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dose reductase (AR) is the key enzyme of the polyol pathway in the development of the diabetic complications. Sixty seven Chinese herbal medicines have been investigated for inhibitory activities on AR. Among them, 7 herbal medicines,
Buddleja crispa
(twigs and leaves),
Taiwania flousiana
(twigs and leaves),
Sloanea hemsleyana
(fruits),
Euphorbia nemetocypha
(whole plants),
Photinia glomerata
(twigs and leaves),
Vitex yunnanensis
(twigs and leaves) exhibited a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AR. Particularly,
S. hemsleyana
and
V. yunnanensis
showed 1.2-4.5 times more potent inhibitory activity than the positive control, 3,3-tetramethyleneglutaric acid (TMG).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본 실험에 사용된 중국산 약용식물들(
Table I
)은 가천대학교 김주환 교수팀에 의해 중국에서 채집되었으며, 동정을 거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증거표본은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연구본부 한의신약연구그룹 표본실에 보관중이다.
Inhibitory effect of extracts from Chinese herbal medicines on the activities of aldose reductase
Inhibitory effect of extracts from Chinese herbal medicines on the activities of aldose reductase
Continued
Continued
IC50 values were calculated from the dose inhibition curve.
추출 및 시료조제
−분쇄한 시료 200 g에 2 L의 에탄올을 넣고 실온상태에서 3일간 3회 추출하였다. 이를 여과하여 40℃의 수욕 상에서 감압농축을 실시한 후, 동결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추출물은 실험 수행 전에 감압 하에서 P
2
O
5
를 이용하여 24시간 이상 재건조한 후 dimethyl sulfoxide(Sigma, St. Louis, MO, USA)에 용해시켜 stock solution을 조제하였으며 최종 dimethyl sulfoxide의 농도가 0.2%가 되도록 15 % TWEEN 80(Sigma, St. Louis, MO, USA)용액으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추출에 이용한 에탄올 및 그 외 시약은 1급 및 특급시약을 사용하였다.
In vitro에서 알도즈 환원 효소 억제 실험
− Sprague-Dawley rat(250-280 g)의 수정체로부터 aldose reductase를 Dufrane
18)
방법으로 분리하였다. 150 mM sodium phosphate buffer(pH 6.2)와 10 mM 2-mercaptoethanol을 적출한 수정체와 함께 분쇄하여 14,000 rpm에서 30분 간 원심 분리한 다음 상층액을 0.22 μm의 filter로 여과하였다. 효소의 단백질은 bovine serum albumin을 표준으로 이용하여 Bradford
19)
방법으로 정량하였다. 150 mM sodium phoshate buffer(pH 6.2), 0.15 mM NADPH, 10 mM DL-glyceraldehyde와 700 μg/ml 효소 혼합액에 0.5% dimethyl sulfoxide에 녹인 시료를 가하여 최종용액을 1 ml로 한 뒤 37℃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이때 공시료는 10mM DL-glyceraldehyde를 첨가하지 않았으며, 표준액은 시료 대신 0.5% dimethyl sulfoxide가 들어가도록 하였다. 0.15 ml의 0.5 N HC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뒤, 10 mM imidazole이 첨가된 6 M NaOH 0.5 ml을 가하여 60℃에서 15분간 반응시켜 NADPH가 NADP로 전환되는 것을 spectrofluorometric detector로 (Ex. 360 nm, Em. 460 nm) 측정하였다. 모든 시료는 triplicate로 수행하여 IC50값으로 나타냈다. Aldose reductase inhibitor로 알려진 3,3-tetramethyleneglutaric acid (TMG)
20)
를 양성대조군으로 택하여 효능을 비교하였다.
결과 및 고찰
알도즈 환원 효소는 당뇨합병증의 발병원인 중 하나인 폴리올 대사 경로의 첫 번째 효소로 포도당이 솔비톨로 전환되는 과정에 관여한다. 솔비톨은 일반적으로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고 세포막에 축적되어 세포내 삼투압 및 대사과정의 변이와 세포막의 안정성을 감소시켜 당뇨합병증을 야기한다.
1)
본 연구에서는 알도즈 환원 효소를 저해하여 당뇨합병증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천연물로부터 알도즈 환원효소 억제 약물을 검색하기 위해 중국산 67종의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해 효능을 검색하여
Table I
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Table I
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양성대조군인 TMG의 IC
50
값(1.23±0.01 μg/ml)을 기준으로 알도즈 환원 효소 억제 효능을 판단하였다. 이 중
Buddleja crispa
의 가지와 잎(1.57±0.00 μg/ml),
Taiwania flousiana
의 가지와 잎(1.85±0.01 μg/ml),
Sloanea hemsleyana
의 열매(0.27±0.02 μg/ml),
Euphorbia nemetocypha
의 전초(1.77±0.16 μg/ml).
Photinia glomerata
의 잎(1.83±0.04 μg/ml)과 가지(2.08±0.06 μg/ml),
Vitex yunnanensis
의 가지와 잎(1.02±0.04 μg/ml) 7종이 IC
50
<5 μg/ml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S. hemsleyana
의 열매와
V. yunnanensis
의 가지, 잎은 1.2-4.5배 이상의 우수한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부블레이아과의
B. crispa
에서 분리한 물질들은 활성산소의 일종인 hydroperoxide의 생성을 촉진하는 lipoxygenas를 억제하고, DPPH radical을 소거하는 항산화 활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21)
알츠하이머 환자에서 감소되어 있는 신경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효소와 중추신경계 효소 중 하나인 butyrylcholinesterse의 활성을 억제시켜 알츠하이머의 진행 지연 가능성을 나타냈다.
22)
또한 혈압강하와 진정작용을 하여 항고혈압, 항경련 효과가 있다고 보고 되었으며.
23)
잎과 가지에서 당뇨합병증의 또 다른 원인 중 하나인 최종당화산물 억제효능이 우수하여 당뇨합병증 예방에 중요한 소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24)
측백나무과의
T. flousiana
뿌리의 성분 분석 결과, sesquiterpene glycoside, triterpenoids, duterpene, phenol류의 성분들이 확인 되었다.
25)
담팔수과의
S. hemsleyana
polyethylene glycol(PEG)가 처리한
S. hemsleyana
의 씨앗은 항산화와 관련된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CAT)의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26)
대극과의
E. nemetocypha
와 장미과의
P. glomerata
, 마편초과의
V. yunnanensis
는 효능 및 성분에 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없으며, 위 7종 모두 알도즈 환워 효소 억제 효능에 관해 보고된 바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안전하고 우수한 알도즈 환원 효소 억제제 후보 물질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제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결 론
67종의 중국산 약용식물 에탄올 추출물을 in vitro에서 알도즈 환원 효소 억제활성 검색하였다. 그 결과
B. crispa
의 가지와 잎,
T. flousiana
의 가지와 잎,
S. hemsleyana
의 열매,
E. nemetocypha
의 전초,
P. glomerata
의 잎과 가지,
V. yunnanensis
의 7종이 IC
50
<5 μg/ml으로 뛰어난 효능을 보였으며, 그 중 그 중
S. hemsleyana
의 열매와
V. yunnanensis
의 가지, 잎은 양성대조군인 TMG보다 1.2-4.5배 이상의 우수한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국한의학연구원 기관고유사업 (K13040, K14040)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Vinson J. A.
,
Howard III T. B.
(1996)
Inhibition of protein glycation and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by ascorbic acid and other vitamins and nutrients.
J. Nutr. Biochem.
7
659 -
663
DOI : 10.1016/S0955-2863(96)00128-3
Collins J. B.
,
Corder C. N.
(1977)
Aldose reductase and sorbitol dehydrogenase distribution in substrctures of normal and diabetic rats lens. Invest.
Ophthamol. Visual Sci.
16
242 -
243
Handelsman D. J.
,
Turtle J. R.
(1981)
Clinical trial of an aldose reductase inhibitor in diabetic neuropathy.
Diabetes
30
459 -
464
DOI : 10.2337/diab.30.6.459
Jesús Ángel de la F.
,
Sonia M.
(2003)
Aldose reductase inhibitors from natural sources.
Nat. Prod. Rep.
20
243 -
251
DOI : 10.1039/b204709h
Kawanishi K.
,
Ueda H.
,
Moriyasu M.
(2003)
Aldose reductase inhibitors from the nature.
Current Med. Chem.
10
1353 -
1374
DOI : 10.2174/0929867033457304
Sun W.
,
Oates P. J.
,
Coutcher J. B.
,
Gerhardinger C.
,
Lorenzi M.
(2006)
A selective aldose reductase inhibitor of a new structural class prevents or reverses early retinal abnormalities in experimental diabetic retinopathy.
Diabetes
55
2757 -
2762
DOI : 10.2337/db06-0138
Hotta N.
,
Akanuma Y.
,
Kawamori R.
,
Matsuoka K.
,
Oka Y.
,
Shichiri M.
,
Toyota T.
,
Nakashima M.
,
Yoshimura I.
,
Sakamoto N.
,
Shigeta Y.
(2006)
Long-term clinical effects of epalrestat, an aldose reductase inhibitor, on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Diabetes Care
29
1538 -
1544
DOI : 10.2337/dc05-2370
Constantino L.
,
Rastelli G.
,
Vianello P.
,
Cignarella G.
,
Barlocco D.
(1999)
Diabetes complications and their potential prevention: aldose reductase inhibition and other approaches.
Medical Research Reviews
19
3 -
23
Lee Y. M.
,
Kim N. H.
,
Kim J. M.
,
Kim Y. S.
,
Jang D. S.
,
Kim J. H.
,
Bae K. H.
,
Kim J. S.
(2008)
Screening of inhibitory effect on aldose reductase of Korean herbal medicines and preventive effect ofCatalpa bignonioidesagainst xylose-induced lens opacity (I).
Kor. J. Pharmacogn.
39
165 -
173
Lee Y. M.
,
Kim J. M.
,
Kim Y. S.
,
Jang D. S.
,
Kim J. H.
,
Bae K. H.
,
Kim J. S.
(2008)
Screening of inhibitory effect on aldose reductase of Vietnam herbal medicines (II).
Kor. J. Pharmacogn.
39
324 -
329
Lee Y. M.
,
Kim J. M.
,
Kim Y. S.
,
Jang D. S.
,
Kim J. H.
,
Bae K. H.
,
Kim J. S.
(2009)
Screening of Chinese herbal medicines with inhibitory effect on aldose reductase (III).
Kor. J. Pharmacogn.
40
394 -
399
Lee Y. M.
,
Kim Y. S.
,
Bae K. H.
,
Kim J. H.
,
Kim J. S.
(2010)
Screening of Chinese herbal medicines with inhibitory effect on aldose reductase (IV).
Kor. J. Pharmacogn.
41
289 -
296
Lee Y. M.
,
Kim Y. S.
,
Kim J. H.
,
Kim J. S.
(2011)
Screening of Chinese herbal medicines with inhibitory effect on aldose reductase. (V).
Kor. J. Pharmacogn.
42
187 -
194
Lee Y. M.
,
Kim Y. S.
,
Kim J. H.
,
Kim J. S.
(2011)
Screening of Korean herbal medicines with inhibitory effect on aldose reductase. (VI).
Kor. J. Pharmacogn.
42
161 -
168
Lee Y. M.
,
Kim Y. S.
,
Kim J. H.
,
Kim J. S.
(2013)
Screening of Chinese herbal medicines with inhibitory effect on aldose reductase (VII).
Kor. J. Pharmacogn.
44
161 -
167
Lee Y. M.
,
Kim Y. S.
,
Kim J. H.
,
Kim J. S.
(2013)
Screening of Korean herbal medicines with inhibitory effect on aldose reductase (VIII).
Kor. J. Pharmacogn.
44
168 -
175
Dufrane S. P.
,
Malaisse W. J.
,
Sener A.
(1984)
A micromethod for the assay of aldose reductase, its application to pancreatic islets.
Biochem. Med.
32
99 -
105
DOI : 10.1016/0006-2944(84)90012-7
Bradford 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 -
254
DOI : 10.1016/0003-2697(76)90527-3
Kinoshita J. H.
,
Dvornik D.
,
Kraml M.
,
Gabbay K. H.
(1968)
The effect of an aldose reductase inhibitor on the galactose-exposed rabbit lens.
Biochim. Biophys. Acta
24
472 -
475
DOI : 10.1016/0304-4165(68)90305-X
Ahmad I.
,
Chen S.
,
Peng Y.
,
Chen S.
,
Xu L.
(2008)
Lipoxigenase inhibiting and antioxidant iridoids fromBuddleja crispa.
J. Enz. Inhib & Med. Chem.
23
140 -
143
DOI : 10.1080/14756360701342532
Ahmad I.
,
Malik A.
,
Afza N.
,
Anis I.
,
Fatima I.
,
Nawaz S. A.
,
Tareen R. B.
,
Choudhary M. I.
(2005)
Enzyme inhibitory constituents fromBuddleja crispa.
Z. naturforsch.
60b
341 -
346
Gilani A. H.
,
Bukhari I. A.
,
Khan R. A.
,
Shar A. J.
,
Ahmad I.
,
Malik A.
(2009)
Presence of blood-pressure lowering and spasmolytic constituents inBuddleja crispa.
Phytother. Res.
23
492 -
497
DOI : 10.1002/ptr.2659
Choi S. J.
,
Kim Y. S.
,
Song Y. J.
,
Lee Y. M.
,
Kim J. H.
,
Kim J. S.
(2012)
Screening of Korean herbal medicines with inhibitory activity on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formation (VIII).
Kor. J. Pharmacogn.
43
338 -
344
Xiang Y.
,
Yang S. P.
,
Zhen Z. J.
,
Yue J. M.
(2004)
Terpenoids and phenol fromTaiwania flousiana.
Acta Botanica Sinica
46
1002 -
1008
Lu J.
,
Li Z. H.
,
Zhang B.
,
Li C. Z.
(2008)
Effects of PEG on some seed physiological characters ofSloanea Hemsleyana.
Northern Horticulture
5
25 -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