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nvestigated growth and hematological changes in parrotfish
Oplegnathus fasciatus
(~200 g/fish) reared under different total ammonia nitrogen (TAN) concentrations (0, 4, or 8 mg/L) for 6 weeks. Survival rates of parrotfish in all experimental group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s they were all ~100%. Although specific growth rate (SGR), weight gain, and daily feed intake in the high TAN concentration group (TAN8)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AN4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AN0), indicating that parrotfish have a strong resistance to ammonia toxicity. As for temporal changes of the major blood components, cortisol increased as a result of stress caused by the high ammonia concentration in the TAN8 group. For this reason, the concentrations of energy sources such as glucose and total cholesterol were reduced. However, there was little difference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in concentrations of liver function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and nutrient factors, such as total protein and albumin.
서 론
총 암모니아성 질소(TAN, total ammonia nitrogen)는 양식 생물에 의해 배설되는 주요 질소 대사 산물이며(
Colt and Armstrong, 1981
;
Foss et al., 2004
), 수중 용존산소가 충분할 경우 어류의 생존과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첫 번째 제한요인이다(
Park, 2005
). 암모니아는 어체에 축적되어 유독성을 나타내는데(
Randall and Wright, 1987
;
Paust et al., 2011
), 단기 증상으로는 아가미 호흡의 증가, 불규칙한 움직임, 평형감 상실, 먹이 섭취의 감소(
Meade, 1985
;
Russo and Thurston, 1991
)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만성적으로 노출될 시에는 성장 감소(
Lang et al., 1987
), 중추신경계의 손상(
McKenzie et al., 1993
) 및 폐사에 이르게 된다(
Ip et al., 2001
).
돌돔은 남해안에서 해상가두리와 육상 수조식으로 주로 양식하고 있는 온수성 어류로, 적정 수온이 20℃ 이상이라서(
Kim, 2011
), 동절기 저수온에서는 생존율이 낮은 문제가 있기 때문에(
Kang et al., 1998
;
Oh et al., 2006
), 동절기에 돌돔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육상양식장에서는 가온을 실시하여 사육하기도 한다. 이럴 경우에는 에너지 비용이 경영상 부담이 될 수가 있으므로, 에너지 절약형 사육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한데, 순환여과시스템은 다양한 수처리 시설을 이용하여 물을 지속적으로 재사용하는 생산시스템으로 외부로 빠져나가는 열에너지를 최소화하여 난방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
Suh et al., 2001
), 돌돔의 육상 수조식 양성에서는 매우 적합한 시스템이다(
Kim, 2011
). 또한 환수를 최소한으로 조절하므로써 외부 환경에 대한 간섭을 적게 받을 수 있고 유입되는 질병의 원인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세계적으로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Van Rijn, 1996
).
다만, 순환여과시스템은 양식 생물의 최적 성장을 위한 적절한 수질관리가 필요하므로, TAN과 같은 대사산물은 수중으로부터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돌돔을 순환여과시스템에 적용하여 생산하는데 필요한 TAN 농도 기준을 제시하고자 TAN 농도에 따른 돌돔의 성장과 혈액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사육시스템 및 수질
실험에는
Park et al. (2013)
과 동일한 규격(총 수량 4,500 L)의 독립된 3개의 순환사육시스템을 활용하였고, 실험기간 중의 수온, 용존산소(DO, dissolved oxygen), 염분 및 pH 측정은 하루 두 차례(09:00, 17:00)의 사료 공급 30분 후에 다항목수질측정기(YSI 556MPS, USA)로 측정하였으며, TAN는 분광광도계(HACH DR 4000U, USA)로 매일 1회 측정하였다. 어류에게 유독한 비이온화 암모니아(NH
3
, UIA)의 농도는
Johansson and Wedborg (1980)
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실험기간 동안의 수질은
Table 1
과 같다.
Water environment for the experiment
TAN, total ammonia nitrogen; TAN4, TAN concentration of 4 mg/L; TAN8, TAN concentration of 8 mg/L.
- 실험 어류 및 암모니아 주입
경상남도 통영의 가두리에서 사육중인 약 200 g의 돌돔을 구입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수조(1.0 m×1.0 m×1.0 m) 별로 100마리씩(사육밀도 33 kg/m
3
) 3반복으로 수용하였고, 6주간 해산어류용 상품 사료(우성사료, 조단백 43.5±0.6%, 조지질 11.8±0.1%)를 일간 2회(09:00, 17:00) 만복 공급하였다. 용존산소(DO)의 공급은 산소발생기(OXUS Aqua-7L, Korea)를 이용하여 포화도 80% 이상으로 유지하였고, 산소포화도는 휴대용 OxyGuard (OxyGuard A/S, Birkerød, Denmark) 로 매일 아침마다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실험 TAN 농도는 사전예비실험을 통하여 사료 섭취량이 평상시의 70% 이하로 떨어지는 약 8 mg/L를 기준으로 하여, 0 mg/L (대조구), 4 mg/L (TAN4) 및 8 mg/L (TAN8)의 3구간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시스템 내 암모니아의 주입은 별도의 150 L 암모니아 탱크에 NH
4
Cl 수용액(TAN4는 10%, TAN8는 20%)을 넣고, 정량펌프(AX1-32-PFC-HWS-K, Korea)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sump에 90 mL/min 속도로 주입하였다. 암모니아 용액은 매일 새로 만들어 20:00에 탱크 청소 후 재주입하였으며, sump에 공급된 암모니아는 포말분리기와 여과조를 거쳐 사육수와 충분히 혼합된 후 사육수조로 들어가도록 설계하였다. 환수량은 7 L/min으로 설정하여, 시스템 별 일간 약 2.2회의 환수가 되도록 하였다.
- 성장 및 혈액성분 조사
TAN 농도에 따른 돌돔의 성장을 조사하기 위해 실험 시작 전, 2주, 4주 및 6주 후에 돌돔을 계측하였고, 이때 실험구마다 15마리씩(수조별 5마리) 총 45마리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미부동맥에서 채혈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혈액은 냉장고에서 3시간 방치하고 응고시킨 뒤 원심분리(3,000 rpm, 10 min)하여 상등부의 혈청(serum)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코티졸(cortisol) 분석은
Jeon et al. (2000)
의 방법으로 하였으며, 총 단백질(total protein), 알부민(albumin), 포도당(glucose),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는 Cobas Integra 800 analyzer (Roche Diagnostics, USA)로 측정하였다.
- 통계처리
본 실험에 대한 결과는 mean±S.D.로 나타내었고, SPSS ver. 10.0 프로그램을 사용해 ANOVA로 검증한 후,
P
<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유의성 비교를 하였다.
결 과
- TAN 농도에 따른 돌돔의 성장
TAN 농도에 따른 돌돔의 성장 결과를
Table 2
에 나타내었다. 실험기간 동안 TAN 농도에 따른 생존율 차이는 없었다(
P
>0.05). 최초 200 g 내외의 돌돔이 실험 종료 시점인 6주 후에는 대조구, TAN4 및 TAN8 실험구에서 각각 245.4±1.6, 242.4±6.7 및 238.5±5.3 g으로 성장하여 증중량은 TAN8 실험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
<0.05). 그리고 돌돔의 일간성장률은 TAN8 실험구가 대조구와 TAN4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P
<0.05), 일간사료섭취율은 TAN4 및 TAN8 실험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나(
P
<0.05), TAN4와 TAN8 실험구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P
>0.05).
Growth performance of parrotfishOplegnathus fasciatusreared with 3 different total ammonia nitrogen TAN concentrations for 6 weeks
Values in each row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1100×(final mean weight − initial mean weight)/initial mean weight. 2(loge final weight − loge initial weight) ×100/days. 3Feed intake (day matter)×100/[(initial fish weight+final fish weight+dead fish weight)×days fed/2]. 4Total ammonia nitrogen concentration of 4 mg/L. 5Total ammonia nitrogen concentration of 8 mg/L.
- TAN 노출에 따른 돌돔의 주요 혈액성분 변화
돌돔의 사육 중 주요 혈액성분의 변화는
Fig. 1
과 같다. 우선, 스트레스 지표인 혈중 코티졸의 농도는 실험 시작 시 5.6 μg/dL였으나, 대조구와 TAN4 실험구는 2주 후에 각각 1.8 μg/dL과 2.5 μg/dL로 차이가 없었고, 이런 경향은 4주와 6주 후에도 변함이 없었다. 그러나 TAN8 실험구에서는 2주 후에 10.2 μg/dL로 다른 두 실험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급상승했다가, 4주 후에도 비록 낮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두 실험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6주 후에는 1.2-1.5 μg/dL로 실험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Fluctuations of some serum components of parrotfish Oplegnathus fasciatus according to total ammonia nitrogen (TAN) concentrations. TAN4, TAN concentration of 4 mg/L; TAN8, TAN concentration of 8 mg/L (1P<0.05). GO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P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주요 영양성분인 알부민의 농도는 실험 시작 시 1.0 g/dL에서 2 주 후 0.8 g/dL수준으로 모든 실험구에서 낮아졌다가, 이후에는 증가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4 주 후에는 0.9 g/dL 수준으로 증가하긴 했으나 실험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진 않았고, 6 주 후에는 TAN8 실험구에서 1.1 g/dL로 상승하여 대조구와 TAN4 실험구(0.9 g/dL)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0.05). 그리고 총단백질의 변화 패턴도 이와 유사하였다.
또 다른 에너지원인 포도당 농도는 대조구에서는 실험 기간동안 42-43 mg/dL로 큰 변화 폭을 보이지 않았으나, TAN4 실험구는 23-36 mg/dL, TAN8 실험구에서는 10-32 mg/dL로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총콜레스테롤 농도에서는 두 암모니아 실험구에서는 4 주 후까지는 대조구에 비해 낮은 농도였으나, 6 주 후에는 대조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GPT 활성은 실험 시작 시 2.2 IU/L에서 2 주차에는 실험구 별로 2.2-3.0 IU/L 수준이었고, 4 주차에는 전반적으로 세 실험구 모두 약간 증가한 후 6 주차에는 다시 낮아지는 공통된 경향을 보였으며, 실험기간 중 실험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
>0.05). 그러나 GOT 활성은 6 주차에 고암모니아 실험구(TAN8)가 다른 두 실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0.05).
고 찰
순환여과시스템은 주로 담수어류를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Park, 2005
), 특히 북유럽에서는 순환여과 양식을 뱀장어 양식에 도입하여 유럽에서의 뱀장어 총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담당하고 있다(
FFI, 1996
). 하지만 해수의 경우 염분으로 인한 질산화 효율의 감소로(
Son et al., 2000
) 대사산물인 TAN을 제거하기 위한 장비의 규모가 커야 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진다(
Kim, 2011
). 따라서 해수어류를 순환여과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육하려면 대상 어종의 TAN에 대한 내성 수준을 고려하여 수처리 장치의 규모를 설정하는 작업이 먼저 이루어 져야만 한다.
먹이를 통해 아미노산 형태로 공급되는 질소는 아미노산과 단백질의 합성에 필수적인 성분이지만(
Chin et al., 1998
), 어류는 체내 흡수되고 남은 단백질과 체내 조직 단백질의 이화과정을 통해 최종적인 질소대사산물로 암모니아를 배설하게 된다(
Forster and Glodstein, 1969
). 이렇게 배설된 암모니아는 독성이 있어, 조직의 구조와 기능, 혈액 성상, 삼투압 조절, 내병성, 성장, 번식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도 하여 생산성을 크게 감소시키는 주된 원인이 되며(
Russo, 1985
;
Jeney et al., 1992
), 특히 산소포화도가 낮으면 독성은 더욱 크게 발현되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Thurston et al., 1981
;
Wajsbrot et al., 1991
). 그래서 본 실험은 산소포화도를 80% 이상으로 유지시키면서 고농도 암모니아가 어류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 것이다.
수중 암모니아(TAN)에는 이온화되지 않은 암모니아(NH
3
, UIA)와 암모늄 이온(NH
4
+
)의 두 가지 형태가 존재하는데(
Bower and Bidwell, 1978
), 이 중에서 어류에게 해로운 것은 이온화되지 않은 암모니아이다. 본 연구에서 TAN4 및 TAN8 실험구의 UIA농도는 각각 0.13 및 0.23 mg/L인데(
Table 1
참조), 이 농도는 여러 어류의 성장이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낼 정도로 높은 수준이며, 이와 같은 고암모니아 농도에 노출시켜 어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Foss et al., 2009
). 그러나 환경 내성은 종이나 성장 단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본 실험에서는 200 g 내외의 돌돔을 6 주간 사육하였더니, TAN8 실험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평균 증중량, 증중률, 일간 성장률 및 일간사료섭취율 등 전반적인 성장지표가 모두 유의적으로 낮았지만(
P
<0.05), TAN4에서는 일간사료섭취율을 제외하고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0.05). 이와 관련해서,
Paust et al. (2011)
는 약 52 g의 Atlantic halibut(
Hippoglossus hippiglossus
)을 대상으로 UIA 농도 0.06, 0.12 및 0.17 mg/L에서 100 일간 사육하였더니, 일간성장률이 0.06 mg/L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지만, 0.12 mg/L에서는 6 주차까지 대조구보다 성장률이 낮았으나 7 주차 이후에는 대조구와 유사한 성장률을 보였고, 0.17 mg/L에서는 10 주차 이후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의 성장률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
Fig. 2
)에서도 실험 초기인 2 주차에는 대조구와 TAN4의 일간성장률이 0.40-0.46%/day로 유사하였고, 이후 6 주차에도 두 실험구는 유사한 성장패턴을 보였던 것에 비해, TAN8 실험구는 실험 초기부터 종료하기까지 다른 두 실험구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일간성장율이 낮았다. 다만, 일간성장율의 차이는 실험 기간이 길어지면서 점차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Fig. 2
). 이들 결과는 고농도 암모니아에서는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TAN4 실험구의 UIA농도와 유사한 수준인 0.12 mg/L 정도에서도 성장 감소가 일어난다는 것은 dover sole (
Solea solea
), turbot (
Scophthalmus maximus
) (
Alderson, 1979
), spotted wolfish (
Anarhichas minor
) (
Foss et al., 2003
), Atlantic cod (
Gadus morhua
) (
Foss et al., 2004
), European sea bass (
Dicentrarchus labrax
) (
Lemarié et al., 2004
), gilthead sea bream (
Sparus aurata
) (
Wajsbrot et al., 1993
), Senegalese sole (
Solea senegalensis
) (
Pinto et al., 2007
) 등 여러 해산어류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의 암모니아는 돌돔의 성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지만, TAN4 실험구의 성장지표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던 것은 암모니아 독성에 대해 돌돔이 다른 어류들에 비해 내성이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여겨진다.
Fluctuations of specific growth rate of parrotfish Oplegnathus fasciatus according to total ammonia nitrogen (TAN) concentrations. TAN4, TAN concentration of 4 mg/L; TAN8, TAN concentration of 8 mg/L (1P<0.05).
한편, 다른 동물(
Selye, 1973
)과 마찬가지로, 어류도 스트레스를 받으면 강도나 지속시간에 따라 신경계 및 내분비계가 자극되어 코티졸 등이 과다 분비되고, 이로 인해 삼투질 농도(
Avella et al., 1991
)나 포도당 및 콜레스테롤과 같은 에너지원 성분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Schreck, 1981
;
Waring et al., 1992
).
본 실험에서는 급작스런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된 돌돔이 순간적으로 혈중 코티졸의 농도가 11 μg/dL까지 상승하다가 시간이 흐르면서 2 μg/dL 수준으로 하강하여 안정되었는데, 이런 결과는
Biswas et al. (2008)
의 보고와도 잘 일치한다. 그리고 이 결과는 고암모니아 농도가 초기에는 돌돔에게 큰 스트레스로 작용하지만, 돌돔은 고암모니아 환경에 잘 적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포도당과 총콜레스테롤의 혈중 농도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포도당 농도에서 감소가 높은 것은, 호흡을 위한 아가미 운동 등으로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면서 고갈된 것이 아닐까 여겨진다(
Lang et al., 1987
). 이와 관련하여,
Remen et al. (2008)
도 고농도 암모니아(0.115-0.120 UIA mg/L)에 노출시킨 juvenile Atalnatic cod (
Gadus morhua
)에서 포도당 농도가 감소했다고 보고하였고, 본 실험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이들 결과를 정리하면, 고농도(TAN8)의 암모니아 환경은 어류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혈액 성분의 농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등, 전반적으로 돌돔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시간 경과에 따라 다소 적응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해양수산부가 지원하는 강원씨그랜트 사업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Alderson R
1979
The effect of ammonia on the growth of juvenile Dover sole, Solea solea (L.) and turbot, Scophthalmus maximus (L.)
Aquaculture
17
291 -
309
DOI : 10.1016/0044-8486(79)90085-1
Avella M
,
Schreck CB
,
Prunet P
1991
Plasma prolactin and cortisol concentrations of stressed coho salmon (Oncorhynchus kisutch) in freshwater
Gen Comp Endocrinol
81
21 -
27
DOI : 10.1016/0016-6480(91)90121-L
Biswas AK
,
Seoka M
,
Ueno K
,
Yong ASK
,
Biswas BK
,
Kim YS
,
Takii K
,
Kumai H
2008
Growth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striped knifejaw, Oplegnathus fasciatus, held under different photoperiods
Aquaculture
http://dx.doi.org/10.1016/j.aquaculture.2008.04.007
279
42 -
46
DOI : 10.1016/j.aquaculture.2008.04.007
Bower CE
,
Bidwell JP
1978
Ionization of ammonia in seawater effects of temperature, pH and salinity
J Fish Res Bd Can
35
1012 -
1016
DOI : 10.1139/f78-165
Chin P
,
Shin YK
,
Kim HG
,
Lee JS
,
Kim HS
1998
Biological study on the increment of survival rate during early life cycle in th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Telostei: Scorpaenidae) I. Effects of ammonia on survival and growth of the larvae and juveniles stage
Kor J Ichthyol
10
98 -
105
Colt J
,
Allen LJ
,
Kinney EC
1981
Nitrogen toxicity to crustacean, fish and Mollusca
America Fisheries Society
Bethesda, MD, U.S.A.
Proceeding of the Bio-engineering Symposium for Fish Culture
34 -
37
Forster RP
,
Goldstein L
,
Hoar WE
,
Randall DJ
1969
Fish Physiology
Academic Press
New York, U.S.A.
Formation of excretory product
313 -
345
Foss A
,
Evensen TH
,
Vollen T
,
Øiestad V
2003
Effects of chronic ammonia exposure on growth and food conversion efficiency in juvenile spotted wolffish
Aquaculture
http://dx.doi.org/10.1016/S0044-8486(03)00276-X
228
215 -
224
DOI : 10.1016/S0044-8486(03)00276-X
Foss A
,
Siikavuopio TH
,
Sæther BS
,
Evensen TH
2004
Effect of chronic ammonia exposure on growth in juvenile Atlantic cod
Aquaculture
http://dx.doi.org/10.1016/j.aquaculture.2004.03.013
237
179 -
189
DOI : 10.1016/j.aquaculture.2004.03.013
Foss A
,
Imsland AK
,
Roth B
,
Schram E
,
Stefansson SO
2009
Effects of chronic and periodic exposure to ammonia on growth and blood physiology in juvenile turbot (Scophthalmus maximus)
Aquaculture
http://dx.doi.org/10.1016/j.aquaculture.2009.07.013
296
45 -
50
DOI : 10.1016/j.aquaculture.2009.07.013
1996
Inter Eascann eel farm is the first in Ireland
Fish Farming International
23
3 -
Ip YK
,
Lim CB
,
Chew SF
,
Wilson JM
,
Randall DJ
2001
Partial amino acid catabolism leading to the formation of alanine in Periophthalmadon schlosseri (mudskipper): a strategy that facilitates the use of amino acids as an energy source during locomotory on land
J Exp Biol
204
1615 -
1624
Jeney G
,
Nemesok J
,
Jeney Z
,
Olah J
1992
Acute effect of sublethal ammonia concentrations on common carp (Cyprinus carpio L.) II. Effect of ammonia on blood plasma transaminases (GOT, GPT), GIDH enzyme activity and ATP value
Aquaculture
104
149 -
156
DOI : 10.1016/0044-8486(92)90145-B
Jeon JK
,
Kim PK
,
Park YJ
,
Myoung JG
,
Kim JM
2000
Changes of serum cortisol concentration and stress responses in coho salmon (corhynchus kisutch) to netting
J Kor Fish Soc
33
115 -
118
Johansson O
,
Wedborg MG
1980
The ammonia-ammonium equilibrium in seawater at temperatures between 5 and 25 degrees C
J Chem Soc
9
37 -
44
Kang YJ
,
Lee SM
,
Hwang HK
,
Bai SC
1998
Optimum dietary protein and lipid levels on growth in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J Aquacult
11
1 -
10
Kim PK
2011
Effects of stocking density and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on the growth and hematology of the parrotfish Oplegnathus fasciatus in a recirculationg aquaculture stsrem (RAS)
Kor J Fish Aquat Sci
http://dx.doi.org/10.5657/KFAS.2011.0747
44
747 -
752
DOI : 10.5657/KFAS.2011.0747
Lang T
,
Peters G
,
Hoffmann R
,
Meyer E
1987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the toxicity of ammonia-effects on ventilation frequency, growth, epidermal mucous cells, and gill structure of rainbow-trout Salmo gairdneri
Dis Aquat Ogr
3
159 -
165
DOI : 10.3354/dao003159
Lemarié G
,
Dosdat A
,
Covès D
,
Dutto G
,
Gasset G
,
P.-Le Ruyet J
2004
Effect of chronic ammonia exposure on growth of European seabass (Dicentrarchus labrax) juveniles
Aquaculture
http://dx.doi.org/10.1016/S0044-8486(03)00392-2
229
479 -
491
DOI : 10.1016/S0044-8486(03)00392-2
McKenzie DJ
,
Randall DJ
,
Lin H
,
Aota S
1993
Effects of changes in plasma pH, CO2 and ammonia on ventilation in trout
Fish Physiol Biochem
10
507 -
515
DOI : 10.1007/BF00004606
Meade JW
1985
Allowable ammonia for fish culture
Prog Fish Cult
3
135 -
145
Oh SY
,
Noh CH
,
Kang RS
,
Myoung JG
2006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the oxygen consumption rate of fasted juvenile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Ocean and Polar Res
28
407 -
413
DOI : 10.4217/OPR.2006.28.4.407
Park J
2005
Design and performance of pilot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for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Ph.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ark J
,
Kim PK
,
Lim T
,
Daniels HV
2013
Ozonation seawater recirculating system for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i (Bleeker): Effects on solids, bacteria, water clarity, and color
Aquacult Eng
http://dx.doi.org/10.1016/j.aquaeng.2013.01.002
55
1 -
8
DOI : 10.1016/j.aquaeng.2013.01.002
Paust LO
,
Foss A
,
Imsland AK
2011
Effects of chronic and periodic exposure to ammonia on growth, food conversion efficiency and blood physiology in juvenile Atlantic halibut (Hippoglossus hippoglossus L.)
Aquaculture
http://dx.doi.org/10.1016/j.aquaculture.2011.03.008
315
400 -
406
DOI : 10.1016/j.aquaculture.2011.03.008
Pinto W
,
Arago C
,
Soares F
,
Dinis MT
,
Conceicao LEC
2007
Growth, stress response and free amino acid levels in Senegalese sole (Solea senegalensis Kaup 1858) chronically exposed to exogenous ammonia
Aquac Res
http://dx.doi.org/10.1111/j.1365-2109.2007.01788.x
38
1198 -
1204
DOI : 10.1111/j.1365-2109.2007.01788.x
Randall DJ
,
Wright PA
1987
Ammonia distribution and excretion in fish
Fish Physiol Biochem
3
107 -
120
DOI : 10.1007/BF02180412
Russo RC
,
Rand GM
,
Petrocelli SR
1985
Fundamentals of Aquatic Toxicology
Hemisphere Publishing
Washington DC, U.S.A.
Ammonia, nitrite and nitrate
455 -
471
Russo RC
,
Turston RV
,
Brune E
,
Tomasso JR
1991
Advances in World Aquaculture
The World Aquaculture Society
Louisiana, U.S.A.
Toxicity of ammonia, nitrite and nitrate to fishes. Aquaculture and water quality
58 -
89
Remen M
,
Imsland AK
,
Stefansson SO
,
Jonassen TM
,
Foss A
2008
Interactive effects of ammonia and oxygen on growth and physiological status of juvenile Atlantic cod (Gadus morhua)
Aquaculture
http://dx.doi.org/10.1016/j.aquaculture.2007.11.032
274
292 -
299
DOI : 10.1016/j.aquaculture.2007.11.032
Schreck CB
,
Pickering AS
1981
Stress in Fish
Academic Press
London, U.K.
Stress and compensation in teleotean fishes : responses to social and physical factors
295 -
321
Selye H
1973
The evolution of the stress concepts
American Scientist
61
692 -
699
Son MH
,
Jeon IG
,
Cho KC
,
Kim KS
2000
Ammonia removal rate on ammonia loading rates in seawater filtering system using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 (RBC)
J Kor Fish Soc
33
367 -
372
Suh KH
,
Kim BJ
,
Jeon IG
2001
Design and Development of Integrated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J Kor Fish Soc
34
70 -
76
Thurston R
,
Russo RC
,
Vinogradov GA
1981
Ammonia toxicity to fishes - effect of pH on the toxicity of the unionized ammonia species
Environ Sci Technol
15
837 -
840
DOI : 10.1021/es00089a012
Van Rijn J
1996
The potential for integrated biological treatment systems in recirculating fish culture - A review
Aquaculture
139
181 -
201
DOI : 10.1016/0044-8486(95)01151-X
Wajsbrot N
,
Gasith A
,
Krom MD
,
Popper DM
1991
Acute toxicity of ammonia to juvenile gilthead seabream Sparus aurata under reduced oxygen levels
Aquaculture
92
277 -
288
DOI : 10.1016/0044-8486(91)90029-7
Wajsbrot N
,
Gasith A
,
Diamant A
,
Popper DM
1993
Chronic toxicity of ammonia to juvenile gilthead seabream Sparus aurata and related histopathological effects
J Fish Biol
42
321 -
328
DOI : 10.1111/j.1095-8649.1993.tb00336.x
Waring CP
,
Stagg RM
,
Poxton MG
1992
The effects of handling on flounder (Platichthys flesus L.) and Atlantic salmon (Salmo salar L.)
J Fish Biol
41
131 -
144
DOI : 10.1111/j.1095-8649.1992.tb0317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