -
355
Kim Y. I.
,
Kim H. Y.
,
Hahn S. W.
,
Hong Y. J.
(2014)
Fashion image classification of senior women based on the fashion style, preference color, and self-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
(3)
142 -
154
DOI : 10.7233/jksc.2014.64.3.142
Ko H. J.
(2008)
The customized modern fashion product desig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58
(3)
93 -
104
Lee H. J.
(2010)
A study on modularity concepts of furniture design: Focus on fractal concepts.
Journal of Korea Furniture Society
21
(5)
380 -
391
Lim S. Y.
,
Lee J. H.
(2012)
A study on the modularity in clothing design.
Journal of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4
(2)
1 -
10
Park D. J.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8)
A study on the expansion module system of application for animal pictogram desig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 E. K.
,
Choi J. W.
(2012)
Recommendation on formative dress shirts design based on collection 2004~2012: With New York, London, Milano and Paris collection.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24
224 -
237
Son S. M.
(2012)
Air-containing multi-functional jacket design utilizing modular systems: Focused on cushioning, heat insulation and portability.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0
(2)
222 -
237
DOI : 10.7741/rjcc.2012.20.2.222
Song K. H.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1)
A study on modularity of the contemporary fashion in the perspective of rhizome.
Hongik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Yang H. Y.
(2008)
Modular system expressed in structural system of fashion since the late of 20C: Focusing on the fashion of Yeohlee Teng, John Ribbe, and Galya Rosenfel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
(5)
788 -
799
DOI : 10.5850/JKSCT.2008.32.5.788
Yang H. Y.
,
Yang S. H.
(2006)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aradigms expressed in fashion since 199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
(7)
85 -
100
Yeo H. R.
,
Kwon Y. S.
(2005)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lderly males and females’s clothing lif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
(1)
177 -
188
Yoon J. A.
,
Lee Y. H.
(2014)
The structural method of modular system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
(5)
776 -
793
DOI : 10.7741/rjcc.2014.22.5.776
Yoon J. H.
2014
Take years off with longer blouse.
The Korea Herald
from
You K. S.
(2000)
A study on clothing design preference and purchase associated with gender of the ag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
(7)
155 -
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