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anced
The Exploratory Study on the Impact of User's Characteristics and Use Behaviors on Personal Cloud Service Use
The Exploratory Study on the Impact of User's Characteristics and Use Behaviors on Personal Cloud Service Use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2014. Jan, 19(1): 3-13
Copyright © 2014,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 Received : November 04, 2013
  • Accepted : January 15, 2014
  • Published : January 30, 2014
Download
PDF
e-PUB
PubReader
PPT
Export by style
Article
Author
Metrics
Cited by
TagCloud
About the Authors
동우, 김
시영, 표
원조, 정
liberty@seoultech.ac.kr

Abstract
본 논문은 매우 빠른 속도로 개발 및 보급되고 있는 개인형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특히, 이용자 특성과 이용 행태에 주목하여, 플랫폼 및 콘텐츠 연계이용이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은 사진, 음악, 음원과 같은 데이터 용량이 작은 콘텐츠를 중심으로 주로 연계이용되었다. 둘째,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있어 ‘플랫폼 연계이용’이 제일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SNS 이용, 이메일 이용, 개인의 혁신성 등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인형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이론적 분석에 있어 선도적인 연구로서, 클라우드 서비스의 개발 및 관련 산업 진흥 정책의 수립에 있어 이용자 특성과 이용 행태의 고려가 필요하다는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Keywords
Ⅰ. 서 론
지난 10년 간 방송통신 환경은 빠른 기술 개발과 혁신, 그리고 시장의 구조적 변화로 인해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를 겪고 있다. 특히 Web 2.0,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모바일 생태계를 중심으로 비즈니스 모델이 빠르게 진화하면서 새로운 가치사슬과 이익분배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1] . 이 중에서도 클라우드 서비스는 인터넷 연결성,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콘텐츠 및 서비스가 모두 하나로 집결되는 총체적인 IT환경의 변화를 대변하기 때문에 주목을 받고 있다 [2] .
국내에서 클라우드 기술 및 서비스에 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것은 비교적 최근으로서, 주로 관련 설비 구축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 등과 같이 산업 현장에서의 IT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대한 대안으로서 주목을 받아왔다. 특히, 최근 모바일 분야의 급성장과 빅데이터를 둘러싼 논의 확대 등으로 세계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급증해 감에 따라 산업적, 정책적 차원에서 국내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들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비교적 최근에는 다양한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들 중 스마트 기기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개인형 클라우드 서비스, 특히 스마트 폰을 중심으로 한 일종의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가 급격히 확대되어 관련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특히, 해외 선도 기업들이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투자를 통해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인 수익 창출을 하는 선순환 구조를 완성하기 위한 노력들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대표적으로 구글, 페이스북 등의 해외 선도적 기업들은 다년간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 축적된 빅데이터를 분석, 활용하여 다양한 신규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산업적 성장가능성과 중요도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어감에 따라 정부 차원의 적극적 움직임 또한 진행되고 있다 1) . 그러나,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산업의 시장 규모는 세계시장 대비 0.5%로 아직 미미한 수준인데다가, 관련 기술 역시 미국보다 평균 2년 내외로 격차가 벌어진 상태다 2) .
본 연구에서는 멀티 플랫폼 환경에서 다른 서비스보다 훨씬 발전 속도가 두드러지고, 이용자의 일상생활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개인형 클라우드(Personal Cloud) 서비스에 주목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개인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서비스를 어떻게 제공해야 하는지를 구체화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이용자의 이용행태에 주목하여 개인형 클라우드의 플랫폼과 콘텐츠 활용 차원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용자가 클라우드를 통해 공유한 콘텐츠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미디어 디바이스를 통해 비동시적으로 소비하기 시작하면서 과연 이용자가 콘텐츠를 소비하는데 있어 어떠한 플랫폼으로 어떻게 소비하는지를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있어 연계이용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개인형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있어 이용자의 미디어 소비 방식을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향후 관련사업 육성에 있어서도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10년 3월 행정안전부 및 지식경제부, 방송통신위원회를 주축으로 ‘2014년 세계 최고 클라우드 컴퓨팅 강국 실현’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계획을 내놓았고, 미래창조과학부는 국내 클라우드 산업의 체계적인 발전을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안'을 2013년 10월 8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했는데, 이를 통해 국내 미디어 산업 육성 방안에 있어 클라우드 서비스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짐작할 수 있다.
김동효(2013.10.09).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법안 국무회의 의결, 이달중 국회제출”, 이투데이.
Ⅱ. 이론적 배경
- 1. 클라우드 서비스의 정의 및 관련 현황
클라우드 서비스 개념은 2006년 구글의 직원이 컴퓨팅 자원에 대한 활용을 제의하면서 처음으로 등장하였고, 이후 IT산업에서 핵심적인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기관과 학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는데, 미국의 표준 기술 연구소인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 and Technology)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구성 가능한 IT자원(소프트웨어, 스토리지, 서버, 네트워크)을 필요한 만큼 빌려서 사용하고 서비스 부하에 따라서 실시간 확장성을 지원 받으며 사용한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컴퓨팅”이라고 정의 내렸고, 삼성경제연구소에서는 “사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접속만으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주문형 IT서비스”라고 정의했으며, Gartner(2010)는 “인터넷 기술을 사용하여 많은 고객들에게 수준 높은 확장성을 가진 IT자원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컴퓨팅”이라고 정의하였다. 즉, 이러한 정의들을 종합하여 볼 때, 클라우드 서비스는 이용자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IT자원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As a service)하는 컴퓨팅 환경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은 그리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유틸리티 컴퓨팅, 웹 서비스, 서버 및 스토리지의 가상화 기술과 공개 소프트웨어 등과 같은 기존 기술들이 융합되어 하나의 커다란 구름(Cloud)과 같은 환경을 만들며 서로 다른 물리적 위치에 존재하는 컴퓨팅 자원을 가상화 기술을 통하여 제공하는 기술 개념을 포함한다 [3] .
클라우드 서비스는 다양한 층위에 따라 분류되고 정의될 수 있다. 먼저,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SaaS(Software as a Service)로 분류된다. Issa는 서버, 컴퓨터, 스토리지와 같은 인프라 자원을 제공하는 형태이고, PaaS는 시스템 개발 환경과 관련된 플랫폼을 제공하는 형태이며, SaaS는 인터넷을 통해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형태를 말한다 [3] [4] [5] .
다음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주체와 대상에 따라 분리된다. 기업 또는 구축한 기관만이 소유한 시스템이나 서버를 이용하여 기업내부 사용자만을 위해 사용되어지는 사설 클라우드(Private Cloud), 기업이 자체적으로 운영해야 하는 컴퓨팅 자원을 인터넷 상으로 대여, 제공하는 서비스인 기업 클라우드(Enterprise Cloud), 그리고 개인 사용자의 데이터와 콘텐츠를 관리하여 여러 스마트 디바이스 간 데이터 송수신과 콘텐츠 연동 기능이 강력하며 언제 어디서든 이용이 가능한 개인형 클라우드(Personal Cloud)로 분류되기도 한다 [6] . 우리에게 익숙한 클라우드 서비스는 개인형 클라우드로 이용자들이 음악, 문서, 그림 등의 콘텐츠를 온라인 서버에 저장해두었다가 자신의 개인형 스마트 기기를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정립, 효과적이고 생산력 있는 공정 혁신, 기존 기술과의 연계를 통한 제품 혁신 등 주로 기업 활용 차원의 접근을 수행하여 왔다 3) [7] . 혹은 기업의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시 성공적인 도입을 위한 방식, 위협 요인, 채택 여부 및 적용에 관한 연구들 또한 존재한다 [8] [9] .
그러나, 최근 개인형 모바일 공간의 확산, 스마트 디바이스의 확산 등으로 인해, 기업 차원이 아닌 개인 차원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급격히 확산이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형과 달리 그 이용 목적과 방식에 대한 새로운 정의가 아직 정립되지 않았다. 특히, 다양한 소셜 미디어와의 연계를 통해 확장된 서비스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기업들에게는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뿐 아니라 개인의 정보 저장과 활용이라는 측면을 넘어선 N스크린 서비스와 같은 콘텐츠 유통과 확산의 중요한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미디어 관련 사업자들에게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형 클라우드 서비스의 활용 과정에 대한 연구들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 2.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관한 선행 연구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용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기술수용모델(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의 관점에서 설명되고 있다. 기술수용모델은 사용자들이 새로운 기술을 수용함에 있어 영향을 받는 변수들이 무엇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고안된 모델로서 클라우딩 서비스와 같이 첨단기술 혹은 신기술 분야의 수용과정을 설명하는 데 있어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크게 볼 때 클라우드 서비스가 갖는 특성에 관한 요인들, 이용자 특성에 관한 요인 두 가지 측면에 주목하였다.
먼저, 클라우드 서비스가 갖는 특징이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한 연구들이 다수 존재한다. 윤중현(2011)의 연구에서는 정보센터 시스템 품질이라는 기술적 요인이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았는데, 데이터 안정성, 네트워크 반응속도, 시스템 접근성 요인들이 이용자의 이용 의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 전새하·박나래·이중성(2011)의 연구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징인 보안 및 프라이버시 수준, 편재성, 정보접근성, 자원사용 효율성 등이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10] . 박상철·권순재(2011)는 협업 지원, 접근성,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신뢰라는 클라우드 서비스 특성 변인이 클라우드 서비스로의 사용전환을 이끄는 요인으로서 작용함을 제시하였다 [11] . 류재홍·문혜영·최진호(2012)는 접근성, 저장 용량, 신뢰성, 인지된 용이성, 가용성 등의 서비스 특성이 사용자의 이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밝혔다 [6] .
다음으로 이용자 특성에 주목한 일련의 연구들이 존재한다. 먼저, 서정한·장석권(2011)은 탐색적 차원에서 비록 이용자 차원은 아니지만 클라우스 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한 요인을 폭넓은 관점으로 바라보았다 [9] . 이들은 단순히 통신 인프라, 정부지원, 연구활성화, 기술개발과같은거시적차원 뿐만 아니라, 비록 탐색적이지만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대중의 관심 및 인지도, 소유에 대한 인식 변화 등이용자 차원의 사회 문화 환경 또한 주목하였다. 박이슬·우형진(2013)의 연구에서는 개인의 특성이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했는데, 개인의 혁신성 4) 과 사회적 동조 변인이 이용자의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4] . 반면, 기존 논문에서 유의미한 변인으로 여겨졌던 인터넷 효능감과 같은 경우 설정한 매개변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클라우드 서비스가 다양한 서비스들, 주로 소셜 미디어들과 함께 제공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이용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은 ‘연계이용(Multi-Device Use)’이라 할 수 있다. 개인형 클라우드 서비스는 이용자의 데이터와 콘텐츠를 관리하여 여러 스마트 디바이스간 데이터 송수신과 콘텐츠 연동 기능이 강력하며 언제 어디서든 이용이 가능하다 [6] . 이러한 개인형 클라우드 서비스는 아직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서비스 이용자체에 소비를 유발시키지는 않지만, 타 미디어 콘텐츠 소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4] . 또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N스크린 서비스와 같이 다양한 콘텐츠와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서비스에 유료 콘텐츠 소비금액이 주요 변인으로 등장하기도 하였다 [12] .
연계이용에 대한 초기 연구들은 주로 TV와 다른 디바이스 간 연계이용에 초점이 맞추어졌는데, 대체로 서비스에 대한 원활한 통제에 그 목적이 있었다. 디바이스 간 연계이용의 구분은 디바이스 이용의시스템적 연계성과 시·공간적 연계성에 따라서 개별이용, 동시이용, 교차이용, 연결이용 총 네 가지 형태로 나뉜다. 개별이용은 두 디바이스 간 시간적, 공간적으로 다른 범주 내에서 네트워크나 플랫폼 등의 시스템을 기반으로 연계되지 않은 개별적인 이용 유형을 말하고, 동시이용은 두개 이상의 미디어를 한시점에병행 사용하는 유형을 말한다. 교차이용과 연결이용은 보통 연계이용이라는 개념으로 함께 사용되는데, 연계이용은 이용자 측면에서 여러 가지 디바이스를 시·공간적, 기능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이용행위들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정의되어 왔다 [13] . 황주성(2012)은 멀티디바이스 환경에서 연계이용에 대한 연구를 통해 N스크린 이용경험이 많을수록 여러 단말기를 통해 미리보기, 이어보기 등을 이용하는 단말기 교차이용, 시청하는 동영상과 관련된 연계동시 이용, 그리고 동영상과 무관한 단순 동시이용을 많이 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13] .
최 성(2013)은 기업 차원에서의 국내외 다양한 유형의 클라우스 서비스의 성공적인 사업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초기 투자비용 절감, 운용비 절감 및 계획적 예산 운용, 시간 단축을 통한 업무 효율성, 유연성과 확장성(시스템의 축소 및 확충 용이성), 사고에 대한 유연한 대처, 직원 업무 편의성 및 효율성 향상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다양한 사업분야의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용에 미치는 요인으로서 개인의 혁신성(Personal innovativeness)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개인의 혁신성은 새로운 정보시스템을 시도하고 사용해보려는 성향으로 설명된다[15]. 기존 선행연구에서 혁신성에 따라 혁신적인 IT 자원의 채택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8]. 그리고 이러한 혁신적 성향은 온라인 콘텐츠 구매 결정에도 영향을 미친다. 혁신성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가치를 인지하는데 있어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연구문제
본 연구는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있어 이용자의 특성과 미디어 이용행태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이용자 특성으로서 신규 미디어 수용에 있어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개인의 혁신성’과 미디어 이용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서비스 다양성’이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자 한다. 다음으로 이용자의 미디어 이용행태로서 ‘플랫폼 연계이용’과 ‘콘텐츠 연계이이용’이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1. 이용자의 이용자 특성(개인의 혁신성, 서비스 다양성)은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이용자의 이용행태(플랫폼 연계이용, 콘텐츠 연계이용)는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2. 연구방법
- 2.1 표본의 구성
본 연구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실시한 <2012 한국 미디어 패널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14] 5) 조사대상자는 전국 16개 광역시도 10,319명 응답자 중 클라우드 서비스 1개 이상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동영상, 음원, 문서 등의 콘텐츠를 다른 매체로 이동시켜 향유하거나, 이어보기/이어듣기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 327명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의 비중이 50.8%로 조금 더 높았고, 나이는 만 10세부터 49세까지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대졸 이하 학력이 61.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고졸 이하 학력의 사람이 많았다. 서울 지역 거주자가 29.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경기 거주자가 25.4%를 차지했다. 소득이 없는 사람이 46.5%로 나타났으며, 200 ~ 300만원이 17.4%, 100 ~ 200만원 소득을 가진 사람이 14.7%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N=327)
PPT Slide
Lager Image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N=327)
- 2.2 주요개념의 조작적 정의와 데이터 분석
이용자 차원에서 ‘개인의 혁신성’은 새로운 정보시스템을 시도하고 사용해보려는 성향으로 설명된다 [15] . 기존 선행연구에서 개인의 혁신성에 따라 혁신적인 IT 자원의 채택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 . 그리고 이러한 개인의 혁신적 성향은 온라인 콘텐츠 구매 결정에도 영향을 미친다. 개인의 혁신성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가치를 인지하는데 있어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혁신성이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개인의 혁신성을 알아보기 위해, 미디어패널 설문내용 중 제품을 구매하는 형태에 대한 질문들을 활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총 4개의 문항을 활용하였으며 평균은 3.245로 나타났고, 크론바하 알파 값(Cronbach-α)은 .739로 나타나 높은 편에 속하는 신뢰도를 보였다. 통계분석은 SPSS 19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되었다.
‘서비스의 다양성’은 개인이 이용하고 있는 이메일, 블로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의 수로서, 미디어패널 설문에 있는 각각의 서비스의 이용 계정의 수를 바탕으로 0개 ~ 3개까지 재코딩하여 활용하였다. ‘플랫폼 연계이용’은 클라우드 서비스와 타 서비스(이메일, 블로그, SNS)간 연계이용 정도를 의미한다. 모든 개인형 클라우드 서비스가 타 서비스와 연계이용이 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설문에 제시된 서비스를 플랫폼에 따라 아래 < 표 2 >와 같이 재분류하여 연계이용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클라우드-이메일, 클라우드-블로그, 클라우드-SNS, 클라우드-이메일-블로그, 클라우드-이메일-SNS, 클라우드-이메일-블로그-SNS 연계이용 여부를 재코딩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플랫폼별 B2C 서비스 현황
PPT Slide
Lager Image
Table 2. B2C Services Platform Status
주요 변인의 조작적 정의
PPT Slide
Lager Image
Table 3.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main factors
‘콘텐츠 연계이용’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다른 매체로 이동시켜 향유하거나 이어보기/이어듣기 한 경험의 정도를 말하며, 방송 프로그램, 동영상, 음악/음원, 책/신문/잡지, 사진, 문서 콘텐츠의 N스크린 이용경험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또한, 종속변인으로서 '클라우드 이용'은 아래 < 표 3 >에 제시된 서비스를 대상으로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의 수를 1개 ~ 3개까지 각각 재분류하여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의 전 연령층에 걸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측면에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이 조사는 국내 가구 및 개인의 미디어 이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부터 매년 ‘한국 미디어 패널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후 미디어 정책 입안 및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연구의 활용을 위해 연구자 공모를 통해 원자료를 제한적으로 공개하여 활용토록 하고 있다.
Ⅳ. 연구결과
- 1. 이용자 특성과 이용행태
이용자의 특성인 서비스 다양성을 알아보기 위해 앞서 개인별 이메일, 블로그, SNS 서비스의 이용현황을 살펴보았다. 응답자 중 56.6%의 이용자가 3개의 이메일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42.2%의 이용자가 3개의 SNS를 이용하고 있는 반면, 블로그는 60.2%가 이용하지 않았다.
이메일, 블로그, SNS 이용 수
PPT Slide
Lager Image
Table 4. The number of used e-mail, blog, SNS
클라우드 서비스와 타 미디어와의 플랫폼 연계이용을 살펴보기 위해 그 빈도를 조사하였다. 주로 이메일과 클라우드 서비스를 연계하여 이용하는 사람이 40.7%로 가장 많았으며, 이메일-블로그와 함께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사람도 18%에 달했다. 반면, 연계이용을 하지 않는 사람도 31.8%로 확인되었다. 한편, 연계하는 플랫폼 별로는 네이버 108명(33%), 다음 48명(14.7%), 네이버+다음32명(9.8%), 기타 35명(10.7%) 순으로 나타났다.
클라우드 서비스와 이메일, 블로그, SNS 간의 연계이용(N=327)
PPT Slide
Lager Image
Table 5. Cloud service and e-mail, blog, SNS use the multi-device use(N=327)
이상의 결과는 약 70%의 이용자가 타 미디어와 연계를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네이버와 다음과 같은 포털에 종속되어 이용하는 이용자가 대부분이라는 점, 이메일과의 연계이용이 가장 많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국내에서 개인형 클라우드가 새로운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기존 미디어와의 연계이용이 꼭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할 수 있다.
동시에 < 표 6 >의 결과는 글로벌 미디어 기업들의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진입이 매우 용이해질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모바일 서비스의 핵심 OS(Operating System)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예. 구글, 애플 등)이 이를 핵심 자원으로서 활용하여 국내 시장에 진입할 경우 매우 경쟁력 있는 서비스로 진입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콘텐츠 연계이용(N=327, 중복포함)
PPT Slide
Lager Image
Table 6. Contents of multi-device use(N=327, duplication)
콘텐츠 연계이용을 알아보기 위해 콘텐츠 유형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를 연계이용한 경험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콘텐츠 유형은 사진으로 나타났으며, 음악/음원, 문서 콘텐츠가 그 뒤를 이었다. 결과로 보아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용량이 큰 콘텐츠 보다 비교적 데이터 용량이 작은 콘텐츠 중심으로 이용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개인형 클라우드 서비스는 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 무선망을 이용하여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이용자의 데이터에 대한 부담감 등이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작용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동영상 서비스를 중심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출시하고 있는 IPTV, 케이블 방송 등의 유료방송서비스 사업자, 혹은 스마트TV, 스마트폰 등의 디바이스를 통한 OTT(Over-The-Top) 사업자 입장에서 클라우드 서비스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초기 진입시에는 이용자의 데이터 과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짧은 규모의 소규모 클립(Clip)형 서비스 중심의 상품 구성에서 점차적으로 완성형 서비스로 이동하는 전략의 고려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 2. 이용자 특성, 이용행태와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과의 관계
이용자 특성인 개인의 혁신성, 서비스 다양성과 이용행태인 플랫폼 연계이용, 콘텐츠 연계이용 이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독립 변인군이 종속 변인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계층적 다중 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을 종속변인으로 1단계에서는 이용자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인 성별, 나이, 학력, 지역, 월 소득으로 분석하였으며, 2단계에서는 개인의 혁신성을, 3단계에서는 서비스 다양성, 4단계에서는 플랫폼 연계이용, 마지막으로 콘텐츠 연계이용의 독립변인을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최종 연구모델에 대한 설명력은(Adj R 2 )은 .278(F=10.767 *** )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 표 7 >과 같으며,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플랫폼 연계이용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되기 이전에 기업이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플랫폼의 특성과 연계성의 정도라는 일종의 자원 기반(Resource base)이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한다.
혁신성, 이용 서비스 다양성, 플랫폼 연계이용, 콘텐츠 연계이용이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N=327)
PPT Slide
Lager Image
Table 7. The Impa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Variety of services, Platform of multi-device use, Contents of multi-device use on the Cloud Service(N=327) *p<.10, **p<.05, ***p<.001
다음으로 개인의 혁신성 요인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이용자가 보다 혁신적 성향을 가질수록 새로운 제품 혹은 서비스를 보다 적극적으로 이용할 것이라는 기존의 연구들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서비스 다양성은 이용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SNS 이용과 이메일 이용의 다양성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블로그 이용의 다양성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보다 많은 기존의 서비스를 이용할수록 클라우드의 이용을 많이 할 것이라는 측면을 제시함과 동시에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용 정도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콘텐츠 연계이용이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는 점으로 보아, 클라우드 서비스는 콘텐츠에 차별 없이 이용자의 요청 혹은 자동으로 동기화 되는 점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클라우드 이용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여 앞선 <연구문제 1>의 분석 결과에서 보듯이 사진, 음악/음원, 문서 콘텐츠에 대한 이용이 보다 많이 발생되는 결과를 볼 때 향후 연구를 통해서 재검증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나이와 (B=.141 ** , t=2.2138), 월 소득은 (B=.116 * , t=1.730)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PPT Slide
Lager Image
연구결과 Fig. 1. Research result
Ⅳ. 결론 및 함의
본 연구는 개인적 특성과 이용자의 이용행태에 주목하여 이용경험과 맥락차원에서 새롭게 등장한 개인형 클라우드 서비스에 조명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기존 클라우드에 대한 연구는 잠재적 이용자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수행했지만, 본 연구는 미디어 이용자의 특성이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용에 미치는 특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으며, 미디어 이용자의 이용행태, 특히 연계이용의 패턴이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연구되지 못하고 있는 개인형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 실 이용자들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측면에서 향후 이론적 분석에 있어 탐색적이고, 선도적인 연구로서 함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산업적, 정책적 측면에서 다음의 함의를 제공한다. 첫째,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과정에서 있어 이용자 특성과 이용 행태를 고려한 서비스 개발이 매우 중요함을 제시하여주고 있다. 둘째, 기존 이용 서비스의 특성, 플랫폼 유형의 특성이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는 결합서비스의 구성이 산업적 성공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는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형태의 SNS가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으며 그 활용 역시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클라우드 서비스와의 연계이용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서비스 유형에 따라 차별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결과를 보인다는 결과는 클라우드 서비스 결합 상품의 구성에 있어 선택과 집중의 필요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넷째, 후속적인 재검증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클라우드 서비스가 낮은 데이터 용량을 중심으로 한 이용이 발생된다는 측면은 모바일 공간에서의 이용이 중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모바일 서비스에 있어 OS 플랫폼을 장악하고 있는 글로벌 미디어 기업의 경쟁력에 대한 대응의 중요성이 커짐을 의미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은 저용량의 클립형 동영상 서비스에서 추후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본다. 다섯째, 이용자의 나이와 소득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는 앞으로 기업들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때 보다 차별적인 서비스의 구성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측면에서 IT 분야의 핵심 성장 동력이라 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진흥에 있어 이용자라는 측면의 고려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2012년도의 자료로서 급격히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미디어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탐색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정량화되고 구체적인 설문을 통한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용량 등과 같은 보다 다차원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콘텐츠 연계이용의 연구 결과가 비록 유의미하게 나오지 않았지만, 향후 콘텐츠의 연계이용의 빈도, 총 이용량 등과 같은 다양한 변인과의 관계로서 확장을 통해 재검증이 필요할 것이 보인다.
BIO
김 동 우
- 2011년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전자정보공학과(학사)
- 2013년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방송통신정책전공(석사)
- 2014년 ~ 현재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방송통신정책전공 박사과정
- 2013년 ~ 현재 : 한국디지털미디어산업협회 정책협력부 근무
- 주관심분야 : 미디어 이용행태, 방송통신정책, 디지털방송
표 시 영
-2011년 : 서강대학교 법학과(학사)
-2013년 :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석사)
-2013년 ~ 현재 :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 박사과정
- 주관심분야 : 방송법, 방송통신정책, 뉴미디어
정 원 조
- 2000년 : 서강대학교 경영학과(학사)
- 2005년 :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석사)
- 2011년 :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박사)
- 2005 ~ 2011년 : 서강언론문화연구소 연구원
- 2011년 ~ 현재 : 한국디지털미디어산업협회 정책협력부장
- 주관심분야 : 미디어산업, 방송산업정책, 게임산업 등
References
Kim Sang-hyun , Kim Geun-A 2011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Adoption of Mobile Clou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Mobile Trust The e-Business Studies 12 (1)
Kim Sung-woo 2010 Building a Sustainable UX Ecosystem under N .Screen and Cloud Computing Paradigm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9 (4)
Lee Ju-yeong 2010 Features and providers of cloud computing services provided by Status KISDI 22 (6)
Park E-sul , Woo Hyung-jin 2013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Personal Cloud Service: Focused on the Convergence Model of TAM and PMT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30 (2)
Yoon Jung-Hyeon 2011 A Study of the Systems Quality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of Cloud Computing Services in Information Cen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 (4)    DOI : 10.3743/KOSIM.2011.28.4.049
Moon Hye-young , Ryu Jae-hong , Choi Jin-ho 2013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rivation of Characteristics of Personal Cloud Computing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0 (1)
Choi Sung 2013 A Study of IT competitiveness of SMEs by Cloud Service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 (3)
Park So-Yeon , Kim Yong-won 2013 An Analysis of the Interaction Effect of Benefit and Cost on Cloud Computing Service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2 (1)    DOI : 10.3745/KTCCS.2013.2.1.027
Seo Jeong-han , Jang Seok-gwon 2012 An Exploratory Study of Small Business Cloud Services introduced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Spring Joint Conference Proceedings
Jeon Sae-ha , Park Na-rae , Lee Choong-jung 2011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Adopt Public Cloud Computing Service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0 (2)
Park Sang-cheol , Kwon Soon-jae 2011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Switch for Using Cloud Computing : A Case of Goolgle Doc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10 (3)
Kim Dong-woo , Lee Yeong-Ju 2013 The Impact of user behavior, contents, functionality, cost on use satisfaction and the continued use intention of the N-screen service users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18 (5)
Hwang Joo-Seong 2012 Connected-device Use in the Multi-device Environment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29 (2)
KISDI 2012 Korea Media Panel Survey 2012
Chang M. , Cheung W. , Lai V. 2005 Literature derived reference models for the adoption of online shopping Information & Mannagement 42 (4)