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50 40 μg/ml)of aqueous extracts of plant oriental medicines
5종 한약 중 tyrosinase 저해 효과가 강한 한약인 오약(烏藥)은 기(氣)를 소통시키고 기체(氣滯)를 소제(消除)하는 효능이 있는 이기약(理氣藥)에 속하며,
13)
녹나무과에 속한 상록관목인 오약의 근경을 건조한 것으로, 동의보감에는 성질은 따뜻하며 맛이 맵고 독이 없다. 모든 기병(氣病)과 냉병(冷病)을 낫게 하며 중악(中惡)으로 명치 아래가 아픈 것, 주오(主)와 헛것에 들린 것을 낫게 하고 방광과 신(腎)의 냉기(冷氣)가 등심으로 치미는 것을 낫게 한다. 곽란(霍亂)과 반위(反胃), 구토, 설사, 이질, 옹종(擁腫), 옴, 문둥병을 낫게하고 오줌이 술술 자주 나가는 것, 부인의 혈, 기로 오는 통증 등을 낫게 하며 어린이 뱃속의 여러 가지 충을 죽인다 하였다.
14)
성분으로는 linderenol, linderene, linderenone, bilindestenolide, higenamine, magnoflorine 등이 있으며, 약리작용으로 건위정장(健胃整腸), 장관평활근의 운동을 촉진시킨다.
15)
임상응용으로는 배꼽주위의 동통, 장명 등의 한통(寒痛) 증상(신경성위장염, 장관유착으로 인한 경도의 통과 장애 등에서 볼 수 있다)에 적용되며, 소장 hernia, 부고환염 등으로 통증이 배꼽주변까지 방산(放散)하는 경우에 사용하고, 허한(虛寒)으로 인한 빈뇨, 기체로 인한 월경통에 사용한다.
16)
오약(P-32)의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IC50 μg/ml 값은 15.56이었다(
Table III
).
위령선(葳靈仙)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한 다년생 낙엽성 만경식물인 으아리와 위령선의 근과 근경을 건조한 것으로, 동의보감에서는 여러 가지 풍을 없애며 5장의 작용을 잘하게 하며 뱃속에 냉으로 생긴 체기, 가슴에 있는 담수(痰水), 징가(癥痂), 현벽(痃癖), 방광에 있는 오랜 고름과 궂은 물,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오래 먹으면 온역과 학질에 걸리지 않는다 하였다.
14)
성분으로는 anemonin, anemol 등이 있으며, 약리작용으로 목구멍에 걸린 뼈를 내려가게 해 주며, 식초 추출물은 생선뼈에 대하여 연화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피부진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해열 진통 작용이 있으며 항 이뇨작용과 요산을 녹이는 작용으로 통풍에 효과가 있다.
15)
임상응용으로는 사지관절통·관절의 운동장애·수족마비 등의 증상을 수반하는 만성관절 류머티즘에 사용한다.
16)
위령선(P-35)의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IC50 μg/ml 값은 35.02이었다(
Table III
).
육계(肉桂)는 녹나무과에 속한 상록교목인 육계의 수피를 건조한 것으로, 동의보감에는 성질은 몹시 열하며 맛은 달고 매우며 조금 독이 있다. 신(腎)을 잘 보하므로 5장이나 하초에 생긴 병을 치료하는 약으로 쓴다. 수족소음경에 들어간다. 빛이 자주빛이면서 두터운 것이 좋다. 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쓴다 하였다.
14)
성분으로는 cinnamaldehyde, cinnamyl acetate, phenylpropyl acetate, cinnamic acid, cinnzeylanine, cinnzeylanol 등이 있으며, 약리작용으로 cinnamaldehyde는 부신에 직접 작용하여 혈중 catecholamine의 농도를 상승시키며, 혈압강하, 심박수 감소, 혈당상승을 유발한다.
15)
임상응용으로는 양허(陽虛), 내한(內寒), 신기허약(腎氣虛弱)을 치(治)한다. 허한(虛寒)으로 인한 복통, 식욕부진, 상복부팽만, 구토, 설사 등에 건위작용을 이용한다. 월경지연(月經遲延), 하복부냉통 등의 부인과 증상에 활혈통경진통(活血通經鎭痛)의 효능을 이용해서 쓴다.
16)
육계(P-36)의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IC50 μg/ml 값은 25.14이었다(
Table III
).
천패모(川貝母)는 백합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천패모, 암자패모, 감숙패모 또는 능사패모의 인경을 건조한 것으로, 동의보감에는 성질은 평하고 맛은 맵고 쓰며 독이 없다. 담을 삭게 하고 심과 폐를 눅여준다. 폐위(肺痿)로 기침하고 폐옹(肺癰)으로 피고름을 뱉는 것을 낫게 하며 속이 답답한 것을 없애고 갈증을 멎게 하며 쇠붙이에 다친 것과 악창을 낫게 한다. 연교와 같이 쓰면 목에 생긴 영류(癭瘤)를 낫게 한다 하였다.
14)
성분으로는 nerticine, verticinone, verticilline, apoverticine, fritilline, fritillarine, peimisine, peimiphine, peiminoside, dongbeinine, dongberine 등이 있으며, 약리작용으로 물추출물은 기관지 확장작용과 함께 기관지점막의 분비를 억제한다.
15)
임상응용으로는 주로 만성 해수로써 인건·번열·담소·혈담·식욕부진 등의 폐음허(肺陰虛)의 증상이 있을 때 쓰인다. 폐결핵·만성기관지염 등의 해수에 잘 쓰인다.
16)
절패모(P-40)와 천패모(P-45)의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IC50 μg/ml 값은 각각 15.20, 39.77이었다(
Table III
).
5종 한약 추출물의 분획물을 이용한 Tyrosinase 저해 효과
− 50종의 한약 물 추출물에 대한 tyrosin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에서 오약(P-32), 위령선(P-35), 육계(P-36), 절패모(P-40), 천패모(P-45) 등 5종이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Table III
). 이 한약들에 대해서 MeOH을 용매로 하여 다시 추출하여 분획을 실시하였다(
Fig. 1
). 그 분획물 들을 이용하여 tyrosinase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Table IV
-
VIII
).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organic solvents fractions of Linderae Radix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organic solvents fractions of Linderae Radix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organic solvents fractions of Clematidis Radix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organic solvents fractions of Clematidis Radix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organic solvents fractions of Cinnamomi Cortex Spissus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organic solvents fractions of Cinnamomi Cortex Spissus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organic solvents fractions of Fritillariae Thunbergii Bulbus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organic solvents fractions of Fritillariae Thunbergii Bulbus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organic solvents fractions of Bulbus Fritillariae Cirrhosae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organic solvents fractions of Bulbus Fritillariae Cirrhosae
그 결과 100 μg/ml 농도에서 50% 이상의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낸 육계(P-36)는 물추출물에서 90.28%의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냈으며, EtOAc 분획물에서 51.43%의 활성을 보여 다른 분획층에 비해 유의적인 활성을 나타내 지용성 분획층에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100 μg/ml 농도에서 30% 이상 50% 이하의 tyrosinase 저해 효과를 나타낸 한약은 위령선(P-35)은 물추출물에서 84.47%, MC 분획물에서 36.60%를, 육계(P-36)는 물추출물에서 90.28%의 강한 저해활성을, MC 분획물에서는 43.21%를 나타냈다. 절패모(P-40)는 물추출물에서 98.21%로 식물성 한약재 중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냈는데, EtOAc 분획물에서 31.40%, H
2
0 분획물에서 31.51%로 물추출물에 비해 분획물에서 약한 활성을 보인 것은 절패모에 함유된 성분 상호간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천패모(P-45)는 물추출물에서 78.47%, BuOH 분획물에서 37.71%의 tyrosinase 저해효과를 보였다.
결 론
본 논문은 현대인들의 관심이 높은 미백 효과와 관련된 tyrosinase 저해 효과를 50종의 식물성 한약재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50종의 식물성 한약은 물 추출물과 5종의 활성이 강한 한약의 유기용매 분획물을 대상으로 하여 tyrosinase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식물성 한약 50종을 물 추출한 후 각각의 추출물에 대하여 tyrosinase 저해 효과를 검색하였다. IC50 40 μg/ml 이하 억제활성을 보이는 식물성 한약은 오약, 위령선, 육계, 절패모, 천패모 등 5종이었다.
2. Tyrosinase 저해 효과가 우수한 식물성 한약 5종에 대하여 MeOH 추출물을 대상으로 유기용매 분획을 진행하였고, 그 분획물을 실험재료로 하여 각각의 tyrosinase 저해 효과를 검색하였다. 그 결과 100 μg/ml 농도에서 50% 이상의 tyrosinase 저해 효과를 나타낸 한약은 육계의 EtOAc 분획물이었다. 또한 100 μg/ml 농도에서 30% 이상 50% 이하의 tyrosinase 저해 효과를 나타낸 한약은 위령선의 MC 분획물, 육계의 MC 분획물, 절패모의 EtOAc 분획물과 H
2
O 분획물, 천패모의 BuOH 분획물 등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tyrosinase 저해 활성이 우수한 식물성 한약을 밝혔으며, 계속적 연구로써 활성 성분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새로운 천연 미백제를 개발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Chen J.
,
Wei S. C.
,
Marshall M. R.
(1991)
Inhibition mechanism of kojic acid on polyphenol oxidase.
J. Agric. Food Chem.
39
1897 -
1901
DOI : 10.1021/jf00011a001
Cabanes J. S.
,
Chazarra S.
,
Garcia-Carmona F.
(1994)
Kojic acid, a cosmetic skin whitening agent, is a slow binding inhibitor of catecholase activity of tyrosinase.
J. Pharm. Pharmacol.
46
982 -
985
DOI : 10.1111/j.2042-7158.1994.tb03253.x
Fujiware Y.
,
Sahashi Y.
,
Artro M.
,
Hasegawa S.
,
Akimoto K.
,
Ninomiya S.
,
Sakaguchi Y.
,
Seyama Y.
(2004)
Effect of simultaneous administration of vitamin C, L-cysteine and vitamin E on the melanogenesis.
Biofactors
21
415 -
419
DOI : 10.1002/biof.552210182
Woo H. S.
,
Choi H. J.
,
Han H. S.
,
Park J. H.
,
Son J. H.
,
An B. J.
,
Son G. M.
,
Choi C.
(2009)
Isolation of Polyphenol from Green Tea by HPLC and Its Physiological Activi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199 -
1203
No J. K.
,
Soung D. Y.
,
Kim Y. J.
,
Shim K. H.
,
Jun Y. S.
,
Rhee S. H.
,
Yokozawa T.
,
Chung H. Y.
(1999)
Inhibition of tyrosinase by green tea components.
J. Life Sci.
65
241 -
246
DOI : 10.1016/S0024-3205(99)00492-0
Park S. K.
,
Park S, J.
,
Jin T. Y.
,
Kim K. R.
,
Jang M. Y.
(2009)
Cosmetology
daekyung
Daejeon
121 -
122
Ishihara Y.
,
Oka M.
,
Tsunakawa M.
,
Tomita K.
,
Hatori M.
,
Yamamoto H.
,
Kamei H.
,
Miyaki T.
,
Konishi M.
,
Oki T.
(1991)
Melanostatin, a new melanin synthesis inhibitor. Production, isolation, chemical properties, structure and biological activity.
J. Antibiotics
44
25 -
27
DOI : 10.7164/antibiotics.44.25
Kim J. J.
,
Lee J. S.
,
Kim S. Y.
,
Kim J. A.
,
Chung S. R.
,
Jang T. S.
,
Lee S. H.
(2001)
Inhibitory effect of hydrolysable tannins isolated from theEuphorbia helioscopiaon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Yakhak Hoeji
45
214 -
219
Jung S. W.
,
Lee N. K.
,
Kwun M. J.
,
Han D. S.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27
891 -
896
Ha T. K.
,
Lee B. K.
,
Yoon J. R.
,
Mun Y. J.
,
Woo W. H.
,
Park S. H.
,
Lee J. C.
(2011)
Inhibitory effect ofFritillaria verticillataWilld. var.thunbergiiBak ethanol extract on melanin biosynthesis.
Kor. J. Orient. Physiol. & Pathol.
25
510 -
515
Kang B. S.
,
Go W. C.
,
Kim S. H.
,
No S. H.
,
Seo Y. B.
,
Song C. J.
,
Shin M. K.
,
An D. K.
,
Lee S. I.
,
Lee J.
,
Lee T. H.
,
Ju Y. S.
(1994)
Herbology
Younglimsa
Seoul
121 -
638
Cho S. M.
,
Kim J. H.
,
Lee M. W.
(2001)
Inhibitory effects of tannins on tyrosinase activity.
Kor. J. Pharmacogn.
32
68 -
71
Han D. S.
,
Kwon Y. S.
,
Kim D. G.
,
Kim Y. J.
,
Kim Y. H.
,
Kim Y. C.
,
Kim J. W.
,
Kim J. W.
,
Kim C. M.
,
No J. S.
,
Mun Y. H.
,
Min B. S.
,
Park J. H.
,
Bea G. H.
,
Seo U. K.
,
Sung S. H.
,
Sung C. K.
,
Shin S. W.
,
Yang K. S.
,
Wo U. R.
,
Lee K. N.
,
Lee M. W.
,
Lee S. G.
,
Lee S. Y.
,
Lee S. H.
,
Lee I. S.
,
Lee J. K.
,
Lim D. S.
,
Jung S. R.
,
Jung J. H.
,
JI O. P.
,
Choi H. K.
,
Han Y. M.
,
Hwang B. Y.
,
Hwang W. K.
(2008)
Pharmacognosy
Dong myeong publishers
Paju
173 -
692
Lee S. I.
,
An D. K.
,
Shin M. K.
,
No S. H.
,
Lee Y. J.
,
Kim S. H.
(1993)
Oriental Pharmacology clinical application
Korea Bio Medical Science Institute
Seoul
55 -
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