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initiated to understand design and detail characteristics of coats that targeted new senior women by analyzing shape, color, fabric and detail. For the new senior, youthful appearance has more appeal than products that represent elder's style. Among , the coa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as a trendy fashion item that targets seniors since it is more useful to hide figures than pants, blouses or jackets.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First, examine design characteristics of new senior women’s coat. Second, underst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new senior women’s coat. Thir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of collars and details according to type of new senior women’s coat. Photographs collected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ype of coat. Three types of coat (balmacaan, redingote and trench) were chosen to analyze with the highest frequency. The results of analyzing shape, length, color and fabric of the products made in domestic and foreign brands were similar; however, the collar and way of fastening showed significant results that required specific analysis since the design elements were related to maincoat characteristics in protecting against the cold. The depth of the V-zone can change without change of collar width and design changes in V-zone that influence the coat image that lead to changes in sleeve type and length (or fastening and closing position) method.
1. 서 론
오늘날의 고령사회는 과거의 고령세대와는 달리 여유있는 자산으로 적극적인 소비 활동을 하는 고령 사회의 새로운 소비계층인 뉴 시니어(New Senior)세대가 미래 소비시장의 주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011)
. 이들은 풍부한 경제력과 고학력에 따른 높은 문화 수준을 향유하고 있으며 외모에도 관심이 많고, 스포츠·레저 등을 즐기면서 보다 질 높은 삶을 추구한다
(Park, 2004)
. 이전의 50대 여성들과 달리 30대 여성 정도의 스타일을 추구하고, 여전히 젊은 감각을 유지하는 소비패턴을 보인다
(Lee, 2014)
. 고령자의 이미지가 강한 상품보다는 젊은 감각의 상품이 뉴 시니어에게 어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과거의 시니어 브랜드는 디자인이 지나치게 아줌마스럽고, 젊은 브랜드는 핏이 달라 옷을 고르기 어려워하는 50, 60대가 많다
(Kim, 2012a)
. 특히, 시니어들을 대상으로 하는 패션 아이템 중 코트는 팬츠, 블라우스, 재킷 등에 비해 체형을 가리기 용이하면서 트렌디하게 스타일링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높은 아이템이라고 할 수 있다. 코트는 가장 바깥쪽에 착용되므로 착용자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Lee & Kim, 2004)
.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는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디자인개발
(Seok & Han, 2011)
과 의복구성을 위한 체형분석
(Lee, 2012)
, 패션 이미지
(Park, 2012)
, 디자인 및 선호도
(Kwen, 2012
;
Namgung, 2007)
, 의복 만족도와 의복구매행동
(Gal, 2014)
등이 있다. 시니어 여성복 디자인의 아이템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요양복
(Kim, 2006)
, 언더웨어
(Cha, 2008
;
Lee, 2008a)
, 니트웨어
(Lee, 2009)
, 아웃도어 웨어
(Cho et al., 2014)
등이 있으나, 시니어 여성 코트 디자인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코트의 유형분류와 디자인 특성
(Lee & Kim, 2004)
, 오버코트
(Kim, 2004)
, 트렌치코트
(Kim, 2007
;
Kim, 2011
;
Kim, 2012b)
, 답호를 응용한 코트 디자인
(Kim, 2009)
, 청대 복식요소를 활용한 현대 코트 디자인
(Kang, 2011)
, 장옷을 이용한 코트 디자인
(Yu, 2014)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뉴 시니어층의 새로운 소비 감성을 만족시켜주는 다양한 코트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연구는 국내·외 백화점 브랜드 중 뉴 시니어 여성 코트의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코트는 형태, 용도, 인명, 소재 등에 따라 명칭을 달리하고 디자인 특징도 다르다(Bunka Fashion, 2013). 선행연구 및 참고문헌을 바탕으로 코트의 전통적인 명칭에 따라 분류한 뒤, 선행연구와 관련문헌
(Kang, 2010
;
Kim, 2012b
;
Kim, 2004
;
Lee & Kim, 2004
;
Lee, 2008b)
을 참고로 실루엣, 길이, 색채, 재질을 기준으로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의복의 가장 기본적인 인상과 선을 결정짓는 네크라인
(Lee & Suh, 1998)
과 칼라를 포함한 V존에 해당하는 디테일(소매, 칼라, 여밈, V존 깊이) 특성을 코트 종류별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뉴 시니어 여성코트의 디자인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뉴 시니어 여성코트의 디테일 특성을 알아본다. 셋째, 뉴 시니어 여성코트 종류별 칼라종류와 디테일의 관계를 알아본다. 넷째, 칼라 종류에 따른 뉴 시니어 여성코트의 디자인을 제시한다.
2. 이론적 배경
뉴 시니어는 앞으로 노년기에 접어들 1955년~1963년 사이에 출생한 베이비 붐 세대, 지금까지의 노인세대와는 다른 새로운 노인세대(New Senior)를 지칭한다(“Cultural mainstream”, 2014).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이들 뉴 시니어세대가 2010년 한국 전체 인구의 14.6% 약 713만명을 차지하고 있다(“2013 statistics about the older population”, 2013). 이 세대는 한국전쟁 후 급격한 출산 붐을 타고 태어나 산업화와 민주화, 외환위기 등 격변의 세월을 겪어 온 세대이며, 전쟁 후의 황폐해진 시대에 태어나 국가주도하의 경제개발의 혜택을 서서히 향유해 오면서 동시에 상대적 빈곤의 심화를 경험한 세대라 할 수 있다
(Ham, 2002)
. 합리적인 생활방식을 추구하는 그들은 각자의 경제적 능력 안에서 계획적인 노후 설계를 통해 독립된 생활을 보장받고 싶어 할 뿐 아니라 사회적 약자에게도 관대하며, 신체적·정신적 변화를 오히려 자기실현 기회의 발판으로 삼아 미래지향적인 삶을 영위하고자 한다. 또한 나이는 젊음과 별개이며 타 문화의 교류와 디지털 기기의 사용으로 지식과 지혜를 공유하거나 유행의 빠른 습득으로 다른 세대와의 소통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세대는 삶의 과정 동안 문화·경제적으로 급속한 발전을 유도한 세대라는 점과 여유 있는 자산을 기반으로 적극적 소비활동을 한다는 점에서 종전의 시니어 세대와는 구분되는 ‘뉴 시니어’라는 새로운 세대로 명명되고 있다
(SERI, 2011)
.
코트(coat)는 가장 겉에 입는 의상의 총칭으로 추위, 비, 눈 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입는다
(Kim, 2005)
. 다른 의복들과 달리 실외에서만 착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Lee, 2003)
. 코트는 본래의 목적이 방한용이기 때문에 보통 두꺼운 복지가 쓰이고 코트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긴 편이며 다른 옷 위에 덧입도록 되어 있다. 특히 코트는 일반적으로 소매가 달려 있고 앞이나 옆이 터져 있지만 유행에 따라 형태와 길이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고 지나치게 유행을 타는 것을 피하고 실용적이어야 한다
(Kim et al., 2000)
. 코트는 형태, 용도, 인명, 소재, 지역, 길이, 실루엣 등에 따라 명칭을 달리하고 디자인 특징도 다르다. 전통적인 코트는 주로 체스터필드 코트, 발마칸 코트, 트렌치 코트, 더플 코트, 피 코트 등으로 나뉘고 있다. 현대의 코트는 길이와 실루엣뿐만 아니라 넓이와 폭, 재단, 디테일 등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종류를 보이고 있다. 계절에 따라 스프링 코트, 섬머 코트로 분류하거나, 활동목적에 따라 가운 코트, 라이딩 코트, 봅버 코트, 부시 코트, 피 코트로 분류 된다. 또 지역에 따라 맨더린 코트, 로덴 코트, 발마칸 코트, 스노 코트, 스패니시 코트, 알래스칸 코트로 분류되며, 코트의 구성요소인 네크라인 및 칼라의 종류에 따라 세일러 코트, 셔츠 코트, 보아 코트, 케이프칼라 코트, 풀칼라 코트, 실루엣 및 길이에 따라 박스 코트, 배럴 코트, 프린세스라인 코트, 하프 코트, 롱 코트, 쇼트 코트, 베이크 코트, 스리커터 코트, 스웨거 코트, 스윙 코트, 슬림 코트, 여밈에 따라 더플 코트, 랩 코트, 소매에 따라 래글런 코트, 비숍 코트, 소재에 따라 니티드 코트, 그레이트 코트, 퍼 코트, 래더 코트, 소프트 코트, 시어링 코트 등으로 나뉜다. 이와 같이 코트의 종류는 현대로 오면서 계절, 용도, 길이, 실루엣, 칼라, 여밈, 소매, 소재 등에 의해 여러 종류로 나뉘고 있으며 겨울철 멋과 방한을 위한 필수품목의 하나라는 특징이 있다.
3. 연구 방법
- 3.1. 자료 수집
자료수집대상이 되는 브랜드로 패션브랜드연감(2012~2013)의 자료에서 뉴 시니어층을 타켓으로 한 제품군을 포함하면서 백화점에 입점한 국내 22개 브랜드와 국외 52개 브랜드를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국내·외 대표 백화점-신세계(shinsegaemall. ssg.com), 롯데(lotte.com), 셀프리지(selfridges.com), 해로드(harrods.com)의 웹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졌다. 웹사이트에서는 현 시즌에 판매되고 있는 사진만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시즌이 마감된 사진자료는 수집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현 시즌에서만 수집이 용이한 관계로 2013년 11월 15일부터 2014년 1월 14일까지 웹사이트를 통해 2013/14년 F/W 뉴 시니어 여성코트의 사진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사진자극물은 패션디자인 전공 박사 및 석사과정 대학원생 5명을 중심으로 여러 번의 타당성 검증을 받았다. 사진자료 730장(발마칸, 르뎅고트, 트렌치, 랩, 파카, 더플, 피, 드레스, 케이프)에서 빈도가 높은 3가지 코트 536장(발마칸 272장, 르뎅고트 183장, 트렌치 81장)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 3.2.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사진은 어깨너비를 기준으로 크기를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뉴 시니어 여성코트의 디자인 특성과 디테일 특성을 분석하는 기준은 선행연구와 관련문헌
(Kang, 2010
;
Kim, 2004
;
Kim, 2012b
;
Lee & Kim, 2004
;
Lee, 2008b)
을 참고로 코트 종류, 형태, 색채, 재질, 디테일로 분류하였다(
Table 1
). 코트는 형태, 용도, 인명, 소재 등에 따라 명칭을 달리하는데 선행연구 및 참고문헌을 바탕으로 코트의 전통적인 명칭(발마칸, 르뎅고트, 트렌치, 랩, 파카, 더플, 피, 드레스, 케이프)에 따라 분류한 뒤,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발마칸 코트, 르뎅고트 코트, 트렌치 코트를 중심으로 디자인 특성과 디테일 특성을 분석하였다. 디자인 분석 기준의 형태에서는 코트의 외형을 나타내는 실루엣(A라인, B라인, H라인, 기타)과 길이(Half, Over-Knee, Knee, Midi, Natural)를 살펴보았고, 색채에서는 색상(빨강, 노랑, 녹, 파랑, 보라, 흰, 검정, 회)과 색조(밝은, 화려한, 수수한, 어두운), 재질에서는 소재(모직, 나일론, 니트, 면, 기타)를 살펴보았다. 무늬가 있는 코트가 매우 낮은 빈도를 나타내 무늬는 분석기준에서 제외되었다. 의복의 가장 기본적인 인상과 선을 결정짓는 네크라인
(Lee & Suh, 1998)
과 칼라를 포함한 V존에 해당하는 디테일에서는 소매종류(세트인, 래글런, 돌만), 소매길이(5부, 7부, 9부, 10부), 소매단(커프스, 벨트밴드, 기타, 무), 칼라종류(테일러드, 스탠드, 수티앵, 셔츠(플랫), 윙, 숄, 노칼라), 칼라폭(0, 1/3, 1/2, 2/3, 1), 칼라장식(더블칼라, 퍼(fur), 비즈, 볼륨, 배색, 기타, 없음), 여밈종류(원, 싱글, 더블, 히든, 지퍼, 기타, 없음), 여밈위치(앞중심, 반우측, 우측, 좌측), V존 깊이(목선, 가슴 위, 가슴, 배, 허리, 없음)를 살펴보았다. 자료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한 빈도분석, 백분율, 교차분석의 통계분석으로 이루어졌다.
Analysis criteria for new senior coat design
Component | Classification | Item |
|
Types of coat | Balmacaan, Redingote, Trench, Wrap, Parka, Duffel, Pea, Dress, Cape |
Shape | Silhouette | A-line, B-line, H-line, Other |
Length | Half, Over-Knee, Knee, Midi, Natural |
Color | Color | Chromatic color | Red, Yellow, Green, Blue, Purple |
Achromatic color | White, Black, Gray |
Tone | Bright, Colorful, Plain, Dark |
Material | Fabric | Wool, Nylon, Knit, Cotton, Others |
Detail | Sleeve | Style | Set-in, Raglan, Dolman |
Length | Elbow (1/2), Bracelet (7/10), Wrist (9/10), Long (1) |
Cuffs | Cuffs, Belt band, Others, None |
Collar | Type | Tailored, Stand, Soutien, Shirts(flat), Wing, Shawl, No collar |
Width | 0, 1/3, 1/2, 2/3, 1(shoulder line) |
Ornament | Double-collar, Fur, Beads, Volume, Color-block, Others, None |
Fastening | Style | One-button, Single-breasted, Double-breasted, Hidden, Zipper, Others, None |
Closing position | Front, Half-right, Right, Left |
V-zone depth | Neck point, Above-breast, Breast, Abdomen, Waist, None |
4. 결과 및 논의
- 4.1. 뉴 시니어 여성코트의 디자인 특성
국내·외 뉴 시니어 여성코트의 디자인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able 2
). 국내 뉴 시니어 여성코트의 실루엣은 발마칸(37.4%), 르뎅고트(26.3%), 트렌치(4.9%) 모두 H라인(68.7%)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길이는 전체적으로 무릎길이(62.1%)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트렌치는 무릎길이, 무릎 위 길이 순으로 나타났다. 색채에서는 아이보리와 브라운을 포함하는 노랑(32.9%)과 검정(30.5%)이 많이 나타났고, 색조는 어두운(47.7%), 밝은(28.0%) 순으로 나타났다. 무늬는 모두 무지(86.4%)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소재는 모직(79.0%)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국외 뉴 시니어 여성코트의 실루엣은 발마칸(35.5%), 르뎅고트(23.9%), 트렌치(16.7%) 모두 H라인(76.1%)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길이는 무릎위(51.5%)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코트별로 발마칸은 무릎 위(19.1%), 무릎(16.4%), 르뎅고트는 무릎 위(22.5%), 무릎(7.8%), 트렌치는 무릎(12.6%), 무릎 위(9.9%) 순으로 나타났다. 국외 코트의 색상은 검정(38.2%)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발마칸은 노랑(22.2%)이 많이 나타났고, 르뎅고트(12.6%)와 트렌치(10.9%)는 검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색조는 전체적으로 어두운(42.7%)이 두드러졌으나, 발마칸은 밝은(21.8%)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소재는 발마칸(28.7%), 르뎅고트(30.7%), 트렌치(8.5%) 모두 모직(67.9%)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면(9.2%)이 나타났다. 국내·외 뉴 시니어 여성코트의 디자인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마칸, 르뎅고트, 트렌치 모두 국내·외에서 공통적으로 H라인 실루엣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길이에서는 무릎 위 길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트렌치는 국내·외 모두 무릎길이가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색상에서 국내는 노랑, 국외는 검정이 높게 나타났고, 코트별로는 국내·외 모두 발마칸, 트렌치가 노랑>검정 순으로 나타난 반면, 르뎅고트는 검정>노랑 순으로 나타났다. 색조는 국내·외 모두 어두운 색조가 높게 나타났고, 소재에서는 모직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가죽과 무스탕 등 기타소재의 빈도가 국내(2.1%)에 비해 국외(11.9%)가 높게 나타났다. 국내·외 뉴 시니어 여성코트의 디자인 특성은 비슷한 것으로 알 수 있다.
Design characteristic of new senior coat
n(%) |
Classification | Domestic | Foreign |
|
|
Balmacaan | Redingote | Trench | Total | Balmacaan | Redingote | Trench | Total |
|
|
144(59.3) | 84(34.6) | 15(6.2) | 243(100) | 128(43.7) | 99(33.8) | 66(22.5) | 293(100) |
|
Shape | Silhouette | AL | 27(11.1) | 13(5.3) | 3(1.2) | 43(17.7) | 24(8.2) | 14(4.8) | 17(5.8) | 55(18.8) |
BL | 17(7.0) | 0(0.0) | 0(0.0) | 17(7.0) | 0(0.0) | 4(1.4) | 0(0.0) | 4(1.4) |
HL | 91(37.4) | 64(26.3) | 12(4.9) | 167(68.7) | 104(35.5) | 70(23.9) | 49(16.7) | 223(76.1) |
Others | 9(3.7) | 7(2.9) | 0(0.0) | 16(6.6) | 0(0.0) | 11(3.7) | 0(0.0) | 11(3.7) |
Length | Half | 4(1.6) | 0(0.0) | 0(0.0) | 4(1.6) | 0(0.0) | 2(0.7) | 0(0.0) | 2(0.7) |
Over Knee | 87(35.8) | 60(24.7) | 4(1.6) | 151(62.1) | 56(19.1) | 66(22.5) | 29(9.9) | 151(51.5) |
Knee | 36(14.8) | 17(7.0) | 11(4.5) | 64(26.3) | 48(16.4) | 23(7.8) | 37(12.6) | 108(36.9) |
Midi | 16(6.6) | 7(2.9) | 0(0.0) | 23(9.5) | 24(8.2) | 8(2.7) | 0(0.0) | 32(10.9) |
Natural | 1(0.4) | 0(0.0) | 0(0.0) | 1(0.4) | 0(0.0) | 0(0.0) | 0(0.0) | 0(0.0) |
Color | Color | Red / Perple | 8(3.3) | 9(3.7) | 1(0.4) | 18(7.4) | 5(1.7) | 13(4.5) | 16(5.5) | 34(11.6) |
Yellow | 51(21.0) | 23(9.5) | 6(2.5) | 80(32.9) | 65(22.2) | 20(6.8) | 16(5.5) | 101(34.5) |
Green | 10(4.1) | 0(0.0) | 1(0.4) | 11(4.5) | 1(0.3) | 4(1.4) | 1(0.3) | 6(2.0) |
Blue | 14(5.8) | 8(3.3) | 4(1.6) | 26(10.7) | 2(0.7) | 13(4.4) | 0(0.0) | 15(5.1) |
White | 1(0.4) | 14(5.8) | 0(0.0) | 15(6.2) | 0(0.0) | 7(2.4) | 0(0.0) | 7(2.4) |
Gray | 18(7.4) | 0(0.0) | 1(0.4) | 19(7.8) | 12(4.1) | 5(1.7) | 1(0.3) | 18(6.1) |
Black | 42(17.3) | 30(12.3) | 2(0.8) | 74(30.5) | 43(14.7) | 37(12.6) | 32(10.9) | 112(38.2) |
Tone | Bright | 45(18.5) | 23(9.5) | 0(0.0) | 68(28.0) | 64(21.8) | 26(8.9) | 8(2.7) | 98(33.4) |
Colorful | 15(6.2) | 9(3.7) | 2(0.8) | 26(10.7) | 17(5.8) | 17(5.8) | 22(7.5) | 56(19.1) |
Plain | 26(10.7) | 1(0.4) | 6(2.5) | 33(13.6) | 3(1.0) | 5(1.7) | 6(2.0) | 14(4.8) |
Dark | 58(23.9) | 51(21.0) | 7(2.9) | 116(47.7) | 44(15.0) | 51(17.4) | 30(10.2) | 125(42.7) |
Material | Fabric | Wool | 107(44.0) | 81(33.3) | 4(1.6) | 192(79.0) | 84(28.7) | 90(30.7) | 25(8.5) | 199(67.9) |
Nylon | 19(7.8) | 3(1.2) | 0(0.0) | 22(9.1) | 6(2.0) | 0(0.0) | 2(0.7) | 8(2.7) |
Knit | 9(3.7) | 0(0.0) | 0(0.0) | 9(3.7) | 5(1.7) | 1(0.3) | 0(0.0) | 6(2.0) |
Cotton | 5(2.1) | 0(0.0) | 10(4.1) | 15(6.2) | 3(1.0) | 0(0.0) | 24(8.2) | 27(9.2) |
Others | 4(1.6) | 0(0.0) | 1(0.4) | 5(2.1) | 17(5.8) | 6(2.0) | 12(4.1) | 35(11.9) |
- 4.2. 뉴 시니어 여성코트의 디테일 특성
국내·외 뉴 시니어 여성코트의 디테일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able 3
). 국내 뉴 시니어 여성코트의 소매종류는 모두 세트인(87.2%)이 가장 많고, 소매길이는 10부(75.3%)가 많았으나 발마칸은 10부(36.6%) 다음으로 7부(16.5%) 길이도 많이 나타났다. 소매단은 장식이 없는 것이 85.2%로 가장 많았고, 발마칸는 소매단에 커프스(5.8%), 트렌치는 벨트(4.1%)가 특징적이다. 칼라종류는 테일러드(28.4%)와 스탠드(28.4%)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칼라폭은 옆목점과 어깨끝점을 기준으로 1/2폭(28.8%)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2/3폭(22.2%), 1/3폭(19.8%) 순으로 나타났다. 칼라장식은 없음(73.7%), 퍼(16.0%)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여밈종류는 히든(46.1%), 싱글(23.0%), 더블(12.8%) 순으로 나타났고, 여밈위치는 앞중심(61.7%), 반우측(19.3%), 우측(18.9%) 순으로 나타났다. V존 깊이는 없음(24.7%)이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이것은 여밈이 없는 오픈형과 스탠드칼라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으로 가슴 위~가슴의 V존 깊이가 37.9%로 배~허리(18.9%)보다 높게 나타났다. 국외 뉴 시니어 여성코트는 모두 세트인(84.6%)이 가장 많고 소매길이는 10부(73.7%), 7부(17.7%) 순으로 나타났다. 소매단은 장식이 없는 것인 86.7%이고, 소매단 벨트가 12.6%의 빈도를 나타냈다. 소매단 벨트는 국외 트렌치의 54.5%에 해당한다. 칼라종류는 테일러드(41.0%), 셔츠(23.5%) 순으로 나타났다. 칼라폭은 1/2폭(33.1%), 1/3폭(25.3%) 순으로 나타났다. 칼라장식은 86.0%가 장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8.9%의 퍼 장식이 나타났다. 여밈은 국외 전체에서 히든(33.1%), 더블(27.0%), 싱글(24.9%)로 높은 빈도를 나타났으나, 르뎅고트는 싱글(10.6%), 트렌치는 더블(14.7%)이 히든보다 높게 나타났다. 여밈위치는 앞중심(55.6)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우측(32.8)이 높게 나타났다. 트렌치는 여밈위치가 우측(12.3%), 앞중심(6.1%) 순으로 나타났다. V존 깊이는 목선(32.4%)과 가슴 위(32.4%)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내·외 뉴 시니어 여성코트의 디테일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매종류는 코트 모두가 세트인이 높게 나타났으나, 발마칸은 세트인 외에 돌만이 국내·외에서 나타났다. 소매길이는 국내·외 코트 모두 10부 길이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발마칸은 국내·외 모두 10부, 7부 순으로 나타났다. 소매단은 국내·외 모두 소매단 장식이 없는 것이 가장 많았으나, 국외 발마칸은 커프스가 없는 반면에 국내 발마칸은 커프스(5.8%)가 나타났다. 칼라종류에서 국내·외 르뎅고트와 트렌치는 테일러드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국외 발마칸은 셔츠와 노칼라가 많이 나타난 반면, 국내 발마칸은 스탠드 칼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 내용으로 국내 발마칸에 높은 스탠드칼라를 디자인함으로써 방한에 더 신경을 썼음을 알 수 있다. 칼라폭은 1/2폭이 국내·외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그 다음으로 국내는 2/3폭, 국외는 1/3폭이 높게 나타났다. 칼라폭에 있어서도 국내가 국외보다 폭이 더 넓게 디자인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국외 발마칸의 칼라폭이 없음(12.3%)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것은 노칼라(12.3%)의 빈도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칼라장식에서 발마칸은 국외에 비해 국내에서 퍼 장식이 더 많이 나타났으며, 트렌치는 국내에서 더블칼라, 국외에서는 퍼 장식이 나타났다. 여밈에서 발마칸은 국내·외 모두 히든, 싱글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인 반면, 르뎅고트는 국내에서 히든 다음으로 더블이 높게 나타났고 국외에서는 싱글, 히든, 더블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는 차이를 보였다. 트렌치는 국내에서 더블 외에 지퍼와 히든이 나타났고 국외에서는 더블, 히든, 싱글이 나타났다. V존 깊이에서 국내 발마칸이 V존이 없고, 국외 발마칸은 목선 V존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국내·외 각각 스탠드 칼라와 셔츠, 노 칼라의 높은 빈도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르뎅고트는 국내가 국외보다 V존이 깊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트렌치는 국내·외 모두 V존 깊이가 가슴 위 정도 인 것으로 나타났다.
Detail characteristic of new senior women’s coat
Classification | Domestic | Foreign |
|
|
Balma-caan | Redin-gote | Trench | Total | Balma-caan | Redin-gote | Trench | Total |
|
|
144(59.3) | 84(34.6) | 15(6.2) | 243(100) | 128(43.7) | 99(33.8) | 66(22.5) | 293(100) |
|
Sleeve | Type | Set-in | 114(46.9) | 83(34.2) | 15(6.2) | 212(87.2) | 92(31.4) | 90(30.7) | 66(22.5) | 248(84.6) |
Raglan | 0(0.0) | 1(0.4) | 0(0.0) | 1(0.4) | 0(0.0) | 6(2.0) | 0(0.0) | 6(2.0) |
Dolman | 30(12.3) | 0(0.0) | 0(0.0) | 30(12.3) | 36(12.3) | 3(1.0) | 0(0.0) | 39(13.3) |
Length | Elbow | 0(0.0) | 0(0.0) | 0(0.0) | 0(0.0) | 0(0.0) | 2(0.7) | 9(3.1) | 11(3.8) |
Bracelet | 40(16.5) | 1(0.4) | 0(0.0) | 41(16.9) | 37(12.6) | 3(1.0) | 12(4.1) | 52(17.7) |
Wrist | 15(6.2) | 4(1.6) | 0(0.0) | 19(7.8) | 2(0.7) | 12(4.1) | 0(0.0) | 14(4.8) |
Long | 89(36.6) | 79(32.5) | 15(6.2) | 183(75.3) | 89(30.4) | 82(28.0) | 45(15.4) | 216(73.7) |
Cuffs | Cuffs | 14(5.8) | 0(0.0) | 2(0.8) | 16(6.6) | 0(0.0) | 2(0.7) | 0(0.0) | 2(0.7) |
Belt, Band | 5(2.1) | 0(0.0) | 10(4.1) | 15(6.2) | 0(0.0) | 1(0.3) | 36(12.3) | 37(12.6) |
Others | 5(2.1) | 0(0.0) | 0(0.0) | 5(2.1) | 0(0.0) | 0(0.0) | 0(0.0) | 0(0.0) |
None | 120(49.4) | 84(34.6) | 3(1.2) | 207(85.2) | 128(43.7) | 96(32.8) | 30(10.2) | 254(86.7) |
Collar | Style | Tailored | 7(2.9) | 52(21.4) | 10(4.1) | 69(28.4) | 0(0.0) | 78(26.6) | 42(14.3) | 120(41.0) |
Shirts | 26(10.7) | 0(0.0) | 2(0.8) | 28(11.5) | 53(18.1) | 0(0.0) | 16(5.5) | 69(23.5) |
Soutine | 16(6.6) | 5(2.1) | 0(0.0) | 21(8.6) | 8(2.7) | 1(0.3) | 0(0.0) | 9(3.1) |
Shawl | 5(2.1) | 20(8.2) | 0(0.0) | 25(10.3) | 7(2.4) | 11(3.8) | 4(1.4) | 22(7.5) |
Stand | 65(26.7) | 2(0.8) | 2(0.8) | 69(28.4) | 24(8.2) | 5(1.7) | 3(1.0) | 32(10.9) |
Others | 6(2.5) | 0(0.0) | 0(0.0) | 6(2.5) | 0(0.0) | 2(0.7) | 0(0.0) | 2(0.7) |
No collar | 19(7.8) | 5(2.1) | 1(0.4) | 25(10.3) | 36(12.3) | 2(0.7) | 1(0.3) | 39(13.3) |
Width | 0 | 19(7.8) | 5(2.1) | 1(0.4) | 25(0.3) | 36(12.3) | 2(0.7) | 1(0.3) | 39(13.3) |
1/3 | 34(14.0) | 5(2.1) | 9(3.7) | 48(19.8) | 30(10.2) | 18(6.1) | 26(8.9) | 74(25.3) |
1/2 | 44(18.1) | 23(9.5) | 3(1.2) | 70(28.8) | 31(10.6) | 37(12.6) | 29(9.9) | 97(33.1) |
2/3 | 35(14.4) | 17(7.0) | 2(0.8) | 54(22.2) | 17(5.8) | 19(6.5) | 5(1.7) | 41(14.0) |
1 | 12(4.9) | 34(14.0) | 0(0.0) | 46(18.9) | 14(4.8) | 23(7.8) | 5(1.7) | 42(14.3) |
Ornament | Double-collar | 0(0.0) | 1(0.4) | 4(1.6) | 5(2.1) | 0(0.0) | 0(0.0) | 0(0.0) | 0(0.0) |
Fur | 27(11.1) | 12(4.9) | 0(0.0) | 39(16.0) | 10(3.4) | 11(3.8) | 5(1.7) | 26(8.9) |
Beads | 1(0.4) | 0(0.0) | 0(0.0) | 1(0.4) | 1(0.3) | 1(0.3) | 0(0.0) | 2(0.7) |
Volume | 6(2.5) | 4(1.6) | 0(0.0) | 10(4.1) | 2(0.7) | 0(0.0) | 0(0.0) | 2(0.7) |
Color-block | 2(0.8) | 4(1.6) | 2(0.8) | 8(3.3) | 0(0.0) | 1(0.3) | 0(0.0) | 1(0.3) |
Others | 1(0.4) | 0(0.0) | 0(0.0) | 1(0.4) | 2(0.7) | 7(2.4) | 1(0.3) | 10(3.4) |
None | 107(44.0) | 63(25.9) | 9(3.7) | 179(73.7) | 113(38.6) | 79(27.0) | 60(20.5) | 252(86.0) |
Fastening | Style | Double | 6(2.5) | 17(7.0) | 8(3.3) | 31(12.8) | 8(2.7) | 28(9.6) | 43(14.7) | 79(27.0) |
Single | 45(18.5) | 10(4.1) | 1(0.4) | 56(23.0) | 33(11.3) | 31(10.6) | 9(3.1) | 73(24.9) |
One-button | 2(0.8) | 12(4.9) | 0(0.0) | 14(5.8) | 6(2.0) | 5(1.7) | 0(0.0) | 11(3.8) |
Zipper | 11(4.5) | 4(1.6) | 4(1.6) | 19(7.8) | 14(4.8) | 2(0.7) | 2(0.7) | 18(6.1) |
Hidden | 72(29.6) | 38(15.6) | 2(0.8) | 112(46.1) | 55(18.8) | 30(10.2) | 12(4.1) | 97(33.1) |
Others | 1(0.4) | 0(0.0) | 0(0.0) | 1(0.4) | 4(1.3) | 1(0.3) | 0(0.0) | 5(1.7) |
None | 7(2.9) | 3(1.2) | 0(0.0) | 10(4.1) | 8(2.7) | 2(0.7) | 0(0.0) | 10(3.4) |
Position | Front | 108(44.4) | 39(16.0) | 3(1.2) | 150(61.7) | 95(32.4) | 50(17.1) | 18(6.1) | 163(55.6) |
Half-right | 22(9.1) | 25(10.3) | 0(0.0) | 47(19.3) | 4(1.4) | 13(4.4) | 10(3.4) | 27(9.2) |
Right | 14(5.8) | 20(8.2) | 12(4.9) | 46(18.9) | 26(8.9) | 34(11.6) | 36(12.3) | 96(32.8) |
Left | 0(0.0) | 0(0.0) | 0(0.0) | 0(0.0) | 3(1.0) | 2(0.7) | 2(0.7) | 7(2.4) |
Depth of V-zone | Neck | 41(16.9) | 2(0.8) | 2(0.8) | 45(18.5) | 70(23.9) | 7(2.4) | 18(6.1) | 95(32.4) |
Above breast | 28(11.5) | 11(4.5) | 10(4.1) | 49(20.2) | 23(7.8) | 30(10.2) | 18(6.1) | 95(32.4) |
Breast | 12(4.9) | 28(11.5) | 3(1.2) | 43(17.7) | 4(1.4) | 26(8.9) | 17(5.8) | 47(16.0) |
Abdomen∼waist | 3(1.2) | 43(17.6) | 0(0.0) | 46(18.9) | 5(1.7) | 36(12.3) | 8(2.7) | 49(16.7) |
None | 60(24.7) | 0(0.0) | 0(0.0) | 60(24.7) | 26(8.9) | 0(0.0) | 3(1.0) | 29(9.9) |
Design and detail characteristics of new senior women's coat
| Balmacaan coat | Redingote coat | Trench coat |
|
Domestic | H-line silhouette, over-knee length, yellow color, dark tone, wool, set-in sleeves, cuffs or no cuffs, stand collar, 1/3 collar width, fur or no ornament, hidden button/single-breasted, closing at the center, V-zone at the neck point level or no V-zone. | H-line silhouette, over-knee length, black/ yellow color, dark tone, wool, set-in sleeves, long length sleeves, no cuffs, tailored collar, 1 or 1/2 collar width, fur or no collar ornament, hidden button/double-breasted, closing at the center, V-zone depth at the abdomen~waist level. | H-line silhouette, knee length, yellow collar, dark/plain collar, cotton, set-in sleeves, long length sleeves, cuffs belt, tailored collar, 1/3 or 1/2 collar width, no collar ornament, double breasted, closing on the right, V-zone depth at the above breast level. |
 |  |  |
Fig. 1~2. Shesmiss. http://shinsegaemall.ssg.com | Fig. 3~4. Shesmiss. http://shinsegaemall.ssg.com | Fig. 5. Daks. Fig. 6. Keith. http://lotte.com |
Foreign | H-line silhouette, over-knee length, yellow color, bright tone, wool, set-in sleeves, long length sleeves, no cuffs, shirt collar 1/3 collar width, fur or no collar ornament, hidden button, closing at the center, V-zone depth at the neck point level. | H-line silhouette, over-knee length, black, dark collar, wool, set-in sleeves, long length sleeves, no cuffs, tailored collar, 1/2 collar width, fur or no collar ornament, other ornament, hidden button/single breasted, closing at the center, V-zone depth at the abdomen∼waist or above breast level. | H-line silhouette, knee length, black, dark tone, wool or cotton, set-in sleeves, long length sleeves, belt cuffs or no cuffs, tailored collar, 1/ 3~1/2 collar width, no collar ornament, doublebreasted, closing on the right, V-zone depth at the neck point∼above breast level. |
 |  |  |
Fig. 7. Stella Mccartney. Fig. 8. Max Mara. http://selfridges.com | Fig. 9. Jaeger. Fig. 10. Maje. http://harrods.com | Fig. 11. Burberry. Fig. 12. Saint Laurent. http://harrods.com |
- 4.3. 뉴 시니어 여성코트 종류별 칼라종류와 디테일과의 관계
- 4.3.1. 발마칸
발마칸의 칼라를 종류별로 분석한 결과, 스탠드(32.7%), 셔츠(29.0%), 노칼라(20.2%), 수티앵(8.8%), 기타(4.8%), 숄(4.4%)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스탠드와 셔츠를 중심으로 유의성이 검증된 디테일(칼라폭, 칼라장식, V존 깊이, 여밈선)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노칼라는 높은빈도를 나타냈지만, 칼라가 없이 V존에 해당하는 디테일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발마칸에서 스탠드 칼라는 옆목점에서 어깨끝점까지를 기준으로 칼라폭이 1/3인 경우(13.2%)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스탠드 칼라의 형태 특성상 V존 깊이는 없는 것이 일반적이나 앞중심에서 트임이 생겨 가슴 위~가슴(3.0%)에 V존이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이때 칼라폭은 넓은 것보다 1/3정도로 좁은 경우가 많았다. 퍼장식은 1/2 이상의 칼라폭에서 많이 나타났고, 1/3칼라폭은 관찰빈도보다 기대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앞으로 퍼장식이 많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여밈은 칼라폭과 상관없이 앞중심에 싱글버튼과 지퍼여밈으로 구성된 경우가 많았다. 발마칸의 셔츠 칼라와 디테일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칼라폭은 1/2, 1/3 순으로 나타났으나 대부분 칼라장식이 없다. 퍼장식은 스탠드칼라와 같이 2/3~1 크기에 가장 많이 나타났지만, 1/3~1/2 칼라폭의 퍼 장식에 대한 기대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V존 깊이는 앞목점, 여밈은 칼라폭이 1/2일때 싱글버튼이, 1/3일때 히든여밈이 많았다. 1/2 칼라폭의 히든여밈에 대한 기대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밈위치는 앞중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4.3.2. 르뎅고트
르뎅고트의 칼라를 종류별로 분석한 결과, 테일러드(71.0%), 숄(16.9%), 기타(8.2%), 노칼라(3.8%)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테일러드와 숄을 중심으로 유의성이 검증된 디테일(칼라폭, 칼라장식, V존 깊이, 여밈종류)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테일러드 칼라는 1/2칼라폭(44.6%)과 2/3칼라폭(21.5%), 1칼라폭(20.0%)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테일러드 칼라 대부분이 칼라장식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V존깊이은 가슴∼배까지 깊게 파였다. 여밈종류는 전체적으로 더블버튼과 싱글버튼이 많았으나, 1/2칼라폭일 때는 히든여밈이 많았다. 여밈선은 전체적으로 앞중심이 가장 많았으나, 2/3칼라폭은 우측 여밈선이 가장 많았고, 1/2칼라폭의 우측 여밈선이 관찰빈도보다 기대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숄 칼라는 어깨선까지 덮는 칼라폭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퍼장식이 많이 나타났다. 앞중심의 히든여밈이 많이 나타났다.
- 4.3.3. 트렌치
트렌치의 칼라를 종류별로 분석한 결과, 테일러드(64.2%), 셔츠(22.2%), 기타(13.5%)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테일러드와 셔츠를 중심으로 유의성이 검증된 디테일(칼라폭, 칼라장식, V존깊이, 여밈종류, 여밈위치)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트렌치 전체의 칼라폭은 1/3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지만, 테일러드 칼라는 1/2폭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3, 2/3이 많이 나타났다. 칼라장식은 없는 경우가 많았고, V존 깊이는 가슴 위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1/2폭과 1/3폭의 테일러드 칼라 모두 여밈위치는 우측이 많이 나타났다. 셔츠칼라는 1/3의 칼라폭이 가장 많으며, 앞목점의 V존 깊이, 더블버튼, 반우측과 우측 여밈선이 많이 나타났다.
- 4.4. 칼라종류에 따른 디자인 제시
칼라종류별 칼라폭의 변화에 따라 디테일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관찰빈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관찰 디자인으로, 기대빈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기대 디자인으로 제시해 보았다(
Table 6
). 발마칸은 1/3폭의 스탠드칼라일 때, 앞중심의 싱글버튼과 10부 길이의 세트인 소매 관찰디자인으로 나타났으나 기대디자인에서는 우측에 위치한 히든여밈과 5부길이의 돌만소매, 칼라에 퍼장식으로 제시되었다. 1/2폭의 셔츠칼라 일 때는 칼라에 장식이 없고, 앞목점의 V존 깊이, 앞중심의 싱글버튼, 10부길이의 세트인소매로 관찰디자인이 나타났으나, 기대디자인은 가슴에서 배까지 깊은 V존에 칼라 퍼장식, 5부길이의 돌만소매가 제시되었다. 르뎅고트는 1/2폭의 테일러드 칼라 일 때 칼라장식은 없고 가슴∼배까지 깊은 V존, 앞중심의 히든여밈과 우측 여밈선의 더블버튼, 10부길이의 세트인 소매의 관찰디자인이 나타났으나 기대디자인은 가슴위 V존깊이에 더블여밈, 칼라 퍼장식, 7부길이의 소매가 제시되었다. 어깨를 덮는 숄칼라일 때는 칼라에 퍼장식, 앞중심과 우측 여밈선의 히든, 더블버튼, Over Knee 코트길이로 관찰디자인이 나타났으나 기대디자인은 가슴정도의 V존 깊이와 싱글여밈으로 제시되었다. 트렌치는 1/2폭과 1/3폭의 테일러드 칼라일 때 우측 여밈선의 더블버튼, 10부 소매길이의 관찰디자인이 나타났다. 기대디자인은 1/2폭일때 히든여밈으로, 1/3폭일때 싱글여밈, 더 깊은 V존으로 제시되었다. 1/3폭의 셔츠칼라일 때 V존깊이는 앞목점, 반우측 더블버튼의 관찰디자인이 나타났으나 기대디자인은 가슴위 정도의 V존 깊이와 좌측 히든여밈으로 제시되었다.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collar and collar detail by coat style observed frequency(expected frequency)
% |
Balmacaan coat | Redingote coat | Trench coat |
|
|
|
collar | Stand | Shirt | No collar | collar | tailored | shawl | collar | tailored | shirt |
|
|
|
detail | detail | detail |
|
Width | 0 | 0(18.0) 0.0 | 0(16.0) 0.0 | 55(11.1) 20.2 | Width | 0 | 0(5.0) 0.0 | 0(1.2) 0.0 | Width | 0 | 0(1.3) 0.0 | 0(0.4) 0.0 |
1/3 | 36(20.9) 13.2 | 19(18.6) 7.0 | 0(12.9) 0.0 | 1/3 | 18(16.3) 9.8 | 0(3.9) 0.0 | 1/3 | 18(22.5) 22.2 | 13(7.8) 16.0 |
1/2 | 33(24.5) 12.1 | 30(21.8) 11.0 | 0(15.2) 0.0 | 1/2 | 58(42.6) 31.7 | 0(10.2) 0.0 | 1/2 | 27(20.5) 33.3 | 4(7.1) 4.9 |
2/3 | 19(17.0) 7.0 | 18(15.1) 6.6 | 0(10.5) 0.0 | 2/3 | 28(25.6) 15.3 | 4(6.1) 2.2 | 2/3 | 5(4.5) 6.2 | 1(1.6) 1.2 |
1 | 1(8.5) 0.4 | 12(7.6) 4.4 | 0(5.3) 0.0 | 1 | 26(40.5) 14.2 | 27(9.7) 14.8 | 1 | 2(3.2) 2.5 | 0(1.1) 0.0 |
Ornament | none | 67(72.0) 24.6 | 62(63.9) 22.8 | 54(44.5) 19.9 | Ornament | none | 112(100.9) 61.2 | 13(24.1) 7.1 | Ornament | none | 48(44.3) 59.3 | 18(15.3) 22.2 |
fur | 17(12.1) 6.2 | 13(10.7) 4.8 | 0(7.5) 0.0 | fur | 7(16.3) 3.8 | 15(3.9) 8.2 | fur | 1(3.2) 1.2 | 0(1.1) 0.0 |
others | 5(5.0) 1.8 | 4(4.1) 1.5 | 1(3.0) 0.4 | color-black | 4(3.6) 2.2 | 0(0.8) 0.0 | double-collar | 1(2.6) 1.2 | 0(0.9) 0.0 |
V-zone depth | neckpoint | 12(36.3) 4.4 | 54(32.2) 19.9 | 36(22.4) 13.2 | volume | 1(2.8) 0.5 | 3(0.7) 1.6 | others | 2(1.8) 2.4 | 0(0.6) 0.0 |
abovebreast | 7(16.7) 2.6 | 15(14.8) 5.5 | 8(10.3) 2.9 | others | 6(6.3) 3.3 | 0(1.6) 0.0 | V-zone depth | neck-oint | 4(12.8) 4.9 | 14(4.4) 17.3 |
breast | 1(5.2) 0.4 | 3(4.6) 1.1 | 3(3.2) 1.1 | V-zone depth | neck point | 1(6.4) 0.5 | 3(1.5) 1.6 | above breast | 24(19.3) 29.6 | 3(6.7) 3.7 |
abdomenwaist | 0(0.3) 0.0 | 2(2.3) 0.7 | 2(1.6) 0.7 | above breast | 28(29.1) 15.3 | 6(6.9) 3.3 | breast | 18(12.8) 22.2 | 1(4.4) 1.2 |
none | 69(28.1) 25.4 | 5(25.1) 1.8 | 6(17.4) 2.2 | breast | 42(38.4) 23.0 | 8(9.1) 4.4 | abdomen-waist | 6(5.2) 7.4 | 0(1.7) 0.0 |
Closing | central | 64(66.4) 23.5 | 62(59.0) 22.8 | 43(41.0) 15.8 | abdomenwaist | 59(56.1) 32.3 | 14(13.4) 7.7 | none | 0(1.9) 0.0 | 0(0.6) 0.0 |
half-right | 12(8.5) 4.4 | 3(7.6) 1.1 | 4(5.3) 1.5 | Fastening | hidden | 41(48.3) 22.4 | 19(11.5) 10.4 | Fastening | double-breasted | 37(32.7) 45.7 | 11(11.3) 13.6 |
right | 13(13.1) 4.8 | 13(11.6) 4.8 | 6(8.1) 2.2 | doublebreasted | 37(32.0) 20.2 | 4(7.6) 2.2 | single-breasted | 8(6.4) 9.9 | 2(2.2) 2.5 |
left | 0(1.0) 0.0 | 1(0.9) 0.4 | 0(0.3) 0.0 | singlebreasted | 32(29.1) 17.5 | 6(6.9) 3.3 | hidden | 5(9.0) 6.2 | 4(3.1) 4.9 |
Total | 89(89.0) 32.7 | 79(79.0) 29.0 | 55(55.0) 20.2 | one-button | 16(12.1) 8.7 | 1(2.9) 0.5 | zipper | 2(3.9) 2.5 | 1(1.3) 1.2 |
| | | | | zippers | 2(4.3) 1.1 | 1(1.0) 0.5 | closing point | central | 10(13.5) 12.3 | 5(4.7) 6.2 |
| | | | | others | 2(4.3) 1.0 | 0(1.0) 0.0 | half-right | 3(6.4) 3.7 | 7(2.2) 8.6 |
| | | | | Total | 130(130.0) 71.0 | 31(31.0) 16.9 | right | 38(30.8) 46.9 | 5(10.7) 6.2 |
| | | | | | | | | left | 1(1.3) 1.2 | 1(0.4) 1.2 |
| | | | | | | | | Total | 52(52.0) 64.2 | 18(18.0) 22.2 |
Suggestion for the new senior women's coat according to the type of collar
Balmacaan | Stand collar 1 (1/3collar width) | Stand collar 2 (1/2collar width) | Shirt collar 1 (1/2collar width) | Shirt collar 2 (1/3collar width) |
|
|
|
|
observed design | expected design | observed design | expected design | observed design | expected design | observed design | expected design |
 |  |  |  |  |  |  |  |
Redingote | Tailored collar 1 (1/2collar width) | Tailored collar 2 (2/3collar width) | Tailored collar 3 (1 collar width) | Shawl collar (1 collar width) |
|
|
|
|
observed design | expected design | observed design | expected design | observed design | expected design | observed design | expected design |
 |  |  |  |  |  |  |  |
Trench | Tailored collar 1 (1/2collar width) | Tailored collar 2 (1/3collar width) | Shirt collar 1 (1/3collar width) | Shirt collar 2 (1/2 collar width) |
|
|
|
|
observed design | expected design | observed design | expected design | observed design | expected design | observed design | expected design |
 |  |  |  |  |  |  |  |
5. 결 론
이 연구는 뉴 시니어 여성 코트의 형태, 색채, 소재, 디테일을 분석하여 디자인의 특성과 디테일 특성, 코트 종류별 칼라 종류에 따른 디테일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국내·외 뉴 시니어 여성 코트는 방한을 목적으로 하는 코트라는 아이템 특성상 소재 및 길이, 실루엣 면에서 비슷한 디자인 특성을 볼 수 있었다. 그 중 국내 트렌치는 A라인 실루엣, 무릎 위 길이, Bk색상, 화려한 색조, 체크무늬, 5부 소매, 벨트가 달린 소매단칼라, 테일러드 칼라, 더블 여밈의 디자인을 앞으로 기대해 볼 수 있고, 국외 발마칸의 경우는 B라인 실루엣, 무릎 위 길이, B색상, 수수한 색조, 무지, 9부 소매, 커프스가 달린 소매단, 스탠드 칼라, 1/2크기의 칼라 디자인을 기대해 볼 만하다.
둘째, 뉴 시니어 여성 코트의 디테일 특성을 분석한 결과, 발마칸은 세트인소매 외에 돌만소매가 국내·외 모두에서 나타났고, 국외에서는 소매단의 커프스가 없었으나 국내에서는 커프스가 나타났다. 국내 발마칸은 스탠드 칼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이는 국내 발마칸에 높은 스탠드칼라를 디자인함으로 써 방한에 더 신경을 썼다고 볼 수도 있다. 국내·외 코트의 칼라폭에서는 국내가 국외보다 폭이 더 넓게 디자인되었음을 알 수 있다. 칼라장식에서 발마칸은 국내에서 퍼장식이 더 많이 나타났으며, 트렌치는 국내에서 더블칼라, 국외에서 퍼장식이 나타났다. 여밈에서 르뎅고트와 트렌치의 여밈이 기존 디자인에서 변형된 여밈종류로 디자인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V존 깊이에서 국내 발마칸이 V존 이 없고, 국외 발마칸은 목선 V존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국내·외 각각 스탠드 칼라와 셔츠, 노 칼라의 높은 빈도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르뎅고트는 국내가 국외보다 V존이 깊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트렌치는 국내·외 모두 V존 깊이가 가슴 위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뉴 시니어 여성 코트종류별 칼라종류에 따른 디테일 특성을 분석한 결과, 칼라폭이 변하지 않더라도 V존 깊이에서 변화가 일어날 수 있으며 V존 디자인 변화에 따라 소매종류와 길이, 여밈종류와 위치 등 코트의 이미지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칼라 종류에 따른 뉴 시니어 여성 코트의 기대 디자인을 제시해본 결과, 각 코트의 기본형에서 칼라의 형태와 크기, 여밈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하였다. 전통적인 코트의 디자인이 앞으로 어떠한 부분을 어떻게 변화를 주어야 할지 그 방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가 현대 뉴 시니어층의 고감성 소비행동에 맞는 코트를 디자인 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후속연구로는 뉴 시니어 여성들의 코트 디자인에 관한 선호도를 심도있게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코트가 어떻게 뉴 시니어 여성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연출할 수 있을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 BK21 플러스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관리번호 22B20130011027/부산대학교 의류학과 실버세대를 위한 건강의류디자인 사업팀).
2013
‘2013 statistics about the older population’.
Statistics Korea
from
Apparel News
(2012)
[Korea fashion brand Almanac 2012-2013].
Seoul
Author
Bunka Fashion College
(2013)
コ一ディネ一トテクニック. アパレル[Coordinator Technic].
Author
Tokyo
2014
‘Burberry’.
harrods
from
Cha J. Y.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8)
A design development for the underwear based o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ilver gener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 A. L.
,
Son Y. J.
,
Lee I. S.
(2014)
A design development for the outdoor wear for new senior 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 Design Knowledge
31
65 -
75
Gal J. H.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4)
New senior consumers's fashion information sources, store selection and complaining behavior.
Inha University
Inche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m I. H.
(2002)
Culture and generation experience of baby boom generation.
Nanam Publishing
Seoul
2014
‘Jaeger’.
harrods
from
Kang S. P.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1)
A study of modern coat design applying clothing in Qing Dynasty.
Dongshin University
Naju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 Y. J.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0)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woman's suit in fashion collection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im B. J.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6)
A design development of the recuperation clothing using polygonum indigo and traditional design for new silver genera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im C. S.
(2005)
Fashion design.
Kyomunsa
Seoul
Kim H. S.
2012a
Fashionable 5060, wearing casual trench coat for stylish autumn.
Dong-a Ilbo
from
Kim J. S.
(2011)
A research on color analysis in Burberry Prorsum before and after the recruit of Bailey.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32
403 -
412
Kim J. Y.
(2007)
A study on trench coat as classic fashion sty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
(9)
49 -
66
Kim M. C.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2b)
Analysis of trench coat design by the fashion design idea method.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Unpublished master's thesis
Kim M. K.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004)
A study on the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of women's overcoat.
Yeungnam University
Daegu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im W. G.
(2009)
A study on women's coat design using daph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9
(4)
19 -
30
Kim E. K.
,
Kim O. K.
,
Han J. Y.
(2000)
Fashion in modern life.
Hakmunsa
Seoul
Kwen J.
(2012)
A study on preference of silver fashion for clothing development for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8
(4)
19 -
30
Lee G. H.
(2012)
A study on the senior woman’s body type for the knit-pants design-Focused on the 5th report of investigation for body size of Korean-.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10
(1)
113 -
122
Lee H. S.
,
Kim J. I.
(2004)
CStudy on type classification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coat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12
(3)
339 -
353
Lee I. Y.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009)
A study on development of knitwear for silver Generation : focusing on circular knit.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Lee J. S.
(2003)
Fashion for moderns.
Kyomunsa
Seoul
Lee K. H.
(2008b)
Fashion design plus conception.
Kyomunsa
Seoul
Lee Y. J.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8a)
A study on the well-being underwear design for new silver generation.
Incheon University
Inche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Lee Y. J.
2014
‘Ladies over flowers. 50s emerging as new Ruby’.
MK business news
from
Lee Y. M.
,
Suh M. A.
(1998)
Effect of neckline-hairstyle combinations on the perception of face image and typ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6
(4)
13 -
25
2014
‘Maje’.
harrods
from
2014
‘Max Mara’.
selfridges
from
Namgung M. J.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007)
A study on the senior fashion market and the preference of the senior wome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014
‘New senior emerging as a cultural mainstream’.
Kyoungsang Ilbo
from
Park J. Y.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2)
New senior generation's fashion image : focused on the oriented values, oriented quality of life.
Ulsan University
Uls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Park K. H.
(2004)
The silver industry trend in North America and strategies for overseas expansion.
Kotra
Seoul
2014
‘Saint Laurent’.
harrods
from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011)
3 keyword for new senior generation.
Seri business note
Seoul
Seok H. J.
,
Han S. H.
(2011)
Development of clothes design for silver-generation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1
(1)
47 -
57
2014
‘Shesmiss’.
Shinsegaemall
from
2014
‘Stella Mccartney’.
selfridges
from
Yu S. G.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4)
Design development for coat based on the design of Jang-ot.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