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anced
A Study on Press Preferences according to Clothing Design Factors of Children Dress - Focused on preschool children-mother -
A Study on Press Preferences according to Clothing Design Factors of Children Dress - Focused on preschool children-mother -
-- 학령 전 아동과 어머니를 중심으로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2015. Feb, 17(1): 53-63
Copyright © 2015 (by) the authors.
This article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and condition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Received : December 09, 2014
  • Accepted : January 25, 2015
  • Published : February 28, 2015
Download
PDF
e-PUB
PubReader
PPT
Export by style
Article
Author
Metrics
Cited by
TagCloud
About the Authors
효정, 양
순천, 박
scp122@yahoo.co.kr

Abstract
The necessity on children dresses for cultural events and emotional aspects in designs have become importan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kids industry and revitalization of party culture, and so grasping emotional requirements of consumers is necessary actually. This study aims at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study used 27 color pictures on the whole bodies of children who wore children dresses that mixed clothing design factors differently (sleeve, skirt length, waist line, materials, color, decoration type and location) through a survey. Regarding the survey objects, this study objected children of 5~6 years old in full and their mothers who liv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its results were same as follows. First, dress preferences between children group and mother group were similar generally, but differences were displayed from dress lengths. That is, children preferred long length in general, and whereas mothers were come out to prefer shot length comparatively. Second, the study could get results by mixing ranking 1 and ranking 2 according to clothing design factors that were preferred by children group and mothers group deduced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Merely, the location according to decoration type was limited to ranking 1. Based on the research, this study expects that various forthcoming researches have been made continuously, and it could become a guideline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 dress industry afterwards.
Keywords
1. 서 론
현재 아동을 대상으로 한 키즈산업이 불황에도 끄떡없는 블루 오션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국내 키즈산업의 규모는 2003년 10조원에서 2010년 30조원 규모로 매년 20% 이상 성장해온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Catch the kid industry”, 2013). 그만큼 부모들이 아이에게 쏟는 경제적 정성이 커지고 있다는 의미다. 이와 같은 키즈산업의 영향은 아동의 파티문화의 활성화와 생일파티‧연주회‧졸업식‧가족모임 등의 다양한 행사를 통해 아동드레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고, 또 소득수준의 향상과 함께 아이를 적게 낳는 대신 소중하게 키우고자 하는 부모들의 심리가 맞물리면서 아동드레스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2000년 초반 서울 강남의 일부 사립 놀이학교나 영어유치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할로윈데이 및 다양한 행사가 점차 일반 유치원까지 확산되면서 부모들 사이에서 일종의 경쟁심리가 생기고 있다. 내 아이만큼은 특별하게 입히고 싶어 하는 부모들의 심리가 고가의 해외 수입 의상이나 자신의 아이만을 위한 맞춤드레스 구입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일부 사립유치원 학부형들은 170만원이 넘는 드레스를 아이에게 사 입혀(“What is halloween, children dress up to 1.7 million won”, 2013) 부모의 의복추구와 과시적 소비욕구를 자녀에게 투영하여 대리만족 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아동드레스의 대여 및 맞춤제작 판매하는 인터넷 업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요즘의 젊은 20-30대 어머니들은 인터넷 사용이 익숙한 세대이고 사회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인터넷 시장의 규모는 계속해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주 소비층은 돌잔치 드레스를 제외하고 만 3세~6세의 학령 전 아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다(“Children clothing domestic market trends”, 2004).
그러나 이들은 대부분 기존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하는 수준에 머물러 아직까지 적극적 시장 개발이나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소비자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차별화된 디자인이나 마케팅 전략이 너무나 부족한 실정이다.
지금까지의 아동 드레스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디자인 개발 (Lee, 2004 ; Lee, 2008 ; Min, 2007) 이나 복식사 측면 (Kim, 2003) 에서의 연구가 있으며 선호의복에 관련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특히 학령 전 아동과 어머니의 선호 디자인에 관한 연구와 실질적인 구매결정자인 아동과 어머니에 관한 상세한 비교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최근 아동의 파티문화의 활성화로 인해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아동드레스 맞춤 제작 및 대여 인터넷 쇼핑몰의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여, 디자인 요소에 따른 학령 전 아동 드레스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를 조사하고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첫 번째 목적이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집단별 선호 순위를 비교분석한 선호 아동드레스 디자인 결과물을 제안함으로써, 소비자의 실질적인 요구에 부합하는 적절한 디자인 계획과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시하는데 두 번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변화하는 국내 아동드레스 인터넷 쇼핑몰의 활성화와 소비자들의 선호에 부합하는 드레스 디자인 개발을 가능하게 하고, 선호 드레스 디자인을 제안해 줌으로써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동 패션산업의 성장을 위한 촉매 산업으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어 그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2. 이론적 배경
- 2.1. 학령 전 아동의 의복행동
- 2.1.1. 의복행동 개념
의복행동이란 의복에 대한 태도, 흥미, 관심, 선택 및 착용행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성격, 태도, 가치관, 생활양식, 신분 등의 인간행동을 반영한다. 아동들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외모에 관심을 두고 타인의 의견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자신 역시 타인의 외모에 대해 많이 지각하는 것처럼 다른 아이들도 타인을 외모로 판단하고 있으며, 외모와 의복이 친구들 간의 수용정도와 인기 유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의복행동에 대한 사회 심리학적 연구는 20C초 미국의 심리학자들로부터 시작해서 많은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80년대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Gu(1998) 는 의복행동은 의복에 대한 선택, 착용, 습관 등과 관련된 태도 및 행동을 의미한다고 하였으며, Byun(1983) 은 의복행동이란 인간의 행동중의 하나로서 자신의 의복에 대한 평가, 관심, 태도, 선택, 착용 등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 2.1.2. 의복행동 구성요인
의복행동의 구성요인은 학자들에 따라 다른데, Creekmore는 의복행동 변인으로 심미성, 정숙성, 흥미성, 안락성, 주의 집중성, 관리성, 동조성, 심리적 의존성 8가지를 제시하였다. 의복행동 변인을 Creekmore가 분류한 8가지 요인을 중심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복의 심미성이란 의복에 대한 미적 감각을 중요시하며, 자신의 외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는 행동을 의미한다. Kim(1983) 은 의복의 심미성을 자신의 외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해서 의복을 착용하는 것을 말하며 여기에는 외형의 단정함도 포함된다.
둘째, 의복의 정숙성이란 눈에 띄지 않는 의복을 좋아하고 색상, 몸에 맞는 정도, 디자인, 신체노출에 있어서 지극히 보수적인 행위를 의미한다. Flugel(1971) 은 정숙성을 인간의 의복착용동기로 설명하면서 사회와 개인, 육체와 의복, 자신과 타인, 욕구와 혐오 등과 관련된 부정적 충동이라 하였다.
셋째, 의복 흥미성이란 의복에 대한 지식, 선택 및 착용 등에 관심과 호기심을 지니는 것을 의미한다. 흥미에 대해 Guiford는 어떤 활동에서 유도되는 개인의 일반화된 행동 경향으로 보았으며, Kefgen은 매력, 관심, 호기심으로, Ryan은 어떤 계층이나 어떤 분야의 연구를 선호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Kim, 1983) 고 하였다.
넷째, 의복 안락성이란 의복을 착용했을 때의 기온, 질감 등에 대한 신체적인 반응 또는 의복의 맞음새 등에 대한 적합성과 관련되어 편안함을 얻고자 의복을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Ryan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의복의 질감이 기분에 관계된다고 하였으며, Horn은 현대에 와서는 의복의 편안함이 그 어느 시대보다 강조되어 지고 있다고 하였다 (Hong & Lee, 1999) . 의복 안락성은 개인의 기호나 유행보다는 의복을 착용했을 때의 쾌적함을 추구하는 것으로 아동과 노인에게는 중요한 조건이 된다.
다섯째, 주의 집중성은 타인과 다른 의복을 선택, 착용함으로써 타인들로부터 관심, 호감, 지위, 명성, 자신감 등을 획득하려는 행위를 의미한다. Lee(1983a) 는 사회의 제반분제에 대하여 자유주의적 태도를 지닌 사람은 의복을 신분상징의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으며 눈에 띄게 의복을 착용함으로써 타인의 관심을 구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여섯째, 의복 관리성은 의복을 계획하고 구매, 사용하는데 있어서 시간과 금전, 에너지 등을 합리적으로 사용하여 절약하고자 하는 것이다. Park(1984) 는 의복에 대한 흥미가 클수록 의복관리에 더 많은 신경을 쓰며, 의복에 만족하는 아동일수록 이복의 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하였다.
일곱째, 의복 동조성은 집단에서 승인 받기 위하여 준거집단에 맞추어 옷을 입으려는 것을 의미한다. Kang(1995) 은 의복의 동조성을 의복규범을 받아들이거나 그 의복 규범을 고수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의복규범이란 한 사회집단에 의해서 전형적으로 받아들여진 옷차림을 의미한다.
여덟째, 심리적 의존성이란 의복을 선택 착용함에 있어서 의복이 자아에 주는 느낌, 즉 행복감, 자신감, 일반적으로 좋은 느낌, 또는 기분의 변화 등에 영향을 주는 감수성을 의미한다. Choi(1981) 은 자신의 외형에 대한 자기평가는 개인에 따라 기준에 차이가 있으나 자신이 의복을 잘 잡 입었다고 느끼는 것은 착용자에게 만족감과 행복감을 주며 매사에 자신감이 생겨 편안해지고 행동면에 있어서도 말이 많아지고 활동에 긍정적으로 참여하게 되며 집단의 일원으로서 소속감을 느낀다고 하였다.
- 2.1.3. 학령 전 아동의 의복행동
학령 전 아동이란 유아기는 지났지만 학령기에 접어들지 않은 아동으로 일반적으로 유치원을 다니는 만 3세~6세를 의미한다. 이 시기의 유아는 친구들과 어울리는 시간이 많아지고 활동량이 늘어나게 되어 의복도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자신의 외모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의복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유아의 의복 변화를 바탕으로 의복행동의 하위요소 중 학령 전 아동과 관련이 있는 5가지 요소를 선택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아동의 의복행동 중 흥미성에 관하여 보면, Tate(1967) 는 아동들의 이성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여 이성에 대한 흥미는 그들의 의복습관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 (Ha, 2001) . Lee(1989) 는 여자 아동 의복이 남자아동의 의복보다 덜 표준화되었기 때문에 남자아동 보다 여자아동이 어린 시절부터 외모가 돋보이고 의복에 더욱 흥미를 가진다고 하였다.
아동의 의복행동 중 안락성을 보면, 학령 전 아동은 신체적 활동이 많아지는 시기이므로 편안한 옷을 선호하게 된다. Hurlock(1960) 은 성인이나 청소년들은 멋을 위하여 어느 정도의 불편함을 견디지만, 아동들은 그와 같은 참을성이 없으며, 아동들은 단지 활동하기 편리하고 자유로운 의복을 선호한다고 하였다.
아동의 의복행동 중 관리성에 관하여 살펴보면, 이 시기의 아동은 의복 선택 시 대부분 어머니가 사준 옷에 대해 만족하지만, 여자아동은 6~10세 사이에 그들이 입고 싶은 옷과 입기 싫은 옷을 표현하기 시작한다고 하였다.
아동의 의복행동 중 동조성에 대해 살펴보면, 아동은 신체의 성장, 능력의 향상 및 관심의 증가, 사회성의 발달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시기로 사회성이 급격히 발달된다. Tate(1967) 는 아동이 자신의 옷이 그가 속하고 있는 집단의 스타일과 일치하기를 원하며, 그 집단의 의복이나 행동 등을 모방함으로써 안정감을 얻고자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연령이 증가될수록 많아지며 의복의 동조성은 만족 불만족을 나타내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고 하였다.
아동의 의복행동 중 심리적 의존성에 관하여 보면, Hurlock(1960) 은 아동은 자신의 옷이 부러움의 대상이 되고 존경을 받고 싶어 하며, 이러한 느낌은 아동에게 자신에 대한 존중감을 불어 넣어주며, 특히 다른 아동들이 그것을 모방할 때 그러한 기분이 더욱 든다고 하였다.
You(2005) 는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를 통해 아동의 의복행동은 자기존중감과도 관련이 있는데 자기존중감이 높은 아동은 관리성과 자립성이 높게 나타나고 자기존중감이 낮은 아동은 동조성이 높다고 하였다.
- 2.2. 학령 전 아동 어머니의 아동복 구매행동
- 2.2.1. 구매행동 개념
소비자행동이란 소비자행동과 구매행동은 물론 의사결정과정까지 포함하는 광범위한 것이어서 구매활동 자체뿐만이 아니라 구매 전후에 나타나는 탐색이나 구매 후 평가활동까지를 포함하며, 소비자들의 물리적 활동뿐만 아니라 심리적 결정까지 포함하며, 소비자는 단순히 그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직접 구매결정을 하였거나 영향력을 행사한 사람까지 포함하게 된다.
의복 구매행동은 의복에 대한 관심 태도 등에 의해서 의복을 선택, 구매, 착용하는 행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회 문화적인 환경요인과 개인적 욕구인 동기유발로 인하여 필요로 하는 의류상품을 지각하게 되고 정보를 탐색한 후 평가하여 선택하는 과정을 통하여 제품을 구매하는 것을 의미한다 (Park, 2003) .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아동복 구매행동을 점포선택행동, 제품선택행동, 정보탐색행동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 2.2.2. 구매행동 구성요인
- 2.2.2.1. 점포선택행동
점포선택행동은 환경변수, 소비자속성변수, 점포속성변수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다. 환경변수는 인가, 지리적인 거리, 상점의 밀집정도이며 소비자 속성변수는 인구통계변수, 심리적 변수, 구매 관행 변수 등이며, 점포속성변수로는 제품구색, 가격, 입지 등의 실질적 변수와 제공되는 서비스, 친절정도 등이 있다. 이러한 속성은 소비자가 상점을 선택하는 기준이 되며 이러한 차이에 따라 선택하는 점포가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Lee, 1991) . 즉, 점포선택기준이란 소비자가 쇼핑이나 구매를 위해 점포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여러 가지 속성들로 연구자에 따라 다양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 2.2.2.2. 제품선택행동
의복에 있어 선택기준은 소비자들이 의복을 선택할 때 기본적으로 고려하는 상품특성으로 의복의 객관적인 속성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원하는 주관적인 특성을 포함한 종합적인 개념을 말한다. 또한 구매 의사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구매 시 차별화되는 소비자의 특성과 행동을 나타내고, 의복 선택요인은 개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사회 및 심리적 변수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Hong, 2005) .
Lee(1983b) 는 선택기준을 내적기준과 외적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내적기준은 미적기준과 실용적 기준으로 구분하였다. 즉 의복 구매에서 이 단계는 의복 자체의 속성인 디자인, 스타일, 색상, 문양, 섬유직물, 가격, 사이즈, 품질, 관리성, 부속품, 유행성, 상표 및 봉재 등에 의한 이점이 선택기준이 되며, 아울러 그 옷을 언제 어느 장소에서 어떤 일로 입는가를 생각하는 목적성도 함께 고려된다.
이러한 의복의 선택기준에 관한 연구는 최근 물리-관리적 속성, 실용-경제적 속성, 미적 속성, 상징적 속성, 사회 심리적 속성 및 표현적 속성 등으로 분류되고 있는 등 더욱 세분화되고 있다 (Goh, 2008) .
- 2.2.2.3. 정보탐색행동
소비자는 대부분의 구매결정에 앞서 정보를 탐색하게 된다. 정보탐색이란 소비자가 인식된 문제를 만족시키기 위해 정보를 추구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고 소비자가 문제를 인식하였을 때 먼저 자신의 경험이나 기억 등을 통한 내적탐색을 하고, 그것만으로 충족할 수 없을 때 새로운 정보를 획득하고자 광범위한 외적탐색을 한다고 하였다. 소비자가 의복선택은 소비자가 얻는 정보에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만드는 하나의 의사결정행동이며, 정부원은 매스미디어를 통하거나 다른 사람이 입고 있는 의복을 관찬함으로써 얻어지며,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정보는 소비자의 의복구매결정에 크게 영향을 준다 (Lee, 1994) .
- 2.2.3. 학령 전 아동 어머니의 아동복 구매행동
아동복 구매행동에 대한 선행 연구에서 Park and Lee(2010) 는 만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주부를 대상으로 아동복 구매 시추구혜택에 따른 소비자 집단을 세분화하고 소비자 집단에 따른 아동복 정보원활용의 차이연구에서 유행추구집단은 유행에 맞게 아동복을 구매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정보를 많이 탐색하며, 브랜드가치추구집단은 유명 브랜드의 광고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하였다. 한편 실용추구집단과 개성추구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정보탐색활동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Jeon(2002) 은 어머니의 의복쇼핑성향의 아동의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아동의 의복행동은 어머니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보다는 어머니의 의복쇼핑성향이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Choi(2002) 는 유아의 의복 선호도와 어머니의 구매과정에 관한 연구를 통해 유아들의 색깔이나 의복종류의 선호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Song(2004) 은 학령 전 아동을 자녀로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의복에 대한 소비성향이 아동복 구매행동(제품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어머니의 소비성향을 유행지향적, 실용적, 충동적, 심미적, 과시적 소비성향으로 분류하였다. 제품선택 시 과시적 소비성향은 품질을 가장 적게 생각했으며, 유행지향적 소비성향에서는 디자인, 색상을 가장 중요시 했으며 충동적 소비성향과 심미적 소비성향은 가격을 가장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ark(2010) 에 따르면 어머니 본인과 자녀 의복에 대한 추구 이미지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27개의 이미지를 지적인 이미지, 개성적 이미지, 개성적 이미지, 단정한 이미지, 귀여운 이미지, 캐주얼한 이미지, 여성적인 이미지 6개 요인으로 분류하여 비교한 결과, 자녀에게는 개성적인 이미지, 귀여운 이미지, 캐주얼한 이미지를 추구하고 어머니 본인에게는 다정한 이미지와 여성적 이미지를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연령에 따라서는 자녀의 연령이 높을수록 지적인 이미지, 단정한 이미지, 여성스러운 이미지를 추구하는 반면 자녀의 연령이 낮을수록 귀여운 이미지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학령 전 아동의 의복행동과 학령 전 아동 어머니의 아동복 구매행동을 비교한 결과 아동은 의복을 통해서 집단에 소속감을 느끼며 안정감을 얻고자 하는 동조성과 자신의 옷이 부러움의 대상이 되고 싶은 심리적 의존성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령 전 아동을 자녀로 둔 어머니가 아동복을 구매할 때는 제품의 유행성이나 상표명, 타인의 호감 등의 동조성을 중요하게 생각 하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과 어머니의 의복행동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연구 방법
- 3.1. 측정도구
- 3.1.1. 실험물
- (1) 모델선정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남동에 위치한 은송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6세 어린이 중에서 실험에 적합한 표준 얼굴 유형에 해당하는 10명의 모델의 얼굴 사진을 판단 집단에게 보여주고 1명의 모델을 선정하였다.
- (2) 실험물의 디자인 요소 선정
본 연구의 실험 얼굴에 조합되어질 아동드레스의 디자인요소(실루엣, 허리선, 스커트 길이, 네크라인, 소매, 소재, 색상, 장식 종류, 장식위치)의 결정은 육아‧교육 카페 24개의 회원들과 함께 선정한 여아 드레스 맞춤 제작 및 대여 쇼핑몰의 여아드레스 사진 1265점의 디자인요소 분석 결과에 의해서였다. 그러므로 실루엣에 있어서는 벨형, 네크라인은 라운드 네크라인이 선정되었으며 소매는 슬리브리스, 2~3부의 퍼프소매와 타이트소매 그리고 러플소매가 선정되었다. 웨이스트라인에 있어서는 네추럴웨이스트라인과 하이웨이스트라인, 스커트 길이에 있어서는 무릎길이와 발목길이가 선정되었으며, 소재는 허리선을 기준으로 상의는 새틴, 하의는 튤, 새틴, 오간자, 레이스가 사용되었으므로 새틴 상의에 4가지 소재의 하의를 조합하여 4가지 경우로 제작하였다. 색상은 화이트, 핑크, 골드, 블랙, 블루가 선정되었으며, 장식의 유무에 있어서는 먼저 장식이 있는 경우에는 단독 소재로 꽃과 리본, 비즈가 많이 사용되었다. 꽃은 허리 왼쪽에 있는 경우와 허리둘레에 촘촘히 장식된 경우 그리고 상의 전체에 촘촘히 장식된 경우이며, 리본은 허리 왼쪽에 있는 경우와 허리 중심에 있는 경우 그리고 가슴 중심에 있는 경우이고, 비즈는 허리둘레 촘촘히 장식된 경우와 목둘레 촘촘히 장식된 경우 그리고 상의 전체 띄엄띄엄 있는 경우가 선정되었다.
- (3) 실험물 제작방법
1단계: ‘실험물의 디자인요소 선정’에서 선택되어진 디자인요소 중 소매 디자인과 소재를 조합하여 국민표준체위조사보고서의 만 6세 아동의 신체치수로 연구자가 총 4벌의 드레스를 제작하였다.
만 6세 아동의 착용자세, 얼굴표정 등 통제의 어려움으로 인해 연구의 제약이 따르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민표준체위조사보고서에 제시된 만 6세 여자 아동의 신체치수를 지닌 전신 마네킹을 이용하여 전신사진을 촬영하였다. 사진의 배경 색상은 드레스색상과 이미지에 영향을 덜 미치는 중명도 톤의 회색을 사용하였다.
2단계: 1단계에서 촬영한 드레스 사진을 어도비 포토샵 7.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본 연구의 실험목적에 맞게 시뮬레이션(Simulation)하여 합성 의복실험물을 완성 하였다. 완성된 실험물에서 모델의 착용자세, 얼굴, 헤어스타일, 구두, 배경색과 같은 과외변인들은 일정하게 통제시켰다.
완성된 실험물의 수는 웨이스트라인(2가지)×스커트 길이(2가지)를 조합한 4개의 실험물과 소매(4가지), 소재(4가지), 색상(5가지), 장식 없음(1가지), 장식(3가지)×(3가지)를 조합한 9개의 실험물, 허리벨트 색상(4가지)를 합하여 총 31개 Table 1 로 구성되나 실험물의 조작상 슬리브리스×새틴×네추럴 웨이스트라인×무릎길이 스커트×화이트 색상에서의 실험물이 동일하므로 실제 실험물의 숫자는 27개와 같다.
Each experimental material variable description
Experim-ental material number Sleeve Topic control variable Basic control variable

Sleeveless Puff Tight Ruffle

D1 Short sleeve length
D2 Nature waistline
D3 Nature skirt length
D4 Satin top
Tulle skirt
White color
None decorative
Waistline Skirt length

Nature High Nature Maxi

D5 Sleeveless
D6 Satin top
D7 Tulle skirt
D8 White color
None decorative
Bell silhouette
Skirt fabric

Satin Tulle Organza Lace

D9 Sleeveless
D10 Nature waistline
D11 Nature skirt length Round neckline
D12 Satin top
White color
None decorative
Color

White Pink Gold Black Blue

D13 Sleeveless
D14 Nature waistline
D15 Nature skirt length
D16 Satin top
D17 Tulle skirt
None decorative
Each experimental material variable description (continued)
Decorative presence and location

None Presence

Flower location Ribbon location Beads location

Left waist All of top Around the waist waist Left waist Center of waist Center of chest Around the waist closely Around the neck closely All of top sparsely Bell silhouette

D18
D19 Round neckline
D20 Sleeveless
D21
D22
D23 Nature skirt length
D24
D25
D26 Satin top
D27

Waist belt color Tulle skirt

Pink White Silver Gold

D28 White color
D29
D30
D21
- 3.2.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
본 연구의 대상자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5~6세 학령전 여자 아동과 그 아동의 어머니 각각 270명씩 총 540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 장소는 광주광역시 5개 구인 동구, 서구, 남구, 북구, 광산구에 위치한 대형마트였다. 동구에 위치한 홈플러스 광주 계림점, 서구에 위치한 이마트 상무점, 남구에 위치한 이마트 봉선점, 북구에 위치한 홈플러스 동광주점, 광산구에 위치한 홈플러스 광주 하남점의 총 5곳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6월과 7월이었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하여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이미지 지각의 요인을 밝히기 위하여는 Varimax회전을 이용한 요인분석과 각 요인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의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4. 결과 및 논의
- 4.1. 아동드레스 디자인 요소에 따른 선호도 차이
- 4.1.1. 소매 디자인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
아동의 드레스 소매디자인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를 일원변량분석과 Duncan의 다중범위검증을 각각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2 와 같다.
Differences in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sleeve design
(N=40)

Sleeve design Sleeveless (n=10) Puff (n=10) Tight (n=10) Ruffle (n=10) F

Preferences

Preferences 4.30(b) 6.10(a) 4.40(b) 5.60(a) 8.98**
**p<.01, a, b = Duncan’s multiple ranges test(p<.05)
Table 2 에서 보면, 소매디자인은 퍼프소매와 러플소매를 민소매와 타이트소매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드레스 소매디자인에 대한 아동과 어머니의 선호하는 순위를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3 과 같다.
Differences in preference ranking of the children and the mother of the sleeve design
Group Children Mother

Sleeve Design

Sleeveless 3 4
Puff 1 1
Tight 4 3
Ruffle 2 2
Table 3 에서 보면 아동 집단과 어머니 집단은 퍼프소매를 1순위로 선호하였고, 다음으로 러플소매를 선호하였다. 그러나 아동은 민소매를 3순위로 선호하였으나 어머니 집단은 타이트 소매를 선호하여 선호하는 소매디자인에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 4.1.2. 스커트의 허리선 위치와 길이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
아동의 드레스 스커트의 허리선 위치와 길이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를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4 와 같다.
Preferenc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of the waist line and skirt
(N=40)

Waistline Natural (n=10) High (n=10) Total F

Skirt length

Preference Natural (n=10) 4.30 5.50 4.70 Waistline (A)=.69
Maxi (n=10) 5.10 4.40 4.95 Skirt Length(B)=.25
Total 4.90 4.75 4.95 A×B=10.03*
*p<.05
Table 4 에서 보면, 선호도에 대하여 드레스의 스커트 길이와 허리라인의 두 독립변인에 따른 각각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Table 5 에서 보면, 아동들은 네추럴웨이스트에 발목길이의 드레스를 1순위로 선호하였고 다음으로 하이웨이스트에 발목길이, 네추럴웨이스트에 무릎이 길이를 선호하였고 하이웨이스트에 무릎길이의 드레스를 가장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 집단은 하이웨이스트에 무릎길이의 드레스를 1순위로 선호하였고, 네추럴웨이스트에 발목길이를 2순위, 하이웨이스트에 발목길이를 3순위, 네추럴웨이스트에 무릎길이를 가장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Differences in preference ranking of the children and the mother of the waist line and the length of the skirt
Group Children Mother

Waistline / Skirt length

Natural waistline / Natural length 3 4
Natural waistline / Maxi length 2 2
High waistline / Natural length 4 1
High waistline / Maxi length 1 3
이상의 내용에서 아동 집단과 어머니 집단에서 선호되어지는 드레스의 네추럴웨이스트와 무릎길이에 따른 드레스의 디자인에서는 순위가 많이 차이가 있었다. 아동은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보았던 이상적인 길어 보이고 공주 스타일을 선호하고 어머니 집단은 귀여운 이미지의 짧은 길이의 스타일을 더 선호하는 차이가 있었다.
- 4.1.3. 스커트 소재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
아동의 드레스 스커트소재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를 일원변량분석과 Duncan의 다중범위검증을 각각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6 과 같다.
Differences in preferences under the skirt fabric
(N=40)

Skirt Fabric Tulle (n=10) Satin (n=10) Organza (n=10) Lace (n=10) F

Preferences

Preferences 4.30(b) 4.50(b) 3.90(b) 5.50(a) 5.56**
**p<.01, a, b = Duncan’s multiple ranges test(p<.05)
Table 6 에서 보면, 드레스 스커트의 소재로는 레이스 소재를 다른 소재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드레스 스커트소재에 대한 아동과 어머니의 선호하는 순위를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7 과 같다.
Differences in preference ranking of the children and the mother of the skirt fabric
Group Children Mother

Skirt fabric

Tulle 2 3
Satin 3 2
Organza 4 4
Lace 1 1
Table 7 에서 보면, 어머니와 아동 집단 모두 드레스 스커트 소재로 레이스를 가장 선호하였고, 오간자 소재를 가장 선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비교적 비슷한 순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내용에서 아동 집단과 어머니 집단 모두 스커트 소재가 레이스인 드레스를 선호하는 것은 상대방에게 시각적으로 눈에 띄며 화려하게 돋보이고 싶어 하는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 4.1.4. 드레스 색상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
아동드레스 색상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를 일원변량분석과 Duncan의 다중범위검증을 각각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8 과 같다. Table 8 에서 보면, 드레스 색상으로는 핑크 드레스를 가장 선호하였고, 다음으로 화이트, 골드, 블루, 블랙으로 블랙드레스를 가장 선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으로 아동의 드레스는 화이트와 핑크를 대체로 선호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ifferences in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dress color
(N=50)

Dress color White (n=10) Pink (n=10) Gold (n=10) Black (n=10) Blue (n=10) F

Preferences

Preferences 4.30(b) 5.40(a) 3.40(bc) 2.10(d) 14.91**
**p<.01, a, b, c, d = Duncan’s multiple ranges test(p<.05)
한편 드레스 색상에 대한 아동과 어머니의 선호하는 순위를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9 와 같다.
Differences in preference ranking of the child and mother to dress color
Group Children Mother

Dress Color

White 2 2
Pink 1 1
Gold 5 3
Black 4 5
Blue 3 4
Table 9 에서 보면, 아동과 어머니 집단 모두 핑크 드레스를 1순위로 화이트를 2순위로 선호하였다. 그러나 아동은 골드 드레스를 가장 선호하지 않았고, 어머니 집단은 블랙 드레스를 가장 선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집단 간 선호순위에서 차이를 보였다.
- 4.1.5. 장식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
아동드레스 장식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를 일원변량분석과 Duncan의 다중범위검증을 각각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10 과 같다. Table 10 에서 보면, 장식이 없거나 리본장식, 비즈장식은 비슷하게 선호되었으나 꽃장식은 상대적으로 가장 선호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Differences in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decoration
(N=100)

Decoration None (n=10) Flower (n=30) Ribbon (n=30) Beads (n=30) F

Preferences

Preferences 4.30(a) 3.53(b) 4.87(a) 4.90(a) 13.36**
**p<.01, a, b = Duncan’s multiple ranges test(p<.05)
아동드레스 장식을 종류와 장식이 덧붙여지는 위치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를 일원변량분석으로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Table 11 과 같다.
Differences in pre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decoration
(N=100)

Preferences Preferences

Decoration

None(n=10) 4.30(de)
Flower Left waist (n=10) 3.60(ef)
Around the waist (n=10) 3.70(ef)
All of top (n=10) 3.30(f)
Ribbon Left waist (n=10) 4.60(bcd)
Center of waist (n=10) 4.90(abc)
Center of chest (n=10) 5.10(abc)
Beads Around the waist (n=10) 5.50(a)
Around the neck (n=10) 5.30(ab)
All of top (n=10) 3.90(def)
F 7.67**
**p<.01, a, b, c, d, e, f : Duncan’s multiple ranges test(p<.05)
Table 11 에서 보면, 허리둘레의 비즈장식이 가장 선호되었고, 다음으로 목둘레의 비즈장식, 가슴중심의 리본장식, 허리중심의 리본장식의 순으로 선호되었으며, 꽃장식은 장식위치에 관계없이 선호되어지는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드레스의 장식과 위치에 대한 아동과 어머니의 선호하는 순위를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12 와 같다.
Differences in preference ranking of the children and the mother of the decor and location
Group Children Mother

Decor & Location

Flower Left waist 2 2
Around the waist 1 1
All of top 3 3
Ribbon Left waist 3 3
Center of waist 1 2
Center of chest 2 1
Beads Around the waist 2 1
Around the neck 1 2
All of top 3 3
Table 12 에서 보면, 꽃장식을 보면, 아동과 어머니 집단 모두 허리둘레에 위치한 드레스를 제일 선호하였고, 상의전체에 꽃장식이 된 드레를 가장 선호하지 않았다. 리본은 아동 집단이 허리중심에 있는 드레스를 가장 선호하였으나 어머니 집단은 가슴중심에 있는 리본 드레스를 선호하여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비즈장식은 아동은 목둘레에 비즈장식이 있는 드레스를 가장 선호한 반면, 어머니 집단은 허리둘레에 비즈장식이 있는 드레스를 가장 선호하여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 4.1.6. 드레스 허리벨트 색상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
아동드레스 허리벨트 색상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를 일원변량분석과 Duncan의 다중범위검증을 각각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13 과 같다.
Dress differences in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waist belt color
(N=40)

Color White Pink Silver Gold F

Preferences

Preferences 5.00(b) 6.00(a) 3.50(c) 3.70(c) 16.20**
**p<.01, a, b, c = Duncan’s multiple ranges test(p<.05)
Table 13 에서 보면, 드레스 허리벨트 색상으로는 핑크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버와 골드색을 가장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드레스의 허리벨트 색상에 대한 아동과 어머니의 선호하는 순위를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14 와 같다.
Differences in preference ranking of the children and the mother of the waist belt color
Group Children Mother

Waist belt color

White 2 2
Pink 1 1
Silver 3 4
Gold 4 3
Table 14 에서 보면, 아동과 어머니 집단 모두 핑크를 1순위로 가장 선호하였고, 다음으로 화이트를 선호하였다. 반면, 아동은 골드를 가장 선호하지 않았으나 어머니 집단은 실버를 가장 선호하지 않았다.
- 4.2. 집단별 아동드레스 디자인 요소에 따른 선호순위 조합 결과물
이상의 내용에서 아동 집단과 어머니 집단이 선호하는 아동의 드레스 복식디자인 요소(소매, 허리선, 스커트 길이, 소재, 색상, 장식 종류, 장식위치)에 따른 순위 1위와 2위를 각각 조합하여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단, 장식의 위치는 1순위로 제한하였다.
아동 집단의 선호디자인 결과물로서 1위 C-D1은 퍼프소매+하이웨이스트라인/발목길이+레이스스커트+핑크색상 드레스, 2위 C-D2은 러플소매+네추럴웨이스트라인/발목길이+튤스커트+화이트색상 드레스이다.
아동 집단의 복식디자인 요소별 순위로 조합된 결과물은 Fig. 1 과 같다.
PPT Slide
Lager Image
The resulting combination of design elements doubles ranking of the child population.
각 장식 종류에 따른 1순위 장식 위치는 허리둘레 촘촘히 장식된 꽃장식, 허리중심에 장식된 리본장식, 목둘레 촘촘히 장식된 비즈장식, 핑크색상의 허리벨트이다.
어머니 집단의 선호디자인 결과물로서 1위 M-D1은 퍼프소매+하이웨이스트라인/ 무릎길이+레이스스커트+핑크색상 드레스, 2위 M-D2는 러플소매+네추럴웨이스트라인/발목길이+새틴스커트+화이트색상 드레스이다.
각 장식 종류에 따른 1순위 장식 위치는 허리둘레 촘촘히 장식된 꽃장식, 가슴중심에 장식된 리본장식, 허리둘레 촘촘히 장식된 비즈장식, 핑크색상의 허리벨트이다.
어머니 집단의 복식디자인 요소별 순위로 조합된 결과물은 Fig. 2 와 같다.
PPT Slide
Lager Image
Mother was the result of design elements combined into groups of doubles ranking.
5. 결 론
키즈산업의 발달과 함께 파티문화가 활성화됨에 따라 아동의 다양한 문화행사를 위한 아동드레스에 대한 필요성과 아동드레스 디자인에 있어 감성적 측면이 중요해짐에 따라 소비자의 감성적 요구의 파악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최근 아동의 파티문화의 활성화로 인해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아동드레스 인터넷 쇼핑몰을 대상으로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아동드레스의 복식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여, 디자인 요소에 따른 학령 전 아동드레스에 대한 학령 전 아동과 그 어머니의 선호도 차이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둘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집단별 선호 순위를 조합한 디자인 결과물을 제안함으로써, 소비자의 실질적인 요구에 부합하는 적절한 디자인 계획과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시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복행동에 대한 이론과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한 결과, 특히 유치원을 다니는 학령 전 아동은 의복으로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며 타인과의 관계에서 외모와 의복을 통해 자신이 평가받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의복행동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령 전 아동의 의복에 대한 연구는 학령 전 아동의 의복행동과 사회‧정서‧심리적 발달에 큰 영향을 줄 것이므로 연구의 필요성을 입증 할 수 있었다.
학령 전 아동의 의복행동 특성과 학령 전 아동 어머니의 아동복 구매행동 특성을 선행연구를 통해 알아보고, 아동의 의복에 있어 아동과 어머니의 의복행동에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본 결과, 학령 전 아동은 의복을 통해서 집단에 소속감을 느끼며 안정감을 얻고자 하는 동조성과 자신의 옷이 부러움의 대상이 되고 싶은 심리적 의존성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령 전 아동을 자녀로 둔 어머니는 아동복 브랜드의 이미지와 유행동조성을 중요시하며 남들과 다른 의복을 선택하여 자녀에게 착용하게 함으로써 타인의 호감, 관심, 명성, 자신감 등을 얻기 위한 과시적 소비성향인 주위집중성을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과 어머니의 의복행동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디자인 요소에 따른 학령 전 아동 드레스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복식디자인 요소(소매, 스커트 길이, 허리선, 소재, 색상, 장식 종류 및 위치)를 다르게 조합한 아동드레스를 착용한 학령 전 아동의 전신 칼라사진 27개를 실험물로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광주광역시 지역에 거주하는 만 5~6세 학령 전 여자 아동과 아동의 어머니 각각 270명씩 총 540명에게 실시한 결과 아동 집단과 어머니 집단간 드레스의 선호도에 있어 대체로 유사하였으나 드레스의 길이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즉 아동은 대체로 긴 길이를 선호한 반면 어머니 집단은 비교적 짧은 길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의 경우는 자신의 드레스 롤모델인 만화영화의 주인공과 같이 긴 드레스를 입는 것을 이상적으로 생각할 것이지만 어머니의 경우는 긴 길이보다 짧은 길이가 더 어린이답고 보행하기에 안전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아동 집단과 어머니 집단이 선호하는 아동드레스의 복식디자인 요소(소매, 허리선, 스커트 길이, 소재, 색상, 장식 종류 및 위치)에 따른 순위 1위와 2위를 각각 조합하여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단, 장식의 종류에 따른 위치는 1순위로 제한하였다.
• 아동 집단의 선호디자인 결과물로서 1위 퍼프소매+하이웨이스트라인/발목길이+레이스스커트+핑크색상 드레스, 2위 러플소매+네추럴웨이스트라인/발목길이+튤스커트+화이트색상 드레스이며, 각 장식 종류에 따른 1순위 장식 위치는 허리둘레 촘촘히 장식된 꽃장식, 허리중심에 장식된 리본장식, 목둘레 촘촘히 장식된 비즈장식, 핑크색상의 허리벨트를 얻을 수 있었다.
• 어머니 집단의 선호디자인 결과물로서 1위 퍼프소매+하이웨이스트라인/ 무릎길이+레이스스커트+핑크색상 드레스, 2위 러플소매+네추럴웨이스트라인/발목길이+새틴스커트+화이트색상 드레스이며, 각 장식 종류에 따른 1순위 장식 위치는 허리둘레 촘촘히 장식된 꽃장식, 가슴중심에 장식된 리본장식, 허리둘레 촘촘히 장식된 비즈장식, 핑크색상의 허리벨트를 얻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아동드레스 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었다.
즉, 어머니와 아동들이 활동하기에 편하며 남들보다 시각적인 주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을 선호하므로, 아동드레스 제작시에 예쁘고 화려하면서도 착용하였을 때 움직임이 편안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히 마케팅 전략적 관점에서 본 연구의 집단별 선호디자인 결과물에 비중을 두어 디자인한다면 보다 소비자의 욕구에 부합하여 의류업체의 이윤 창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References
Byun K. H. , Unpublished master's thesis (1983) Relationship with clothing behavior and selfconcept of school girl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3 'Catch the kid industry'. E-today from
2004 'Children clothing domestic market trends'. Samsung Fashion Institute from
Choi H. S.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1981) Clothing behaviors and their relations to social security- insecurity for a group of high school girls i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i K. J.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2) Study on the clothing preferences of the buying process and the mother of a toddler. Dankook University Yongin Unpublished master's thesis
Flugel R. D. , Unpublished master's thesis (1971) The psychology of clothing. University of International New York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 S. J.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1) Study on clothing behavior based on self-concept and gender, a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Daegu University Daegu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 B. S. (2005) Influence of the sale effect at the similar of the personality between the level of customer's involvement and apparel salespers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 (3·4) 576 - 584
Hong Y. S. , Lee M. H. (1999) The effects of preschool children's personality traits and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on clothing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9 155 - 171
Hurlock E. B. (1960) Child development. Mac Gwaw-Hill New York
Jeon M. H.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2) Mother of apparel shopping orientation effect on the behavior of children clothing. Kunsan University Guns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 H. W. (1995) Costume social sychology. Kyomunsa Seoul
Goh S. J.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8) A study on clothing purchase behaviors as related to the Indian women's fashion lifestyle. Yonsei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Gu J. M.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1998) Study on consumer values,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clothing satisfac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im S. Y.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003) Children's clothing and acting ever spent Victorian. Hanyang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im W. 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1983) Correlation studies and clothing behavior and selfconcept. Hongik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Lee K. A.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4) Children dress design offers wired and research. Hongik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Lee S. Y.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8)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pocket Korea haute couture children's clothing design research.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Lee E. H. , Unpublished master's thesis (1991) Baby clothing circular automatic system for educational research.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Lee M. Y. , Unpublished master's thesis (1989) Elementary 1, 2 and 3 year study of children's clothing behavior. Sungshin Woman's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Lee M. H.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1983b) Modesty and aesthetics in clothing behavior and related psychological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Lee S. J. , Unpublished master's thesis (1994) Clothing and textiles apparel form study on purchasing behavior in: focused on college students in Seou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Lee Y. 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1983a)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and social attitudes to cloth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Min S. J.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7) Application of Victorian fashion style girls dress design research: silk ribbon embroidery techniques around.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Park J. A. , Unpublished master's thesis (1984) A study of school-age boys and girls prefer to wear. Yonsei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Park J. S. (2003)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A Comparison of Different Money Attitude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Industry 41 (6) 13 - 28
Park E. J.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0) An image of a mother seeking clothing, children's clothing behavioral. Hanyang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Park O. R. , Lee J. N. (2010) Clothing behavior by value group of baby clothes purchaser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9 (1) 127 - 136    DOI : 10.5934/KJHE.2010.19.1.127
Song Y. J. ,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4) Mother's impact on the propensity to consume clothing baby clothing buying behavior.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Tate M. T. (1967) Family clothing.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2013 'What is halloween, children dress up to 1.7 million won'. Kookjeilbo from
You J. Y. (2005) A study on self-esteem and clot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17 (3) 97 -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