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establish the anti-diabetic(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D. lotus
leaf extract, isolate and identify the constituents responsible for the activity. The methanolic extract of leaves was partitioned between water,
n
-butanol and ethyl acetate. Bio-assay guided fractionation, based on inhibition of α-glucosidase, allowed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active components.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LC/MS),
1
H-NMR and
13
C-NMR spectra analyses demonstrated that the active compound was myricetin-3-O-α-
L
-rhamnoside(1). Compound 1 demonstrated a strong inhibition on the α-glucosidase, in vitro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value was calculated as 98.08%, when that of a reference drug, acarbose was estimated as 83.03%. The present study indicates compound 1 could be considered as an α-glucosidase inhibitor and developed as an important antidiabetes agent for type II diabetes therapy.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본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수항리 신기마을에서 2013년 6월 30일에 채취하였다. 고욤나무 잎의 동정은 마을 주민으로부터 확인한 후 최종적으로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방제학교실 김홍준 교수님으로부터 동정을 받았다. 고욤나무 잎 표본(JSI-01)은 전주생물소재연구소에 보관하고 있다. 채취된 고욤나무 잎은 즉시 증류수로 세척한 후 5분간 증기찜을 한 후 실온에서 선풍기를 활용하여 건조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건조기에서 40℃로 12시간 동안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기기 및 시약
−본 실험에 사용된 α-glucosidase,
p
-nitrophenyl-α-D-glucopyranoside(
p
-NPG), myrcetin은 Sigma-Aldrich(St. Louis, MO, USA) 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추출, 분리 및 정제를 사용한 용매는 모두 특급(GR) 및 1급 시약을 사용하였으며,
1
H-NMR 및
13
C-NMR spectrum은 Jeol JMN-EX 400 spectrometer(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Column chromatography는 silica-gel(230-400 mesh, merck)을 사용하였고, TLC는 Kiesel gel 60 F
254
(0.25 mm, Merck)을 사용하였다. prep-HPLC용 column은 JAI GS-310 (JAICo. Ltd.) column을 사용하였다. 발색시약으로는 10% H
2
SO
4
EtOH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UV의 검색은 254와 365 nm에 측정하였다.
α-Glucosidase 효소저해 활성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Tibbot 등의 방법
11)
에 따라 반응 혼합액은 50 mM sodium succinate buffer(pH 4.2)에
ρ
-nitrophenol-α-D-glucopyranoside(PNPG)를 용해시켜 1 mg/mL의 농도로 기질을 만들었다. 기질 50 μL와 효소액 25 μL를 혼합하고 대조구에는 증류수 25 μL, 반응구에는 시료(0.1 mg/mL) 25 μL을 넣어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1N-NaOH 25 μL를 첨가하여 발색시켰다. 이때 생성된
ρ
-nitrophenol (PNP)은 4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양은 표준물질
ρ
-nitrophenol로부터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구하여 다음의 식으로 저해율을 구하였다. Acarbose(1.0 mg/mL)을 양성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Inhibition (%) = (1-반응군의 PNP 생성량/대조군의 PNP생성량) × 100
추출 및 분리
−잘 건조된 고욤나무 잎을 분말로 만든 후 420 g을 10배 가량의 MeOH로 12시간 동안 냉침 시킨 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MeOH 추출물 76.85 g을 얻었다. 추출물을 증류수와 MeOH 혼합액(9:1)에 현탁시킨 후 동량의
n
-hexane(Hx), chloroform(CHCl
3
), ethyl acetate (EtOAc, EA) 및
n
-butanol(
n
-BuOH)로 순서로 용매 분획하여 Hx 분획 2.58 g, C 분획 0.24 g, EtOAc 분획 5.80 g,
n
-BuOH 분획10.80 g을 각각 얻었다. α-glucosidase 활성이 우수한
n
-BuOH 분획물 5 g을 용출용매 CHCl
3
:MeOH=97:3→ 60:40로 silica-gel(230-400 mesh, 800 g) column(Ø=5.0× 100 cm)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총 17개의 분획으로 나누었다. 그 중 활성을 측정한 뒤 효능이 우수한 분획 Fr. 16 (78 mg)를 prep-HPLC(용매, MeOH, 254 nm) 화합물 1을 얻었다(
Fig. 1
).
Structures of isolated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Diospyros lotus. 1. myricitrin, 2. myricetin, and 3. caffeic acid.
화합물 1
: Myricetin 3-O-α-L-rhamnopyranoside(Myricitrin). Yellow powder,
1
H-NMR (400 MHz, CD
3
OD) δ: 6.93 (br s, H-2'), 6.34 (d,
J
=2 Hz, H-8), 6.18 (d,
J
=2.0 Hz, H-6), 5.30 (d,
J
=1.1 Hz, H-1''), 4.20 (m, H-2''), 3.76 (dd,
J
=3.1, 9.4 Hz, H-3''), 3.51(dq,
J
=6.1, 9.4 Hz, H-5''), 3.29 (t,
J
=9.4 Hz, H-4''), 0.95 (d,
J
=6.3 Hz, H-6'');
13
C-NMR (100 MHz, CD
3
OD) δ: 179.2 (C-4), 165.4 (C-7), 162.7 (C-5), 159.0 (C-2), 158.0 (C-9), 146.4 (C-3'), 146.4 (C-5'), 137.4 (C-4'), 135.8 (C-3), 121.5 (C-1'), 109.1 (C-6'), 109.1 (C-2'), 105.4 (C-10), 103.1 (C-1''), 99.3 (C-6), 94.2 (C-8), 73.3 (C-4''), 71.7 (C-3''), 71.5 (C-5''), 71.4 (C-2''), 17.2 (C-6'').
결과 및 고찰
식물추출물 대상으로 α-glucosidase 저해제를 찾기 위해 고욤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에서 α-glucosidase 저해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92.07% 저해율을 보여주었다. 한편 동일한 실험조건 하에서 실시한 대조약물 acarbose의 저해율이 83.03%로 측정되어 고욤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은 대조약물 acarbose 보다 높은 효소활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을
n
-hexane, CHCl
3
, EtOAc 및
n
-BuOH로 단계적으로 용매분획하여 얻은 EtOAc 분획물 및
n
-BuOH 분획물이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n
-BuOH 분획물의 경우 96.61%의 높은 활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EtOAc 분획물은 동일한 농도에서 90.60%, 그러나 CHCl
3
분획물은 미미한 효소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Fig. 1
). 따라서 고욤나무 잎 추출물에 함유된 α-glucosidase 활성 저해 성분들은 주로
n
-BuOH 분획물에 분포하는 것으로 예측되어 이
n
-BuOH 분획물로부터 활성 저해성분들의 분리 정제를 시도하였다. 우선
n
-BuOH 분획물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Fr. 1~Fr. 17등 총 17개의 분획으로 나눈 후 각 분획의 활성 저해효과를 각각 측정하여 본 결과, Fr. 16는 78.0%의 높은 효소활성 저해효과를 보여준 반면 Fr. 1~Fr. 11은 모두 40% 이하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중 가장 우수한 저해효과를 나타낸 Fr. 16를 재차 prep-HPLC를 실시하여 정제한 결과, α-glucosidase에 대하여 강력한 효소저해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1을 분리하였다. 화합물 1은 미황색 분말로서
1
H-NMR 및
13
C-NMR spectrum 등 각종 분광학적 data 를 문헌
12
,
13)
과 비교하여 본 결과 myricetin-3-O-α-L-rhamnoside (myricitrin)로 확인되었다(
Fig. 1
).
α-glucosidase activity inhibition of extracts or fractions from the leaves of Diospyros. Data represent the mean±SD of at least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화합물 1은 α-glucosidase 활성을 저해하였으며, 활성 저해는 98.07%로 산출되었고, 대조약물로 사용한 acarbose (83.03%)에 비하여 훨씬 강력한 활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화합물 1과 함께 Fr. 12a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3의 caffeic acid의 활성 저해는 10% 이하의 낮은 활성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고욤나무 잎에서 분리한 화합물 1(myricitrin)의 구조와 α-glucosidase 활성 저해효과의 상호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화합물 1의 구조에 3번 위치에 rhamnoside의 1분자가 없은 고욤나무 잎 추출물의 주요성분 중의 하나로 보고된 화합물 2(myricetin)의 α-glucosidase 활성 저해효과가 대조약물로 사용 한 acarbose에 버금가는 99.82%의 강력한 활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 rhamnoside의 1분자가 α-glucosidase 활성 저해율에 구조적인 장애로 인해 약간 낮은 활성 저해율을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Fig. 3
).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isolated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Diospyros lotus. 1. myricitrin, 2. myricetin, 3. caffeic acid. and acarbose.
결 론
당뇨병에 효과 있는 천연물 소재의 탐색하여 과학적인 실험근거를 목적으로 소장 흡수 저해효소인 α-glucosidase를 target로 저해율을 조사하였다. 소재중에 우리나라 고유의 생약자원인 고욤잎을 활성유도 분획법(bioactivity-guided fractionation)에 따라 분리, 정제를 시도 단일 물질로 myricetin-3-O-α-L-rhamnoside(myricitrin)을 얻었다. Myricitrin의 α-glucosidase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대조약물로 사용 한 acarbose(83.03%)에 버금가는 98.07%의 강력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Myricitrin의 단일성분을 직접 또는 함유된
n
-BuOH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당뇨활성을 직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일련의 표준 실험을 통하여 천연물의약이나 기능성식품 소재로의 개발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13년도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과제번호 :R0002271)으로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다.
Korean Statistical Association
(2013)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Korean Statistical Association
Seoul
DeFronzo R. A.
(1992)
Pathogenesis of type 2(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a balanced overview.
Diabetologia
35
389 -
397
DOI : 10.1007/BF00401208
Schwartz S.
,
Raskin P.
,
Fonseca V.
,
Graveline J. F.
(1998)
Effect of troglitazone in insulin-treated patients with type II diabetes mellitus.
N. Engl. J. Med.
338
861 -
866
DOI : 10.1056/NEJM199803263381302
Hong S. H.
,
Kim M. J.
,
Noh S. G.
,
Suh D. W.
,
Youn S. J.
,
Lee K. W.
,
Lee H. C.
,
Chung Y. S.
,
Chung H. R.
,
Kwon H. S.
,
Cha B. Y.
,
Son H. Y.
,
Yoon K. H.
(2008)
A study on resistance in type 2 diabetic patient against commencement of insulin treatment.
Korean Diabetes J.
32
269 -
279
DOI : 10.4093/kdj.2008.32.3.269
Said A.
,
Hawa U. W.
,
Nofal S. M.
,
Rashes K.
,
Huefner A.
(2009)
Pharmaco-chemical studuies on the aqueous methanolic extract ofDiospyros lotusLeaves.
Res. J. Phytochem.
3
1 -
12
DOI : 10.3923/rjphyto.2009.1.12
Moghaddam A. H.
,
Nabavi S. M.
,
Nabavi S. F.
,
Bigdellou R.
,
Mohammadzadeh S.
,
Ebrahimzadeh M. A.
(2012)
Antioxidant, antihemolytic and nephroprotective activity of aqueous extract ofDiospyros lotusseeds.
Acta Pol. Pharm.
69
687 -
692
Ayaz F. A.
,
Kadioglu A.
(1999)
Fatty acid compositional changes in developing persimmon(Diospyros lotusL.) fruit.
N. Z. J. Crop Hortic. Sci.
27
257 -
261
DOI : 10.1080/01140671.1999.9514104
Loizzo M. R.
,
Said A.
,
Tundis R.
,
Hawas U. W.
,
Rashed K.
,
Menichini F.
,
Frega N. G.
,
Menichini F.
(2009)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Diospyros lotusL. extract and isolated compounds.
Plant Foods Hum. Nutr.
64
264 -
270
DOI : 10.1007/s11130-009-0133-0
Nabavi S. M.
,
Ebrahimzadeh M. A.
,
Nabavi S. F.
,
Fazelian M.
,
Eslami B.
(2009)
In vitro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Diospyros lotusandPyrus boissierianagrowing in Iran.
Pharmacogn Mag.
5
122 -
126
Kim S. Y.
,
Kim S. J.
,
Kim J. A.
,
Kim D. H.
,
Kwak S. H.
,
Chung C. H.
,
Jeon I. H.
,
Jang S. I.
,
Jeong S. I.
(2014)
Anti-oxidant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of extracts or fractions fromDiospyros lotusL. leaves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ir flavonoid compounds.
J. Life Sci.
24
935 -
945
DOI : 10.5352/JLS.2014.24.9.935
Tibbot B. K.
,
Skadsen R. W.
(1996)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ibberellin-inducible, putative αglucosidase gene from berley.
Plant Mol. Biol.
30
229 -
241
DOI : 10.1007/BF00020110
Fayek N. M.
,
Monem A. R.
,
Mossa M. Y.
,
Meselhy M. R.
,
Shazly A. H.
(2012)
Chemical and biological study ofManilkara zapota(L.) Van Royen leaves(Sapotaceae) cultivated in Egypt.
Pharmacognosy Res.
4
85 -
91
DOI : 10.4103/0974-8490.94723
Venkateswara
,
Rao G.
,
Sahoo M. R.
,
Madhavi M. S. L.
,
Mukhopadhyay T.
(2014)
Phytoconstituents from the leaves and seeds ofManilkara zapotaLinn.
Der Pharmacia Lettre
6
69 -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