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L-4 is a new herbal formulation developed for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In this study, we took HPL-4 to develop a method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nine marker compounds (protocatechuic acid, chlorogenic acid, liriodendrin, nodakenin,
β
-D-(3-
O
-sinapoyl)frucofuranosyl-
α
-D-(6-
O
-sinapoyl)glucopyranoside, quercitrin, 6-gingerol,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present in the formulation. The analytes were separated by UPLC system consisting of diode array detector at 205 nm and RP-amide column, and solvent system of ACN/0.1%H
3
PO
4
. Analytical method was validated to evaluate its linearity, limit of detection (LO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precision, and accuracy. All standards showed good linearity (R
2
>0.99) in the rage of 0.25-400.0 μg/mL. The LOD and LOQ were within the range of 0.021-0.148 and 0.070-0.448 μg/mL, respectively.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was less than RSD 4.0% and the accuracy was range from 92.00-104.81% with RSD<4.2%.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ed UPLC method is precise, accurate and effective, and could be applied for quality control of HPL-4 formulation.
재료 및 방법
시약 및 표준품
− Methanol, acetonitrile, water는 Burdik & Jackson(Muskegon, Ml, USA)사의 HPLC grade를 사용하였다. 표준품으로 사용된 chlorogenic acid, quercitrin, protocatechuic acid(Sigma-Aldrich, St. Louis, MO, USA), nodakenin, decrusin, decrusinol angelate(Korea Promotion Institute for Traditional Medicine Industry, Gyeongsan, Korea), 6-gingerol(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Osaka, Japan)은 시약회사로부터 구입하였고, 해동피로부터 분리된 liriodendrin은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김영호 교수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β
-D-(3-
O
-sinapoyl)fructofuranosyl-
α
-D-(6-
O
-sinapoyl) glucopyranoside는 Ko 등
7)
의 방법에 따라 분리한 후 구조를 동정하여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지표성분으로 사용한 각 화합물의 구조는
Fig. 1
과 같다. 분석에 사용된 기기는 Agilent(Santa clara, CA, USA)사의 UPLC-DAD 1290 infinity모델을, 컬럼은 Advanced materials technology(Wilmington, DE, USA)사의 Halo
TM
RP-amide(2.7 μm, 4.6 ×150 mm)를 사용하였다.
Chemical structures (1-9) of marker compounds.
HPL-4의 조제
− 원광허브(Jinan, Korea)로부터 구입한 해동피(Kalopanacis Cortex), 목과(Chaenomelis Fructus),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생강(Zingiberis Rhizoma Crudus), 내복자(Raphani Semen), 삼백초(Saururi Herba)에 각각 10배수의 정제수를 넣고 95~100℃ 3시간 동안 환류추출을 2회 실시 후, 추출액을 25 μm 필터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각각의 건조엑스를 얻은 후에 2(해동피) : 7(목과) : 7(당귀) : 1(생강) : 1(내복자) : 2(삼백초)의 비율로 혼합하였으며, HPL-4 분석시료는 한풍제약으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검액과 표준액의 제조
− 10 mL 용량플라스크에 HPL-4 제제와 표준품을 넣은 후에 50% MeOH을 사용하여 각각 20 mg/mL, 1 mg/mL의 농도가 되도록 만들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60분간 추출한 후, 0.45 μm membrane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표준용액은 5가지 농도범위로 희석하여 냉장고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분석조건
− UPLC에 RP-amide 컬럼을 장착하여 flow rate 1.3 mL/min, column temperature 45℃, injection volume 4 μL 및 UV wavelength 205 nm로 설정하였으며, 이동상은 아래와 같다.
(A) ACN, (B) 0.1%H3PO4
− (A) 2-4%, 0-3 min; (A) 4-14%, 3-19 min; (A) 14-21%, 19-37 min; (A) 21-44%, 37-44 min; (A) 44-50 %, 44-50 min; (A) 50-56 %, 50-55 min.
분석법 밸리데이션
− UPLC-DAD를 통한 분석법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생약/한약제제의 성분 프로파일 설정 가이드라인’
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ICH) 가이드라인
9
,
10)
을 참고하여 정량시험법의 밸리데이션 파라미터인 직선성(linearity), 특이성(specificity),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 LOD), 정량한계(limit of quantification, LOQ), 정밀성(precision) 및 정확성(accuracy)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직선성
−지표성분으로 설정한 protocatechuic acid(
1
), chlorogenic acid(
2
), liriodendrin(
3
), nodakenin(
4
),
β
-D-(3-
O
-sinapoyl)fructofuranosyl-
α
-D-(6-
O
-sinapoyl)glucopyranoside(
5
), quercitrin(
6
), 6-gingerol(
7
), decrusin(
8
) 및 decrusinol angelate(
9
) 9가지 화합물을 각각 0.631-5.0, 3.25-60.0, 10.0-400.0, 2.5-40.0, 1.25-20.0, 0.25-10.0, 3.25-60.0 및 5.0-80.0 μg/mL의 농도범위로 희석하였고, 3회 반복 실험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검량선으로부터 상관계수(R
2
)를 구하여 직선성을 검토하였다.
특이성
−분석대상물질을 불순물로부터 정확하게 분리해 낼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HPL-4제제 중 지표성분(
1-9
)으로 설정한 피크의 UV spectrum을 DAD로 추출하고, 표준품의 UV spectrum과 비교하여 특이성을 평가하였다.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반응의 표준편차와 검량선의 기울기에 근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
검출한계 = 3.3×σ/S
-
정량한계 = 10×σ/S
-
σ: 회귀직선에서 y절편의 표준편차, S: 검량선의 기울기
정밀성
− 9가지 지표성분(
1-9
)에 대하여 직선성 범위 내에 있는 각 3가지 농도에서 하루 3회씩 반복 실험하여 일내(intra-day) 정밀성을 구하였고, 3일간 반복 측정하여 일간(inter-day) 정밀성을 평가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산출된 값들은 상대표준편차(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로 나타내었다.
정확성
−정확성은 분석시료(HPL-4)에 직선성 범위 내에 있는 지표성분(
1-9
)의 3가지 기지량(이미 알고 있는 양)을 각각 첨가하고 이것을 검체로 하였다. 각 시험은 구간마다 3회 반복하여 실험하였고, 측정된 양은 표준용액의 양과 비교하여 회수율(recovery)로 나타내었다.
결과 및 고찰
분석조건의 최적화
− 생약복합제제 HPL-4를 구성하는 6종의 생약 중 목과로부터 protocatechuic acid(
1
), 해동피로부터 chlorogenic acid(
2
), liriodendrin(
3
), 당귀로부터 nodakenin (
4
), decrusin(
8
), decrusinol angelate(
9
), 내복자로부터
β
-D-(3-
O
-sinapoyl)fructofuranosyl-
α
-D-(6-
O
-sinapoyl)glucopyranoside(
5
), 삼백초로부터 quercitrin(
6
) 및 생강으로부터 6-gingerol(
7
)을 각각 지표성분으로 설정하였다(
Fig. 1
). 9가지 지표성분들과 인접한 피크의 분리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Waters사의 C
18
(1.8 μm, 2.1×50 mm), Agilent사의 C
18
(1.8 μm, 2.1×50 mm), Advanced materials technology사의 C
18
(2.7 μm, 4.6×100 mm) 및 Halo RP-amide(2.7 μm, 4.6×150 mm) 컬럼을 사용하였고, 컬럼 오븐의 온도변화 30-45℃ 그리고 이동상으로써 MeOH, ACN 및 pH 변화를 준 buffer 를 사용하여 HPL-4 분석에 이상적인 분리조건을 탐색하고 자 하였다(data 미제시). 그 결과 Halo RP-amide(2.7 μm, 4.6×150 mm)컬럼, 컬럼 오븐 온도 45℃, 검출파장 205 nm 및 ACN과 0.1%H
3
PO
4
/H
2
O 혼합용매의 기울기 조건에서 지표성분들의 분리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피크의 순도테스트는 HPL-4제제 내에서 검출된 지표성분의 피크와 표준용액 혼합물의 피크 UV spectrum을 비교하여 흡수파장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모든 지표성분에서 각각의 표준물질과 동일한 spectrum으로 나타났다. 지표성분
1-9
의 retention time은 5.506, 12.291, 18.717, 20.872, 30.403, 32.985, 44.552, 49.005 및 49.229분으로 나타났다(
Fig. 2
). 또한 최적화된 분석방법으로 HPL-4제제를 구성하는 해동피, 목과, 당귀, 생강, 내복자, 삼백초 등의 6종 생약 추출물을 UPLC에 주입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지표성분으로 설정한 피크는 양호한 분리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 3
).
UPLC chromatograms of standard mixure (A), HPL-4 extract (B), and UV spectra of marker compounds (C). protocatechuic acid (1), chlorogenic acid (2), liriodendrin (3), nodakenin (4), β-D-(3-O-sinapoyl)-fructofuranosyl-α-D-(6-O-sinapoyl)glucopyranoside (5), quercitrin (6), 6-gingerol (7), decrusin (8), and decrusinol angelate (9).
UPLC chromatograms of individual plant extract of HPL-4. Kalopanacis Cortex (A), Chaenomelis Fructus (B), Angelicae Gigantis Radix (C), Zingiberis Rhizoma Crudus (D), Raphani Semen (E) and Saururi Herba (F).
직선성, 검출한계(LOD) 및 정량한계(LOQ)
−지표성분인
1-9
를 0.25-400.0 μg/mL의 농도범위에서 5가지 농도로 희석하여 UPLC 분석조건으로 측정한 결과, 검량선의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R
2
)는 9가지 지표성분 모두에서 0.998 이상의 우수한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0.021-0.148 μg/mL, 0.070-0.048 μg/mL의 범위를 나타내어 미량의 성분을 검출 또는 정량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Table I
).
Analyzed data of linearity regression,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for nine marker compounds in HPL-4
(a)Y: Peak area, x: sample concentration (μg/mL) (b)R2: correlation coefficient
정밀성
−분석시료에 대한 분석 환경 및 시간 변동에 따른 함량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지표성분(
1-9
)의 직선성 농도범위에 포함된 3가지 농도(0.63-200.0 μg/mL)를 기준으로 하여 일내 및 일간 정밀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정밀성의 평가는 분석하여 측정된 농도 및 함량값의 상대표준편차로 표시하고, 그 한계는 ±15% 이내로 하였다.
11)
정밀성 시험 결과 일내 정밀성의 RSD는 최소 0.03%에서 최고 2.41%를 나타내었고, 일간 정밀성은 최소 0.01%에서 최고 3.93%의 RSD를 보였으며, 측정된 모든 값은 5% 이내로 개발된 분석조건은 적합한 정밀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able II
).
Precision data of each analyte in different concentration
Conc.: concentration, SD: standard deviation, RS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회수율
− 분석시료의 이미 알고 있는 참값에 근접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검체(HPL-4)에 9가지 지표성분(
1-9
)을 각각 3가지농도로 첨가한 뒤 회수율 시험을 통하여 분석법의 정확성을 측정하였다. 회수율의 판정범위는 Kim 등
12)
의 기준에 따라 최소 85%에서 최고 115%, RSD 10% 이하로 정하였고, 회수율 시험 측정 결과 decrusin(
8
)과 liriodendrin(
3
)에서 각각 최소값(100.75%)과 최대값(104.81%)을 보였으며, RSD는 decrusin(
8
)과 protocatechuic acid(
1
)에서 각각 최소값(0.37%)과 최대값(4.17%)으로 나타났다. 측정된 모든 회수율 수치(%)는 판정범위기준 내의 값으로 확인되어 개발된 분석조건은 우수한 정확성을 나타냈다(
Table III
).
Analysis result of accuracy test
(a)Recovery (%)= [(amount found–original amount)/amount spiked] × 100
HPL-4제제 중 지표성분(1-9)의 함량분석
−천연물 소재로부터 개발된 의약품은 단일성분보다는 다양한 화합물의 상호작용으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데, 모든 성분들에 대한 구조 및 생리 활성을 규명하는 것은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구성성분 중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화합물이 밝혀져 약리활성과의 상관관계가 성립되는 경우도 있지만 모든 생약제제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생약복합제제는 두가지 이상의 생약추출물을 합친 것으로 특정성분 하나만으로 약효를 설명할 수 없기에 생약복합제제를 구성하는 구성생약별로 지표성분을 설정하고, 검출되는 모든 성분에 대한 성분프로파일링을 통하여 화합물의 조성과 비율을 관리하는 것이 일정한 약효 및 품질관리를 위해 중요하다.
8)
HPL-4 제제의 일관된 품질생산 및 일정한 약효를 기대하기 위하여 UPLC-DAD를 사용한 분석법의 확립 및 검증을 실시하였고, HPL-4 제제 중 9가지 지표성분(
1-9
)의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낸 검량식에 의거하여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HPL-4 제제 내 지표성분으로 설정한 9가지 화합물
1-9
의 함량은 각각 0.16, 1.16, 1.66, 12.98, 0.57, 0.28, 0.02, 1.28, 1.14 mg/g으로 측정되었으며, 지표성분
4
, nodakenin의 함량은 12.98 mg/g으로 가장 높았다(
Table IV
). 의약품 개발 가능성을 지닌 HPL-4 제제의 각 지표성분의 함량비를 적용하여 lot간 생산된 제품의 품질 동등성평가를 실시한다면 품질일관성을 평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HPL-4의 다성분 동시분석법은 천연물을 사용하여 개발되는 건강기능성식품 및 천연물의약품 등의 일관된 품질 생산을 위한 품질 평가법으로써 우수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판단하였다.
Content of nine marker compounds in HPL-4
Content of nine marker compounds in HPL-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항골관절염 활성을 가지는 새로운 생약복합제제 HPL-4의 9가지 지표성분인 protocatechuic acid, chlorogenic acid, liriodendrin, nodakenin, decrusin, decrusinol angelate,
β
-D-(3-
O
-sinapoyl)fructofuranosyl-
α
-D-(6-
O
-sinapoyl) glucopyranoside, quercitrin, 6-gingerol의 다성분 동시분석법의 개발과 분석법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법은 UPLC-DAD를 사용하여 RP-amide 컬럼과 ACN 및 0.1%H
3
PO
4
의 혼합용매를 gradient elution 조건으로 최적화 하였고, 분석법의 검증은 직선성(linearity), 검출한계(LOD), 정량한계(LOQ), 정밀성(precision), 회수율(recovery) 시험을 통하여 입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개발된 다성분동시분석법은 HPL-4 제제의 효율적인 품질관리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호남광역경제권 선도산업지원단의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사업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입니다.
U. 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8)
Veregen (Kunecatechins) ointment, 15%.
http://www.fda.gov/cder/foi/label/2006/021902lbl.pdf.
권 순원
(2012)
천연물신약 연구개발 동향 : 개발연구 중심으로.
생명공학연구정책연구센터
대전
44 -
고 경화
(2010)
2010 보건산업백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청원
584 -
585
Moon Y. H.
,
Go J. J.
,
Park J. Y.
(1999)
The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ctivities of Gumiganghwaltang.
Kor. J. Pharmacogn.
30
18 -
24
Kim S. J.
,
Jeong H. J.
,
Moon P. D.
,
Lee K. M.
,
Lee H. B.
,
Jung H. J.
,
Jung S. K.
,
Rhee H. K.
,
Yang D. C.
,
Hong S. H.
,
Kim H. M.
(2005)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gumiganghwaltang through the inhibition of nuclear factorkappa B activation in peritoneal macrophages.
Biol. Pharm. Bull.
28
233 -
237
DOI : 10.1248/bpb.28.233
유한회사 한풍제약
(2013)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거나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 및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특허등록번호 10-1319866
1 -
25
Ko B. S.
,
Kang E. J.
,
Kim H. K.
(2000)
Isolation of sinapic acid esters from Raphani semen.
Kor. J. Pharmacogn.
31
434 -
437
식품의약품안전처
(2010)
생약/한약제제의 성분 프로파일 설정 가이드라인.
식품의약품안전처
청원
9 -
23
International conference of harmonization
(1995)
Q2A: Text on validation of analytical procedures.
US FDA Federal Register
60
11260 -
11266
International conference of harmonization
(1997)
Q2B: Validationof analytical procedures−methodology.
US FDA federal register
62
27463 -
27467
Lee G. W.
,
Kim A R.
,
Cho J. S.
(2008)
HPLC analysis of organic acids, phenol, and benzopyrene inWood Winger.
Yakhak Hoeji
52
12 -
19
Kim Y.
,
Han S. H.
,
Jeon J. Y.
,
Hwang M. H.
,
Im Y. J.
,
Lee S. Y.
,
Chae S. W.
,
Kim M. G.
(2013)
Validation of LC-MS/MS method for determination of ginsenoside Rg1 in human plasma.
Analytical Science Technology
26
221 -
227
DOI : 10.5806/AST.2013.26.4.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