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find out how Mountain Ginseng Pharmacopuncture(MGP) and Sweet Bee Venom(SBV) treatments are effective on prostate cancer patients by monitoring Prostate specific antigen(PSA) values.
Methods:
We treated two prostate cancer patients with MGP and SBV from October 2008 to April 2011. One patient had localized prostate cancer, the other was in the terminal stage of prostate cancer with lung and bone metastasis and both had been receiving western anticancer therapy. We had monitored the changes of PSA value.
Results:
In case 1, MGP and SBV treatments seemed to be helpful in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localized prostate cancer. In case 2, PSA value was decreased by MGP treatment.
Conclusions:
It is conceivable that MGP and SBV are effective treatments for patients with prostate cancer.
I. 서론
전립선암은 서양에서 많이 발생하는 암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국민들의 생활양식이 서구화되면서 국내에도 전립선암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위, 간, 폐암에 비해서는 낮은 비율이며 2008년의 경우 암발 생률 7위
1)
로 한양방을 통틀어 아직 전립선암에 대한 연구 논문이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에 발표된 논문 중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증례로 폐암, 위암, 유방암 등에 관한 수 례의 보고가 있었으나 전립선암 환자의 한방 치료에 대한 국내 논문은 봉독을 이용한 전립선 암세포주의 실험에 대한 발표들
2
-
4)
외에 임상논문은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이에 본원 침구과에 내원한 전립선암 환자들에게 산삼약침, 봉약침 치료 등 한방치료를 시행한 치료경과를 Prostate specific antigen(이하 PSA)의 변화를 중심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II. 대상 및 방법
- 1. 대상
2008년 10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상지대학교부속한방병원 침구과에서 치료받은 전립선암 환자 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2. 치료 방법
- 2.1 산삼약침 치료
상완 혈맥의 혈관을 확보하고 약침주입기를 서서히 주입한 후 약침학회에서 공급 받은 산양산삼 혹은 산양삼 약침 20mL를 평균 20mL/분의 주입속도로 주 1회-3회 시술하였다
5
,
6)
.
- 2.2 수화조절법
수화조절법이란 우리 인체의 생명활동에서 가장 큰 축으로 작용하는 心火와 腎水가 기능을 失調하여 心火는 하강하여 腎水에 陽氣를 전하지 못하고, 腎水는 상승하여 心火를 적셔주지 못하여 水는 오로지 하강하고 火는 오로지 상부로만 妄動하여 음양의 순환이 끊긴 전신적인 병리적 상태를 水升火降의 정상적인 생리 상태로 순환시키는 치료법이다. 황련해독탕 약침을 양측 肩井(G
21
)과 風池(G
20
)에 각각 0.2 cc, BUM은 膻中(CV17)에 0.2 cc, Sweet Bee Venom(이하 SBV)은 中脘(CV
12
), 氣海(CV
6
)穴에 각각 0.3 cc씩 시술하였다
5
,
6)
.
- 2.3 봉약침 치료
봉약침은 약침학회에서 공급받은 SBV를 사용하였으며, 合谷(LI
4
), 太衝(Liv
3
), 足三理(S
36
)에 0.1cc씩 주입하였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曲骨(CV
3
), 三陰交(Sp
6
), 會陰 (CV
1
)혈에도 추가로 SBV를 0.1 cc씩 주입하였다.
- 2.4 기타 치료
- 2.4.1 肝正格: 肝은 罷極之本이라 피로를 조절하며, 소화 작용에 관여하고, 宗筋을 주관하며, 肝系에 문제가 있을 때 생식기질환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7)陰谷(K10), 曲泉 (Liv8)穴을 補하고 經渠(L8), 中封(Liv4)穴을 瀉하는 간정격을 시술하였다. 3.0mm × 3.0mm 호침으로 환자의 좌측에 시술하였으며, 보사법은 영수보사를 사용하였고, 25분간 유침하였다.
2.4.2 이외의 약물치료 등 기타 치료는 시행하지 않았다.
- III. 증례
- 1. 증례 1
- 1.1 환자: 양OO (M/51)
- 1.2 진단명: Prostate Adenocarcinoma (T3bN0M0 로 추정됨), (Gleason's score 4+4=8/10, tumor area: 80%)
- 1.3 발병일: 2008년 8월경
- 1.4 초진일: 2008년 10월경
- 1.5 주소증: 피로감, 배통, 요통, 야간뇨, 소변빈삭, 발기부전
- 1.6 과거력: 없음.
- 1.7 현병력: 상기 환자는 상기 발병일에 소변빈삭, 발기 부전의 증상 있어 A대학병원 및 B병원에서 전립선암으로 진단 받음. B병원에서 호르몬 요법 및 방사선 치료 받는 중 본원 내원함.
- 1.8 경과 (Table 1,Fig. 1)
- 1.8.1 2008년 8월 초: 8월 초 A대학병원에서 진단받고 며칠 후 B병원 내원하여 8주간 호르몬요법 및 방사선 치료 하기로 함. 호르몬요법은 호르몬약 복용 및 3개월에 한번씩 호르몬주사 치료 받기로 함.
- 1.8.2 2008년 8월 중순: PSA 29.59ng/mL, 전립선 양쪽 엽과 정낭 및 양측 신경혈관 속에 cancer가 침범하고 있으며 volume은 27cc, 골반내 림프절에 전이 가능성도 있음. 병기는 T3bN0M0으로 추정됨.
- 1.8.3 2008년 10월 초: 본원 내원 시작. 평균 1주일에 2회씩 내원하여 내원시마다 봉약침을 이용한 수화조절치료, 침치료, 산삼약침 시술 받으심.
- 1.8.4 2008년 10월 말: PSA 1.38ng/mL로 감소.
- 1.8.5 2008년 11월 말: PSA 0.73ng/mL로 감소.
- 1.8.6 2008년 12월 말: PSA 0.40ng/mL로 감소.
- 1.8.7 2009년 1월 말: PSA 0.30ng/mL로 감소.
- 1.8.8 2009년 2월 말: PSA 0.17ng/mL로 감소.
- 1.8.9 2009년 4월 중순: PSA 0.09ng/mL로 감소. 환자의 컨디션 안정된 상태로 불편감 호소 없음. prostate volume은 14cc로 현저히 감소. 전립선암의 흔적은 거의 사라졌으나 정낭과 왼쪽 apex쪽으로 잔류암이 의심됨. 림프절이나 골반뼈로의 전이는 없음. 병기는 T3bN0M0로 추정됨.
- 1.8.10 2010년 2월 말: PSA 0.04 ng/mL로 감소.
- 1.8.11 2010년 3월 말: PSA수치가 안정화되었고 환자분 의사로 산삼약침 시술은 중단하고 봉약침, 침치료만 지속.
- 1.8.12 2010년 4월 중순: prostate volume은 8cc. cancerous lesion은 소실된 상태로 측정 가능한 부위 없음. 병기는 T0N0M0로 추정됨.
- 1.8.13 2010년 5월 말: PSA 0.02ng/mL로 감소.
- 1.8.14 2010년 8월 말: PSA 0.01ng/mL로 감소.
- 1.8.15 2011년 4월 초: PSA수치 계속 0.01ng/mL 유지하고 있으며 주소증 없음. 관리 차원에서 2주에 한 번씩 지속적으로 내원하여 봉약침, 침치료 받고 계심. B병원에서 처방한 호르몬약 지속적으로 복용 중.
Changes of PSA Values in Case 1.*Hormone Therapy. Injection once every 3 months, tablet daily.†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Mountain Ginseng Pharmacopuncture treatment§Sweet Bee Venom treatment
Changes of PSA Values in Case 1. * Hormone Therapy. Injection once every 3 months, tablet daily. †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 Mountain Ginseng Pharmacopuncture treatment § Sweet Bee Venom treatment
Prostate MRI of Case 1: A. Extensive prostate cancer with extracapsular extension and seminal vesicle invasion. B. No demonstrable recurrent cancer in the prostate and no evidence of lympadenopathy or bony metastasis.
- 2. 증례 2
- 2.1 환자: 박OO (M/53)
- 2.2 진단명: Prostate cancer with bone, lung meta(T3bN0M1c), (Gleason's score 3+5=8/10)
- 2.3 발병일: 2009년 6월경
- 2.4 초진일: 2009년 10월경
- 2.5 주소증: 우측 골반 통증, 좌측 무릎 통증, 숨참. 기운 없음. 소변불리.
- 2.6 과거력: 2004년 C대학병원에서 혈압, 당뇨, 폐결 핵 진단받음. 혈압, 당뇨약은 현재 복용 중이며 폐결핵은 1 년간 약 복용 후 완치 판정 받음.
- 2.7 현병력: 상기 환자는 2009년 3월경부터 운동능력 떨어졌으며 2009년 6월초 숨 차는 증상 있어 C대학병원에서 chest CT 촬영, 조직검사 후 폐색전증, 전립선암, 폐전이, 골 전이 진단 받고 D병원에서 항암치료 받는 중 본원에 내원함.
- 2.8 경과 (Table 2,Fig. 2)
Changes of PSA Values in Case 2.*Zoladex depot injection, once every 3 months.†Casodex tablet 50mg‡Androcur tablet 50mg§Estracyt capsules 140mg?Mountain Ginseng Pharmacopuncture treatment¶Sweet Bee Venom treatment
Changes of PSA Values in Case 2. * Zoladex depot injection, once every 3 months. † Casodex tablet 50mg ‡ Androcur tablet 50mg § Estracyt capsules 140mg ? Mountain Ginseng Pharmacopuncture treatment ¶ Sweet Bee Venom treatment
Bone Scan of Case 2: A. October 2009. There were Disseminated bone metastasis on both pelvic bone, skull, multiple ribs, scapulae, multiple spines. B. May 2010. Slightly improved disseminated bone metastasis, since October 2009. C. March 2011. Slightly aggravation of disseminated bone metastasis, since May 2010. D. May 2011. No interval change of disseminated bone metastasis, since March 2011.
- 2.8.1 2009년 6월 초: C대학병원에서 뼈와 폐에 전이된 전립선암(T4N0M2) 진단받음.
- 2.8.2 2009년 7월 말: D병원 진료 시작. T3bN0M1b로 다시 진단 받음. PSA 555ng/mL. 항암주사(Zoladex LA Depot), 항암제 (Casodex tab(50mg)) 치료 시작.
- 2.8.3 2009년 8월 초: Bone Scan 결과 7월 20일 C 병원 사진보다 both pelvic부위에 국소적으로 증가. 두개 골, 갈비뼈도 정도가 증가하여 미만성의 불균질한 발현 양상을 보임. 뼈 전이가 다소 악화됨. 대퇴골, 상완골을 제외하고는 거의 전신의 뼈에 퍼짐. 양쪽 폐에 다발성으로 림프절이 확장되고 혈전색전증 보임. 와파린 복용, 헤파린 주사 시작.
- 2.8.4 2009년 9월 초: PSA 192ng/mL로 감소. 림프 혈행성 전이에 의한 양측 폐 사이질의 현저한 marking이 있으나 2009년 7월에 비해서는 약간 감소함. 항암제 투여 지속.
- 2.8.5 2009년 10월 초: 본원 진료 시작. 산삼약침, 봉 약침. 침치료 시작. 평균 주 5회 내원. 봉약침 치료는 내원 시마다, 산삼약침 치료는 주 2-3회 시행.
- 2.8.6 2009년 10월 중순: PSA 41.1ng/mL로 감소.
- 2.8.7 2009년 10월 말: Chest의 림프혈행전이 감소. 호르몬 치료 시작. 와파린 복용 지속. Bone scan 상 골반, 두개골, 갈비뼈의 전이는 증가됐고, 견갑골, 척추의 전이도는 변화 없음.
- 2.8.8 2009년 11월 말: 숨 차는 증상 심해짐. bonemeta 악화됨.
- 2.8.9 2010년 2월 말: PSA 4.7ng/mL로 감소. 우측 골반통, 무릎 통증 호소. RUL의 섬유성 결절의 크기 작아짐. 비대된 다발성 림프절의 크기 감소. 호흡기 증상은 전혀 없었음. 환자분의 의사로 산삼약침 중단.
- 2.8.10 2010년 5월 말: PSA 3.9ng/mL로 감소.
- 2.8.11 2010년 5월 말: 2009년 10월 21에 비해 두개 골, 늑골들의 국부적 발현은 정도가 감소하였음. 그 외 양쪽 골반뼈, 우측 견갑 및 척추의 발현은 유의한 차이 없음.
- 2.8.12 2010년 7월 중순: 컨디션 매우 좋으며 골반통, 경항통, 위장장애 소실되었음.
- 2.8.13 2010년 8월 말: PSA 6.1ng/mL로 재상승하기 시작.
- 2.8.14 2010년 10월 초: PSA 18.6ng/mL로 증가. Casodex를 Androcur(난포, 황체 호르몬)로 변경.
- 2.8.15 2010년 10월 말: 산삼약침 재개.
- 2.8.16 2010년 11월 말: 계속해서 컨디션 저조. 허리와 무릎, 골반, 우측 서혜부의 통증 호소.
- 2.8.17 2010년 11월 말: PSA 67.9ng/mL로 증가. D 병원에서 수치가 잡히지 않으니 한 달간 약을 모두 끊어보자고 함. 산삼약침을 포함한 한방 치료만 받음.
- 2.8.18 2010년 12월 초: 숨 차는 증상 호소. 계속해서 무릎 통증 호소. 기존의 수승화강, 족삼리, 태충, 합곡 치료에 추가로 회음, 곡골, 삼음교에 봉약침 각 0.3 cc씩 투여시작. 한방치료만 지속.
- 2.8.19 2010년 12월 말: PSA 43ng/mL로 감소. D 병원에서 치료효과 판단 시 장애가 된다는 이유로 산삼약 침을 중지할 것을 요구. 환자분은 방사선치료는 거부하고 항암제(에스트라시트 캅셀 140 mg tid.)만 다시 시작하기로 함.
- 2.8.20 2011년 1월 중순: PSA 12.6ng/mL로 감소. 항암제 때문인지 산삼약침을 안 맞아서 그런지 급격히 피곤하고 입술이 트고 위장장애가 심해졌으며 숨이 차고 변비가 생기고 입맛이 없어졌다고 함.
- 2.8.21 2011년 2월 말: PSA 11.3ng/mL로 약간 감소. 핵의학검사상 뼈로 전이된 부분은 진행이나 호전 없이 정지된 상태. 폐색전증 호전.
- 2.8.22 2011년 3월 말: PSA 13.5ng/mL로 약간 증가. 특별한 불편감 없다고 함.
- 2.8.23 2011년 4월 말: PSA 26.3ng/mL로 증가. 우측 서혜부 불편감 생김.
- IV. 고찰
1999년 국내 1,437명이었던 전립선암의 발생자가 2008년 6,471명에 이르러 연간증가율이 14.9%에 달하였는데, 이는 갑상선암에 이어 증가율 2위에 해당된다
1)
. 이렇게 전립선암의 발생률이 증가하는 원인은 지방질의 과다 섭취와 식이섬유의 섭취 부족, 인스턴트 식품의 섭취 등 국 민들의 식생활문화가 서구화되고, 고령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PSA를 포함한 진단 기술의 발달로 전립선암의 진단 빈도가 급격하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8)
.
전립선암에 대한 주요 검사로는 직장수지검사, 혈청 전립선특이항원(Prostate specific antigen, PSA)검사 및 경직장초음파촬영술(transrectal ultrasonography) 등이 있으며, 전립선암의 확인은 경직장초음파촬영술을 이용한 전립선 침생검(needle biopsy)으로 이루어진다
8)
.
PSA는 전립선 분비상피에 의해 생산되며 배타적으로 특이성을 가진 키모트립신을 가진 당단백 아미노산 효소이며
9)
4.0ng/mL 미만을 정상으로 본다. PSA에 대한 면역 조직화학 검사는 전립선암에 대한 민감도 및 특이도가 높은 검사법으로서 전립선에서 기원한 종양에서 100% 가까이 양성으로 나타난다
10)
. 전립선암 환자에 있어서 PSA의 증가가 나타나는 생화학적 재발이 골 전이 등의 임상적 진행보다 수개월 선행되어 나타나므로 전립선암의 치료와 예후진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11)
. 박 등
12)
은 혈중 PSA가 3회 이상 연속 증가하는 것을 생화학적 재발로 판단하였으며, 치료전 PSA수치가 10ng/mL미만인 경우 재발 저위험군, 10ng/mL ~ 20ng/mL을 중등도 위 험군, 20ng/mL 이상을 고위험군으로 보았다.
전립선암은 혈류 및 림프 순환계를 통해 전이되며 2/3의 환자들에서 림프절 및 뼈에 전이되며 폐, 간 등의 원격장기에도 전이될 수 있는데
13)
, 전이성 전립선암의 진단에서 사망까지의 기간은 약 2.5-3.2년이 걸리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1)
. 전립선암의 병기는 Gleason점수
14)
와 TNM 분류 법
15)
으로 표기하며, 전립선암의 치료로는 국소 전립선암에서는 주로 수술 또는 방사선 치료가 많이 사용되고 전이성 전립선암의 경우에는 남성호르몬 차단요법이 주된 치료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호르몬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호르몬 불응성 전립선암 환자들의 평균 기대 생존율은 12개월 미만으로 예후가 매우 불량하며 일단 호르몬 불응성 전립선암으로 진행되면 생존 기간이 1-2년에 불과하고 어떤 치료도 생존율을 증가시키지 못하므로 이때부터는 항암제 등의 투여와 함께 통증을 완화하여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치료의 목적이다
16
,
17)
.
한의학적으로 암은 腫瘍, 癰疽, 腫毒, 積聚, 癥痂, 癌, 陰 瘡, 廮瘤, 肺癰, 痰壅, 痃癖, 石癰, 石疽, 疔疽, 噎膈등의 범주에 포함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風寒暑濕燥火의 外 感六淫, 喜怒憂思悲恐驚등의 七情內傷과 辛鹹, 甘苦, 酒濕 등의 음식내상 및 과로, 勞房過多의 不內外因등에 의한 개 체의 장부기능실조 및 기혈부조로 氣滯血瘀, 痰結濕聚, 熱 毒溫結, 精氣虛弱, 積聚日久하여 종양이 유발된다. 치법은 淸熱解毒, 軟結散結, 活血化瘀, 祛濕解毒및 扶正培法등이 활용되고 있다
18)
. 전립선암은 癃閉, 尿濁, 淋症, 蠱病등의 범주에, 샅림프절 종대는 腫瘍, 癰疽, 腫毒, 積聚등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산삼약침은 기존의 한의학적 치료에 새롭게 개발된 치료방법으로 산양산삼과 산양삼을 증류식으로 추출하여 血 脈(정맥)으로 주입하는 약침이다. 이는 산삼의 補氣效能을 신속하게 血脈을 통해 체내에 전달하여 扶正效果를 주는 신침요법으로 항산화작용으로 인한 노화억제, 면역기능강 화, 피로개선, 체력증강에 유효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5
,
6)
. 또한 암을 유발한 동물 모델에서 산삼약침 투여 시 115% 생존율 증가를 나타냈고, 대장암의 간전이 동물모델에서도 암세포의 성장을 현저히 억제했으며, 원발성 간암환자의 폐전이 임상사례에서 간과 폐의 암이 모두 사라진 경우
19)
와, 폐암 환자의 종괴의 성장이 정지된 예
20)
가 보고되고 있다. 또한 항암제 doxorubicin에 의한 오심, 구토, 전신무력, 체중 감소와 고환독성을 방어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물실험 및 무작위 임상대조시험에서 특이한 부작용이 보고되지 않았다
21)
.
암치료에 대한 봉독의 효과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전립선암에 대하여 오 등
2)
, 양 등
3)
및 허 등
4)
은 봉독의 주성분인 멜리틴이 세포자멸사를 유도함으로써 전립선 암세포의 증식억제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증례 1의 환자는 비록 국소 전립선암이기는 하였지만 최초 PSA의 수치가 29.59로, 박 등
14)
의 기준으로 볼 때 재발의 고위험군에 속한다. 이 환자의 PSA 수치와 prostate volume은 급격하게 감소되었는데, 이를 반드시 한방치료를 병행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재발 고위험군이었음을 감안할 때 현재까지 재발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데에는 산삼약침과 봉약침을 포함한 한방치료가 어느 정도 도움을 주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증례 2의 환자는 진단 당시 PSA 수치는 555로 매우 높았고 전립선암이 정낭, 두개골, 대퇴, 갈비뼈 등 거의 전신의 뼈의 전이와 폐전이 및 폐색전증까지 가지고 있었다. 이 환자의 PSA수치는 처음에 급격히 떨어지다가 이후 상승과 하락이 반복되었는데, 산삼약침 사용 시기에 수치가 하강하였다가 중단한 후에 다시 상승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산삼약침이 전립선암 재발의 예후인자가 되는 PSA 수치의 하강과 유지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환자는 증상의 소소한 변화는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안정된 컨디션을 유지하였으며, 전이된 뼈와 폐 상태는 눈에 띄는 큰 변화는 없었다 (
Fig. 2
). 이 환자가 다발성으로 전이된 전립선암 환자이며, 호르몬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았음을 생각하면, 현재까지의 진행은 긍정적인 경과를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호르몬 불응성 전립선암의 경우 생존율이 12개월 미만으로 예후가 매우 불량한 편이므로
16)
이 환자의 경과를 계속 주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증례는 적은 증례 수와 한방 단독 치료의 결과가 아 니라는 한계가 있어 산삼약침과 봉약침의 효과를 검증하기 에는 미흡하지만 양방의 항암치료와 병행한 산삼약침과 봉약침을 포함한 한방치료가 전립선암의 진행 및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앞으로 전립선암을 포함한 한방 암치료의 연구에 산삼약침 치료가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이와 관련된 추가 연구가 발표되기를 기대해 본다.
- V. 결론
2008년 10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상지대학교부속한방병원 침구과에서 양방항암치료를 받고 있는 전립선암 환자 2명에게 산삼약침, 봉약침 치료 등 한방치료를 시행한 결과 전립선암의 예후와 환자의 삶의 질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Ministry of Health&Welfar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National cancer center
2010
Annual Report of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Cancer statistics, 2008).
21 -
27
Oh HJ
,
Song HS
2010
Bee venom inhibits PC-3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via inactivation of NF - κB.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7
(3)
1 -
13
Yang CY
,
Song HS
2010
Bee venom inhibits prostate cancer growth in LNCaP xenografts via apoptosis.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13
(1)
15 -
35
DOI : 10.3831/KPI.2010.13.1.015
Hur KY
,
Song HS
2011
Bee venom inhibits DU- 145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8
(3)
111 -
119
Ryu YJ
,
Lee KH
,
Kwon KR
,
Lee YH
,
Sun SH
,
Lee SJ
2010
Mountain ginseng pharmacopuncture treatment on three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patients -case report-.
Journal of Pharmacopuncture
13
(4)
119 -
128
DOI : 10.3831/KPI.2010.13.4.119
Academic committee of KPI
2008
Pharmacopuncturology.
Elsevier
Korea
211-216
70 -
76
전국한의과대학 간계내과학교수 공저
간계내과학
동양의학연구원
176 -
177
Ministry of Health&Welfare
2011
Committee for new health technology, Committee for Iodine- 125 Permanent Implant for prostate cancer, Division of new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in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Iodine-125 permanent implant for prostate cancer. new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report.
HTA- 2011-4
1 -
204
Lee KO
,
Kim KI
,
Lee KP
1997
Development of enzyme immuno assay for analysis of free prostate specific antigen in serum.
Korean J. Biomed. Lab. Sci.
3
(2)
107 -
114
Kwon DY
,
Seo CG
,
Kim BS
,
Kwak JH
,
Kim MS
,
Choi WI
,
Han SB
,
Song HS
,
Jeon YJ
2000
A case of endobronchial metastasis from prostatic carcinoma.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49
(4)
502 -
507
Ha HK
,
Yun CJ
,
Lee SS
,
Shin DG
,
Lee W
,
Lee ZZ
,
Chung MK
2009
Survival rates and related factors in men with hormone-refractory prostate cancer.
Korean Journal of Urology
50
(7)
649 -
655
DOI : 10.4111/kju.2009.50.7.649
Park CM
,
Lee CH
2005
Prognostic factors of biochemical failure after radical radiotherapy for localized prostate cancer.
J Kyung Hee Univ Med Cent
21
(1)
43 -
50
Kim JH
,
Lee SI
,
Park KW
,
Kim YS
,
Lee HY
,
Kong JH
,
La SS
2008
A case of prostate cancer with generalized lymphadenopathy and osteolytic bone metastases.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74
S107 -
S111
http://en.wikipedia.org/wiki/Prostate_cancer_staging
http://img.medscape.com/fullsize/migrated/ 488/558/un488558.tab2b.gif
Han KS
,
Cho KS
,
Lee SH
,
Hong SJ
2007
Estramustine phosphate based chemotherapy for hormone refractory prostate cancer.
Korean Journal of Urology
48
(7)
684 -
690
DOI : 10.4111/kju.2007.48.7.684
http://www.cancer.go.kr/ncic/cics_b/04/041/ 1635154_5881.htmL
Nam DW
,
Lee JD
,
Choi DY
2007
Study trends on acupuncture treatment of cancer.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4
(1)
209 -
216
Kwon KR
,
Park CW
,
Ra MS
,
Cho CK
2005
Clinical observation of multiple metastatic cancer patient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treated with cultivated wild ginseng herbal acupuncture therapy.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2
(2)
211 -
217
Bang SH
,
Kwon KR
,
Yoo HS
2008
Two cases of con-small cell lung cancer treated with intravenous cultivated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Journal of Pharmacopuncture
11
(2)
13 -
19
DOI : 10.3831/KPI.2008.11.2.013
Min BI
,
Kim HH
,
Seo IB
,
Kwon KR
2007
Antitumor effects and protective effects against doxorubicin- induced testicular toxicity of cultivated wild ginseng extract in the B16/ F10 melanoma-bearing C57BL/ 6 mice.
Journal of Pharmacopuncture
10
(1)
85 -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